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면-각성이행에 초점을 둔 소아 야뇨증 치험 2례
A Case Study of Nocturnal Enuresis in Two Children by Focusing Sleep-wake Transition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0 no.1, 2016년, pp.1 - 8  

전보람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민상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장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ase of nocturnal enuresis in two children treated by using hypothesis that awareness during sleep may improves symptoms. Methods Enuresis children usually are not even aware of nocturnal urea due to excessive sleep. During the sleep cycle, en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기 증례에서 저자는 야뇨증 환아 2례에 대하여, 수면 중 각성에 초점을 두어 치료가설을 세웠고, 麻黃을 가미한 免絲湯加味方, 補兒湯加味方의 투약과 배뇨 습관 교정을 통해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므로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저자는 麻黃을 가미한 菟絲湯加味方, 補兒湯加味方의 투여만으로 유효한 효과를 본 환아 2례에 대하여 보고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동국대학교 분당한방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에서 연구를 위해 환자의 검사, 시술 등의 정보를 추가로 수집하지 않으며 후향적으로만 자료를 수집하여 보고하는 3례 이하의 증례보고로서 심의 면제를 받았다.
  • 의 연구 외 없었다. 이에 저자는 야뇨증 환아의 첫 수면에서 각성으로의 이행을 돕는 것을 초점을 두고, 약리약동학적으로 교감신경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는 本草인 麻黃을 활용한 치험례를 보고하려 한다.

가설 설정

  • 그러나 성숙하면서 야뇨증이 자연소실되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이후에 야뇨증의 빈도가 증가했다는 보고가 있으며, 야뇨증 환아들의 상당수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등의 정신행동학적 병태 (psychobehavioral disorder)를 보인다는 것 등의 몇 가지 정황들을 고려해 보면, 야뇨증엔 중추신경계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잘 알 수 있다4). 따라서 야뇨증 환아의 첫 수면에서 각성으로의 이행을 돕는 것을 치료의 초점으로 삼고, 약리약동학적으로 교감신경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는 本草인 麻黃을 활용해 볼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뇨증이란 무엇인가? 야뇨증은 방뇨의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나이 (만3~5세)를 지나서도 야간 수면 중 불수의적 배뇨를 하는 질환이다1). 5세에서는 약 20%, 10세에서는 약 10%, 15세에서는 약 3%의 유병률을 가지는 소아청소년기에 흔한 질환이지만, 아직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야뇨증의 원인은 무엇인가? 5세에서는 약 20%, 10세에서는 약 10%, 15세에서는 약 3%의 유병률을 가지는 소아청소년기에 흔한 질환이지만, 아직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유전적 요인, 방광의 기능장애, 사회적, 정신적요인, 신경계의 미성숙, 감염 및 비뇨생식기의 구조 이상 등을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2-3).
배뇨는 무엇에 의해 조절되어지는가? 배뇨는 고위 중추 신경계에 의해 조절되며 각성시에 일어나는데, 야뇨증과 관련된 중추신경계의 직접적인 작용기전과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성숙하면서 야뇨증이 자연소실되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이후에 야뇨증의 빈도가 증가했다는 보고가 있으며, 야뇨증 환아들의 상당수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등의 정신행동학적 병태 (psychobehavioral disorder)를 보인다는 것 등의 몇 가지 정황들을 고려해 보면, 야뇨증엔 중추신경계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잘 알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KB, Kim DG, Kim YH, Kim JH, Min SY, Park EJ, Beak JH, Yoo SE, Lee SY, Lee JY, Lee HJ, Jang GT, Chae JW, Han YJ, Han JK. Hanbangsoeacheongsoen-yeoneuihak. Seoul: Euisungdang. 2010:685. 

  2. Husmann DA. Enuresis. Urology. 1996;48:184-93. 

  3. Wille S. Primary nocturnal enuresis in children: background and treatment. Scand Nephrol. 1944;156 Suppl:1-48. 

  4. Park KJ. Pathogenesis of enuresis: brain, sleep dysfunction and psychological effects. J Korean Soc Pediatr Nephrolo. 2012;16(1):9-14. 

  5. Kim MJ, Kim JH. A study of noctonal enuresis in children. J Korean Orient Pediatr. 1997;11(1):103-34. 

  6. Chang GT. Acupuncture clinical trial study for treatment. J Korean Orient Pediatr. 2003;17(2):213-24. 

  7. Oh JY, Chang GT, Kim JH. Three cases report about enuretic children treated with electro-acupuncture on Zhongji (CV3), Guanyuan (CV4). J Korean Orient Pediatr. 2005;19(1):103-15. 

  8. Oh JY, Chang GT, Kim JH. Acupuncture for childhood nocturnal enuresis in traditional chinese medical journals. J Korean Orient Pediatr. 2005;19(1):83-102. 

  9. Ju BH, Jang JH, Jeong MJ, Lee SY. The clinical effect of Gikwuibosin-tang on nocturnal enuresis. J Korean Orient Pediatr. 2006;20(2):139-146. 

  10. Jo HJ, Lee JY, Kim DG. The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Radix Ephedrae on the nocturnal enuresis in korean children. J Korean Orient Pediatr. 2001;15(1): 155-64. 

  11. Koff SA. Enuresis. In: Walsh PC, Retik AB, Stamey TA, Vaughan ED Jr, editors. Campell's urology. 6th ed. Philadelphia: Saunders. 1992;1621-33. 

  12. Nam SG, Kang SH, Oh MM, Oh JS, Moon DG, Kim JJ, Han CS. Self-concept, anxiety, depression scales and behavior estimation in primary nocturnal enuresis. Korean J Urol. 2003;44:1140-3. 

  13. Bailey JN, Ornitz EM, Gehricke JG, Gabikian P, Russell AT, Smalley SL. Transmission of primary nocturnal enuresis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cta Paediatr. 1999;88:1364-8. 

  14. Thiedke CC. Nocturnal enuresis. Am Fam Physician. 2003;67(7):1499-506. 

  15. Butler RJ, Holland P. The three systems: a conceptual way of understanding nocturnal enuresis. Scand J Urol Nephrol. 2000;34(4):270-7. 

  16. Fujiwara J, Kimura S, Tsukayama H, Nakahara S, Haibara S, Fujita M, Isobe N, Tamura K. Evaluation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in children with primary monosymptomatic nocturnal enuresis--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using 24-hour holter electrocardiograms. Scand J Urol Nephrol. 2001;35:350-6. 

  17. Wolfish NM. Sleep/arousal and enuresis subtype. J Urol. 2001;166:2444-7. 

  18. Nam SO. Normal sleep in children and adolescent. J Korean Child Neurol Soc. 2010;19(2):67-75. 

  19. Page ME, Akaoka H, Aston-Jones G, Valentino RJ. Bladder distension activates noradrenergic locus coeruleus neurones by an excitatory amino acid mechanism. Neuroscience. 1992;51:555-63. 

  20. Behrman RE, Kliegman RM, Arvin AM. Textbook of pediatrics. In: Gonzalez R, editor. Voiding dysfuction. 15th ed. Philadephia: WB Saunders Co. 1996:1544-6. 

  21. Noh YH, Kim KB. Recent research on treatment of childhood nocturnal enuresis - within acupuncture, moxibustion, psychotherapy and chiropractic-. J Korean Orient Pediatr. 2011;25(3):1-11. 

  22. Cho HJ, Lee JY, Kim DG. The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radix ephedrae on the nocturnal enuresis in korean children. J Korean Orient Pediatr. 2001;15(1):155-63. 

  23. Shin MG. Clinical traditional herbalogy. Younglimsa. 2006:322-4. 

  24. Hwang MJ, Shin HD, Song MY. Literature review of herbal medicines on treatment of obesity since 2000-mainly about Ephedra herba. J Soc Korean Med Obes. 2007;7(1):39-54. 

  25. Won JH, Kim DK, Jeong GM. An experimental study on immune response of Boa-tang. J Korean Orient Pediatr. 1986;1(1):13-22. 

  26. Kim HJ, Han CH, Lee EJ, Song YK, Shin BC, Kim YK.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Ma-huang (Ephedra sinica) prescription in obesity. J Soc Korean Med Obes. 2007;7(2):27-37. 

  27. Son DH, Hsing LC, Kim LH, Jeong SI, Seo ES, Jang IS. Effect of Mahuang on heart rate variability in adult: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 J Korean Orient Med. 2007;28(1):105-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