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주추진용 모노메틸하이드라진 반응에 대한 주요 해외연구 동향 조사 Part I : 모노메틸하이드라진의 열분해 반응
A Review on Major Foreign Research Trend of Monomethylhydrazine Reaction for Space Propulsion Part I : Thermal Decomposition Reaction of Monomethylhydrazine 원문보기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v.10 no.1, 2016년, pp.66 - 73  

장요한 (국방과학연구소) ,  이균호 (세종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ace propulsion system produces required thrust for satellites and space launch vehicles by using chemical reactions of a liquid fuel and a liquid oxidizer typically. For example, monomethylhydrazine-dinitrogen tetroxide, liquid hydrogen-liquid oxygen and RP-1-liquid oxygen are conventional combi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보완하기 위해 2000년 중반 이후에 Sun 등[9]은 제1원리 및 밀도 함수 방법 (ab initio and density functional method)을 사용하여 모노메틸하이드라진 열분해 반응에 대한 열화학적물성치와 결합 에너지를 정확하게 결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모노메틸하이드라진 열분해 반응에 대해 주요 해리 및 추출반응(dissociation and abstraction reaction)과 관련된 반응속도 파라미터(rate parameter)를 결정함으로써 차후에 추진제 연소 시스템의 이론적 모델링에 적용할 수 있도록 모노메틸하이드라진 열분해에 대한 기본 화학반응 메커니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총 160개의 화학반응과 43가지 화학종으로 구성된 완전 반응모델을 구성한 후 실험 측정 값들과 비교한 결과 일부 조건에 대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후속연구로서 Sun 등[10]은 2000년 후반 경에 다양한 온도 및 압력 조건에서 크게 희석된 모노메틸하이드라진 기체 혼합물의 열분해 반응을 충격파관을 이용해 실험적으로 관찰을 시도하였다. 또한 연소시스템에서는 단분자 반응이 온도와 압력에 복잡하게 의존하므로 확장된 온도와 압력 범위에 대해 단분자 반응속도 상수의 결정 및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실질적인 반응현상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다양한 실험조건에 대해 기체상태 모노메틸하이드라진의 열분해 반응을 모델링하기 위해 총 204개의 화학반응과 52가지 화학종으로 구성된 상세반응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10].
  • 이러한 추세에 맞춰 본 논문에서는 사전연구로서 모노메틸하이드라진의 기본적인 화학반응을 이해하고 그로인한 추진제의 성능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모노메틸하이드라진의 열분해 반응에 초점을 맞추어 주요 해외 연구동향을 조사하였다. 본 논문에선 기존 발표문헌[5]의 내용을 추가 및 보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에 국내 기술로 모노메틸하이드라진을 사용하는 우주추진 시스템의 개발을 대비해 밑바탕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3으로부터 열분해 반응으로 인해 시간에 따른 모노메틸하이드라진의 몰분율이 감소되는 측정 결과와 반응모델을 통한 예측한 결과가 서로 유사한 경향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8]. 본 연구를 토대로 모노메틸하이드라진의 열분해 반응을 이론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기반이 수립되었다고 사료된다.
  • 하지만, 근래에 국내에서도 현재 정지궤도 복합위성, 달탐사선 및 달착륙선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모노메틸하이드라진-사산화이질소를 사용하는 추진시스템의 필요성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4]. 이러한 추세에 맞춰 본 논문에서는 사전연구로서 모노메틸하이드라진의 기본적인 화학반응을 이해하고 그로인한 추진제의 성능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모노메틸하이드라진의 열분해 반응에 초점을 맞추어 주요 해외 연구동향을 조사하였다. 본 논문에선 기존 발표문헌[5]의 내용을 추가 및 보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에 국내 기술로 모노메틸하이드라진을 사용하는 우주추진 시스템의 개발을 대비해 밑바탕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정지궤도 복합위성, 달탐사선과 같이 원거리 위성체의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모노메틸하이드라진-사산화이질소에 기반한 우주추진 시스템의 필요성이 점차 인식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본 논문에서는 사전연구로서 모노메틸하이드라진의 열분해 반응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에 수행된 해외 연구의 주요 동향을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조사 결과, 해외 우주선진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시작을 하였으며, 다양한 온도 및 압력 조건에서의 실험을 통해 모노메틸하이드라진의 열분해 반응의 주요 반응 메커니즘을 파악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이렇게 모노메틸하이드라진 연료와 사산화이질소 산화제 간의 화학반응에서 모노메틸하이드라진의 열분해 반응이 초기 고온을 발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접촉점화 특성을 갖는 모노메틸하이드라진 연료의 추진제 특성과 화학반응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모노메틸하이드라진 로켓 엔진의 설계와 내부 열유동 현상 해석을 포함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모노메틸하이드라진 열분해 반응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절에서는 모노메틸하이드라진의 열분해 반응에 관하여 기존에 수행된 해외 연구 중에서 주요한 동향을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가설 설정

  • 1990년 대 중반에 Catoire 등[8]은 기존에 수행된 선행 연구결과들을 검토한 결과 고온 조건에서 모노메틸하이드라진의 열분해 특성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는다는 점을 깨달았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직접 모노메틸하이드라진 연소실험을 통해 고온에서의 해리 과정과 폭발성 분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충격파 (shock tube)에서 크게 희석된 모노메틸하이드라진 혼합물의 분해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모노메틸하이드라진은 폭발 형태로 분해될 수 있다는 가정을 실험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를 토대로 기체 상태의 모노메틸하이드라진에 대한 폭굉 감도(detonation sensitivity)의 분석을 위해 99개의 화학 반응과 39가지 화학종으로 구성된 전체 연소반응 모델을 구성한 후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최종 14개의 반응식과 15가지 화학종으로 구성된 모노메틸하이드라진 열분해 축소 반응모델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학식 추진시스템은 어떤 조합이 사용되는가? 이때, 추력을 발생하는 에너지원에 따라 연료와 산화제의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화학식 추진시스템과 그 외에 전기, 핵에너지 및 태양에너지 등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는 비화학식 추진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1,2,4]. 일반적으로 화학식 추진시스템은 액체 연료와 액체 산화제 간의 화학반응을 통해 고온고압의 연소가스를 발생시킨 후, 이를 노즐을 통해 초음속으로 외부공간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로서, 모노메틸하이드라진(monomethylhydrazine, MMH, CH3N2H3)-사산화이질소(dinitrogen tetroxide, NTO, N2O4), 액체수소(LH2)-액체산소(LOX) 및 RP-1(Rocket Propellant-1)-산소와 같은 추진제들의 조합이 다양한 우주 추진시스템에 전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2,4]. 특히 모노메틸하이드라진-사산화이질소 추진제의 경우 비추력은 최대 330초 정도로 상대적으로 비추력이 높기 때문에 추진제 무게 절감 효과가 크며 우주와 같이 극저온 및 상온에서도 액체 상태로 유지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해외 우주선진국에서는 발사체 상단 엔진, 인공위성용 궤도 진입 및 자세제어 추력기, 전략무기용 자세제어 추진시스템등의 주 추진제로 광범위하게 사용 중이다[3,4].
우주추진 시스템은 언제 사용되는가? 우주추진 시스템은 우주발사체와 인공위성이 임무궤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궤도전이에 필요한 추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추력을 발생하는 에너지원에 따라 연료와 산화제의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화학식 추진시스템과 그 외에 전기, 핵에너지 및 태양에너지 등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는 비화학식 추진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1,2,4].
우주추진 시스템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우주추진 시스템은 우주발사체와 인공위성이 임무궤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궤도전이에 필요한 추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추력을 발생하는 에너지원에 따라 연료와 산화제의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화학식 추진시스템과 그 외에 전기, 핵에너지 및 태양에너지 등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는 비화학식 추진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1,2,4]. 일반적으로 화학식 추진시스템은 액체 연료와 액체 산화제 간의 화학반응을 통해 고온고압의 연소가스를 발생시킨 후, 이를 노즐을 통해 초음속으로 외부공간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로서, 모노메틸하이드라진(monomethylhydrazine, MMH, CH3N2H3)-사산화이질소(dinitrogen tetroxide, NTO, N2O4), 액체수소(LH2)-액체산소(LOX) 및 RP-1(Rocket Propellant-1)-산소와 같은 추진제들의 조합이 다양한 우주 추진시스템에 전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장요한, 이균호, "인공위성 궤도전이 및 자세제어용 이원추진제 로켓엔진의 개발현황," 한국추진공학회지, 19권 1호, pp.50-60, 2015. 

  2. Sutton, G. P., Rocket Propulsion Elements, 8th ed., John Wiley & Sons Inc., 2010. 

  3. 한조영, "영국산 화학추진시스템의 기술이력과 통신해양기상위성 이원추진제 추진시스템",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2권 1호, pp.28-36, 2008. 

  4. 장요한, 이균호, "우주추진용 모노메틸하이드라진 반응에 대한 주요 해외연구 동향 조사 Part II : 모노메틸하이드라진-사산화이질소의 화학반응",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10권 1호, 2016. 

  5. 장요한, 이균호, "MMH 열분해 반응의 해외연구 동향," 한국추진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466-469, 2014. 

  6. Kerr, J. A., Sekhar, R. C., Trotman-Dickenson, A. F., "The Pyrolysis of Hydrazines and Benzylamines. C-C and N-N Bond Dissociation Energies," Journal of the Chemical Society, pp.3217-3225, 1963. 

  7. Eberstein, I. J., and I. Glassman, "The Gas-phase Decomposition of Hydrazine and Its Methyl Derivatives,"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bustion, vol. 10, no. 1, 1965. 

  8. Catoire, L., Bassin X., Dupre G., Paillard, C., "Experimental Study and Kinetic Modeling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Gaseous Monomethylhydrazine. Application to Detonation Sensitivity," Shock Waves vol. 6, pp.139-146, 1996. 

  9. Sun, H. and Law, C. K., "Thermochemical and Kinetic Analysis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Monomethylhydrazine: An Elementary Reaction Mechanism,"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A, vol. 111, pp.3748-3760, 2007. 

  10. Sun, H., Catoire, L., Law, C. K., "Thermal Decomposition of Monomethylhydrazine: Shock Tube Experiments and Kinetic Mode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hemical Kinetics, vol. 41, issue 3, pp.176-186, 2009. 

  11. Sun, H., Zhang, P., Law, C. K., "Thermal Decomposition of Monomethylhydrazine: Reaction Mechanism and Kinetic Modeling," 7th US National Technical Meeting of the Combustion Institute, March 20-2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