$\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과학영재학생의 인성, 생애목표와 행복감의 관계
A study to Explore the Effect Relationship of Character and Life Goal on Happiness for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6 no.1, 2016년, pp.161 - 185  

장희선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과학영재학생의 인성, 생애목표, 행복감 특성을 파악하고, 각 변인 간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독립표본 t-검증, 다중회귀분석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높은 수준의 책임, 윤리, 긍정적 자기이해 인성특성과 기여목표를 보이는 반면, 물질목표와 이미지목표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인성, 생애목표와 행복감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려/봉사의 인성특성을 보이는 학생이 내재적 목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배려/봉사가 높고, 공감이 낮을수록 외재적 목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려/봉사와 긍정적 자기이해가 높을수록, 자기조절은 낮을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과학영재학생은 기여목표, 관계목표를 가질수록 행복감이 높은 반면, 성장목표, 물질목표를 가질수록 행복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성은 생애목표보다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잘 설명하는 변인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 영재들의 행복감을 높이고, 동시에 영재의 품성 개발을 위한 인성 및 상담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r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the feature of character, life goals and happiness, and the effect relationship on happines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For this, independent t-test,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래를 주도할 창의적이고 우수한 인재들에게 기대하는 전문적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위해 무엇이 조화되어야 하는가? 영재교육 목적은 영재 학생 개발뿐 아니라 미래사회와 국가의 발전을 이끌어갈 리더로서의 자질을 갖추게 하기 위함이다(영재교육진흥법, 2002). 미래를 주도할 창의적이고 우수한 인재들에게 기대하는 전문적 지도자로서의 자질은 그 분야의 인지적 특성뿐 아니라 신념, 태도, 품성과 같은 균형있는 정서적 발달의 조화가 의미 있다 하겠다(윤미정, 2013 재인용). 현재 우리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는 낙관적이고 행복지수가 높아 긍정적인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며 자신의 일을 사랑하고 몰입할 수 있는 자아실현을 향해 나아가는 행복한 영재여야 한다(한기순, 김영미, 2008).
영재아동의 심리적, 정서적 상태, 행복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런데 최근 학교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학교폭력, 공격성, 우울감, 자살 등과 같은 부정적 현상에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면서 영재아동의 심리적, 정서적 상태, 행복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일반 사람들과 구별되는 특성을 가진 영재들은 심리적으로도 불안한 상태이기 쉽고, 매우 민감하고 높은 수준의 열망, 완벽주의 성향 등으로 인해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하종덕, 송경애, 2004) 이들의 행복감에 대한 정서적 특성을 파악하여 다른 심리적인 구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은 향후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가 될 것이다.
영재교육 목적은? 영재교육진흥법 시행이후, 영재교육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높아지고, 영재교육이 보다 폭넓게 실시되고 있다. 영재교육 목적은 영재 학생 개발뿐 아니라 미래사회와 국가의 발전을 이끌어갈 리더로서의 자질을 갖추게 하기 위함이다(영재교육진흥법, 2002). 미래를 주도할 창의적이고 우수한 인재들에게 기대하는 전문적 지도자로서의 자질은 그 분야의 인지적 특성뿐 아니라 신념, 태도, 품성과 같은 균형있는 정서적 발달의 조화가 의미 있다 하겠다(윤미정, 2013 재인용).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5)

  1. 강민지 (2010). 중학교 영재교육원의 인성교육 현황 및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발전방향 탐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접근. 서울: 창지사. 

  3. 교육인적자원부 (2002). 영재교육진흥법시행령. 

  4. 교육기술과학부 (2012). 인성교육비전 보고서. 

  5. 교육부 (2013) 인성지수개발연구. 

  6. 김명숙, 정대련, 이종희 (2003). 과학영재와 일반아의 창의적 사고, 인성, 환경과 과학영역의 창의적 수행에서의 성차, 아동학회지, 24(3), 1266-1688. 

  7. 김미숙, 김종민 (2013). 21세기 글로벌 교육개혁 동향 분석 연구(I): 행복교육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8. 김성수 (2015). 기본심리욕구, 생애목표,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29(1). 1-25. 

  9. 김성수 (2014). 부모의 자율성지지, 생애목표 및 성취목표 간의 구조적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5(3). 29-52. 

  10. 김성수, 윤미선 (2013). SDT의 목표내용이론에 기반한 청소년용 생애목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학연구, 51(4). 87-117. 

  11. 김성일, 윤미선, 소연희 (2008). 한국 학생의 학업에 대한 흥미: 실태, 진단 및 처방.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s), 187-221. 

  12. 김신영 (2007). 한국 청소년 행복지수 조사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요약집. 

  13. 김언주 (1998). 영재아의 심리적 특성 및 가정환경 특성. 경기도과학학회지. 104, 31-56. 

  14. 김영미, 한기순 (2008).영재들은 행복한가?: 영재, 잠재적 영재, 일반학생의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 비교. 영재교육연구, 18(3), 519-542. 

  15. 김종백, 김태은 (2008). 학교행복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2(1). 259-279. 

  16. 김현정 (2015). 초등과학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성취목표동기와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17. 문병상 (2009). 인식론적 신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22(4), 49-68. 

  18. 문병상 (2011). 내외적 미래 목표, 과제 도구성 지각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의 구조적 관계분석, 교육심리학연구, 25(2), 219-234. 

  19. 문용린, 김일 (2009). 영재의 도덕성 향상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대학교 도덕심리연구실, 부산광역시 영재교육진흥원. 

  20. 민중서림편집부 (2010). 민중실용국어사전, 서울: 민중서림 

  21. 박미옥 (2006).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정의적 특성 비교, 석사학위논문. 춘천교육대학교. 

  22. 박분희, 김누리 (2012). 과학영재의 미래목표,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과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11(1). 73-96. 

  23. 박영태 (2002). 창의적 인성 프로그램 개발, 지방교육경영 7, 235-264. 

  24. 박지윤, 권치순, (2013).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대인관계 특성 비교. 한국지구과학교육연구. 6(3). 196-206. 

  25. 배성철 (2012). 부모의 내, 외통제성이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사고, 창의적 인성,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26. 백은주 (2005).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서지능과 과학태도 비교.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27. 신종호, 서은진, 이은경 (2011). 생애목표검사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5(2), 255-276. 

  28. 신종호, 서정희, 최재혁, 김용남, 김윤근, 이현주 (2007). 사고유형에 따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습선호활동의 차이연구. 초등과학교육 25(5) 

  29. 신종호, 진성조 (2013). 생애목표유형이 학업적 자기개념, 학업노력,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성취수준에 따른 차이 검증, 교육심리, 27(1), 161-180. 

  30. 신종호, 진성조, 조은별 (2013). 지각된 부모의 양육특성이 물질적, 사회적 목표를 매개로 학업 자기개념 및 입시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종단연구 학술대회, 529-555. 11월 27일. 

  31. 신종호, 이선영, 김명섭, 이신형 (2015). 발명영재의 생애목표 특성. 영재와 영재교육. 14(1). 163-180. 

  32. 우민향 (2013). 초등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몰입과 행복감의 비교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33. 유미숙, 차지향, 정계숙 (2013). 아동 및 청소년의 행복에 대한 자녀와 어머니의 인식 연구. 인간발달연구, 20(4). 81-104. 

  34. 윤미정 (2013). 초등학교 영재교육기관의 인성교육 실태 및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5. 이경화, 태진미 (2013). 영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학생들의 창의성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영재와 영재교육. 12(2). 53-74. 

  36. 이규순 (2000). 초등학생의 스트레스가 학습동기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37. 이근철 (1996), 초등학교 도덕.인성교육의 발전방향, 경인초등도덕교육학회 

  38. 이기범 (2009). 한국의 교육문화와 아동의 행복감. 한국아동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51-65. 

  39. 이윤소 (2014).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인성교육 경험과 사회적 책임성 및 기부 의식간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40. 이현정 (2010).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의 도덕 판단력 발달 비교.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41. 이현주, 채유정 (2014). 청소년 체험활동 참여, 사회.정서, 생애목표의 수준 및 구조적 관계에서의 성차, 한국청소년연구 25(2), 173-207. 

  42. 임자성, 채규만 (2003). 초등학생의 과외학습 스트레스와 관련된 심리적 특성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3), 295-311. 

  43. 전미경, 장재숙 (2009). 아동의 행복감 발달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가정학회지, 47(3), 103-118. 

  44. 정계숙, 최은아, 강인설 (2008). 아동의 행복상황 및 판단에 대한 조사연구: 문화적 특수성 접근. 아동학회지, 29(6), 207-223. 

  45. 조연순 (2008). 인성교육 :변화하는 아동 특성을 고려하는가? 교육정책포럼, 183, 9-13. 한국교육개발원. 

  46. 조은주 (2005). 초등과학영재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47. 조태원 (2015). 초등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공감능력 비교분석.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48. 지은림, 이윤선, 도승이 (2014). 인성측정도구개발 및 타당화. 35, 윤리교육연구, 151-175. 

  49. 최순종, 현정수 (2011). 청소년의 행복에 관한 척도 개발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27, 180-207. 

  50. 최영미, 송인섭 (2013). 대학생의 미래지향목표, 근접학위목표, 과제도 구성지각 및 자기조절전략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27(1). 77-98. 

  51. 최영임, 장휘숙 (2008) 아동기의 발달과업이 청소년의 행복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2008년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62-63. 

  52. 하종덕, 송경애 (2005). 과학영재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4(1) 47-64. 

  53. 한국교육학회 (1998) 인성교육. 문음사. 

  54. 한기순, 김영미 (2008). 영재들은 행복한가?: 영재, 잠재적 영재, 일반학생의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비교. 영재교육연구, 18(3). 519-542 

  55. 태진미 (2011). 창의적 융합인재양성. 왜 예술교육에 주목하는가? 영재교육연구, 21(4), 1011-1032. 

  56.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 357-376. 

  57. Argyle (2001/2005). Happy Psychology. 행복심리학. 김동기역. 서울: 학지사. 

  58. Bronk, K. C. (2008). Early Adolescents' Conceptions of The Goal Life and The Good Person. Adolescence, 43(172). 713-732. 

  59. Burckhardt, C. S. (1985). The impact of arthritis on quality of life, Nursing Research, 34, 11-16. 

  60. Cohen, P., & Cohen, J. (1996). Life values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Malewas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1. Colby, A, & Damon, W. (1992). Some do care Contemporary lives of moral commimant. New York: Free Press. 

  62. Csikszentmihalyi, M. (1998). Society, culture, and person: A systems view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 The nature of creativity: Current psychological perspectives (pp. 325-339).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 Damon, W., Menon, J., & Bronk, K. C. (2003). The development of purpose during adolescence.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7(3), 119-128. 

  64. Davis, G. A., & Rimm, S. B. (200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5th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65. Davis, G. A, Rimm, S. B., & Siegle, D. B (2011).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6th Edition). Edinburgh Gate Harlow: rearson Education Limited. 

  66. Deci, E. L.,&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 227-268. 

  67. Die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E.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68. Eigner, S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ng the environment" as a dominant life goal and subjective well-being. In P. Schmuck & K. M. Sheldon, Life Goals and Well-Being Towards a Positive Psychology of Human Striving. GOttingen: Hogrefe. 

  69. Emmons, R. A. (1991). Personal strivings, daily life events, and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59, 1040-1048. 

  70. Emmons, R. A. (1999). The psychology of ultimate concerns: Motivation and spirituality in personality. New York: Guilford. 

  71. Erikson, E. (1950). Childhood and society (1st ed.). New York: Norton. 

  72. Gardner, H. (2008). 미래 마인드. 김한영 역, 서울: 재인(2007) 

  73. Grouzet, F. M. E., Kasser, T., Ahuvia, A., Dols, J. M., Kim, Y., Lau, S., Ryan, R. M., Saunders, S., Schumuck, P., & Sheldon, K. (2005). The structure of goals across 15 cultu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9(5). 811-816. 

  74. Headey, B. W. (2008). Life goals matter to happiness: A revision of set-point theory. Social Indicators Research, 86, 213-231. 

  75. Heady, B., R. Veenhoven, and A. Wearing. 1991. Top-down versus bottom-up theories of subjective well-be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 81-100. 

  76. Kasser, T., & Ryan, R. M. (1993). A dark side of the American dream:Correlates of financial success as a central life aspiration. Journal of Personal and Socail Psychology, 65, 410-422. 

  77. Kasser, T., & Ryan, R. M.(1996). Further examining the American dream: Differential correlat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go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2(3), 280-287. 

  78. Keyes, Corey L. M., Dov Shmotkin, & Carol D. Ryff. (2002). Optimizing Well-Being: The Empirical Encounter of Two Tradi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 1007-1022. 

  79. Lee, J. Q., Mclnernery, D. M., Liemc, G. A. D, & Ortiga, Y. P.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goals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perspective.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5(4), 264-279. 

  80. Lickona, T., & Davidson, M. (2005), Smart and good high schools: Integrating excellence and ethics for success in school, work, and beyond. Washington, D. C.: Character Education Partnership 

  81. Lyubomirsky, S. (2007). The bow of happiness. New York: The Penguin Press. 

  82. Mclnerney, D.M., Liem, A.D., Ortiga, Y. P. Lee, J.Q., & Manzano, A.A. (2008). Future goal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mong Singaporean Chienese students. In O. S. TAN, D. M. McInterney, A. D. Liem, & A.G.Tan(Eds.), What the West can learn from the East; Asian perspectives of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motivation (pp.267-293). Greenwich,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83. Martin, P. (2005). Making happy people. London: Fourth Estate. 

  84. Mullis, I. V. S., Martin, M. O., Foy, P., & Arora, A. (2012). TIMSS 2011 international results in mathematics. Chestnut Hill, MA: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Boston College. 

  85. Myers, D. M. (1992). The pursuit of happiness: Who is happy and why? New York : Avon Books. 

  86.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87. Ryan, R. M., & Deci, E. L. (2001).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emonics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141-166. 

  88. Sawyer, R, K. (2006). Explaining creativity: The science of human innov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89.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김인자 역(2006). 긍정심리학. 경기: 물푸레 

  90. Seligman, M. E. P., Steen, T. A., Park, N., & Peterson C. (2005). Positive psychology in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60, 410-421. 

  91. Seligman, M. E. P. (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yness and well-being. New York : Free Press. 

  92. Shek, Daniel. T. L (1993). The Chinese version of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Its relationship to different measur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9(3), 349-358. 

  93. Shin, J., Hwang, H., Cho, E. & Alexander M.D. (2014). Current Trends in Korean Adolescents' Social Purpose. Journal of Youth Development, 9(2), 16-33. 

  94. Shin, D. C. & Johnson, D. M. (1978). Avowed happiness as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Social Indicators Research. 5, 475-429. 

  95. Sternberg, R. J. (2005). The WICS model of Giftednes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2nd ed.) (pp. 327-342).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