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대사고시 수소폭발이 격납건물에 미치는 영향
Hydrogen explosion effects at a containment building following a severe accident 원문보기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40 no.3, 2016년, pp.165 - 173  

류명록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박권하 (Division of Mechanical Engineering,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1년 3월 11일 리히터 스케일 9.0의 강진과 10-14m파도로 인해 Fukushima Daiichi(FD) 원자력 단지의 주전력과 보조전력이 끊어져 냉각장치가 작동하지 않았고 노심의 열이 제거되지 못해 폭발이 일어나는 사고가 발생했다. 노심의 열이 제거되지 못하면 핵연료 피복재인 지르칼로이(zircaloy)와 같은 금속이 고온 상태에서 수증기와 산화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수소는 격납건물로 방출되는데 방출된 수소가 연소하는 경우 격납건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정도의 큰 충격을 유발할 수 있는 수소폭발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격납건물 내부의 수소 분포를 분석한 연구 [1]에서 제시한 폭발의 위해도가 높은 영역에 대하여 폭발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수소 폭발이 격납건물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격납건물 중앙부를 제외하고 수소폭발이 발생하였고 상부에 전체 수소의 40%이상이 모였을 때와 하부 좌측, 우측의 격벽사이에 수소가 모였을 때 큰 폭발이 발생했으며 격납건물 벽면에 큰 응력을 동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 March 11, 2011, a massive earthquake measuring 9.0 on the Richter scale and subsequent 10-.14 m waves struck the Fukushima Daiichi (FD) Nuclear Power Plant. The main and backup electric power was damaged preventing the cooling system from functioning. Fuel rods overheated and led to hydrogen ex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수소 분출시 수소의 거동과 그에 따른 수소폭발이 격납건물 내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격납건물 내부의 수소 분포를 분석한 연구[1]에서 제시한 폭발의 위해도가 높은 영역을 중심으로 폭발해석을 수행하며 수소 폭발이 격납건물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심의 열이 제거되지 못하면 수소가 발생하는데, 그 원리는 무엇인가? 0의 강진과 10-14m파도로 인해 Fukushima Daiichi(FD) 원자력 단지의 주전력과 보조전력이 끊어져 냉각장치가 작동하지 않았고 노심의 열이 제거되지 못해 폭발이 일어나는 사고가 발생했다. 노심의 열이 제거되지 못하면 핵연료 피복재인 지르칼로이(zircaloy)와 같은 금속이 고온 상태에서 수증기와 산화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수소는 격납건물로 방출되는데 방출된 수소가 연소하는 경우 격납건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정도의 큰 충격을 유발할 수 있는 수소폭발로 이어질 수 있다.
수소 폭발의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진행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수소 폭발의 위험을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격납건물 내로 방출된 수소의 거동을 해석하기 위한연구가 진행되었고[2]-[5] 수소를 제거하기 위한 피동형 수소재 결합기(passive auto catalytic recombiner, PAR)에 대한 연구[6]-[12] 및 수소 누출시 수소폭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3][14]. 하지만 수소 분출시 수소의 거동과 그에 따른 수소폭발이 격납건물 내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중대사고시에 노심용융과 함께 발생된 다량의 수소를 효과적으로 제어 혹은 제거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Fukushima 사고에서 보여준 것처럼, 중대사고시의 노심냉각을 위한 대책들이 모두 실패하고 노심용융에 의하여 수소가 생성되었으며 결국수소폭발이 발생하였다. 수소는 폭발성이 매우 강하며, 폭발이 발생하면 다중방어벽을 훼손하고 다량의 방사능물질이 방출되기 때문에 중대사고시에 노심용융과 함께 발생된 다량의 수소를 효과적으로 제어 혹은 제거해야 하지만 사고의 원인이 다양하고 수소분포와 거동이 매우 불규칙하기 때문에 폭발 저감을 위한 대책마련이 쉽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 Park, C. L. Khor, "Consideration on hydrogen explosion in APR 1400 containment building during small breakup loss of coolant accident,"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vol. 293, pp. 458-467, 2015. 

  2. T. H. Hong, T. H. Kim, and C. R. Choi, "CFD analysis on the behavior of hydrogen and steam during a severe accident in the OPR1000 containment," Proceedings of the KSME Fall Conference, p. 2223, 2011 (in Korean). 

  3. J. T. Kim, S. W. Hong, S. B. Kim, and H. D. Kim, "Numerical analysis of the hydrogen-steam behavior in the APR1400 containment during a hypothetical total loss of feed water accid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ational Fluids Engineering, vol. 10, no.3, pp. 9-18, 2005 (in Korean). 

  4. H. C. Kim, N. D. Suh, and J. H. Park, "Hydrogen behavior in the IRWST of APR1400 following a station blackout,"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vol. 38, no. 2, pp. 195-200, 2006. 

  5. K. H. Park and K. H. Bae, "Hydrogen concentration variation and examination of PAR installation reactor containment building during hydrogen release from different direction failure places,"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vol. 278, pp. 229-238, 2014. 

  6. J. Deng and X. W. Cao, "A study on evaluating a passive autocatalytic recombiner PAR-system in the PWR large-dry containment,"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vol. 238, no. 10, pp. 2554-2560, 2008. 

  7. J. W. Park, B. R. Koh, and K. Y. Suh, "Demonstrative testing of honeycomb passive autocatalytic recombiner for nuclear power plant," Nuclear engineering and desing, vol. 241, no. 10, pp. 4280-4288, 2011. 

  8. K. R. Kim, S. W. Paek, H. J. Choi, and H. Chung, "Catalytic recombination of hydrogen and oxygen in air stream,"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vol. 7, no. 2, pp. 116-120, 2001. 

  9. B. Gera, P. K. Sharma, R. K. Singh, and K. K. Vaze, "CFD analysis of passive autocatalytic recombiner interaction with atmosphere," Journal of Kerntechnik, vol. 76, no. 2, pp. 98-103, 2011. 

  10. F. Morfin, J. C. Sabroux, and A. Renouprez, "Catalytic combustion of hydrogen for mitigating hydrogen risk in case of a severe accident in a nuclear power plant: study of catalysts poisoning in a representative atmosphere,"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vol. 47, pp. 47-58, 2004. 

  11. N. Meynet, A. Bentaib, and V. Giovangigli, "Impact of oxygen starvation on operation and potential gas-phase ignition of passive auto-catalytic recombiners," Combustion and flame, vol. 161, no. 8, pp. 2192-2202, 2014. 

  12. E. Bachellerie, F. Arnould, M. Auglaire, B. de Boeck, O. Braillard, B. Exkardt, F. Ferroni, and R. Moffett, "Generic approach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passive autocatalytic recombiner PAR-system in nuclear power plant containments,"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vol. 221, no. 1, pp. 151-165, 2003. 

  13. J. Taveau, "Explosion hazards related to hydrogen releases in nuclear facilities,"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vol. 24, no. 1, pp. 8-18, 2011. 

  14. E. Kim, J. Park, J. H. Cho, and I. Moon, "Simulation of hydrogen leak and explosion for the safety design of hydrogen fueling station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38, no. 3, pp. 1737-1743,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