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4-2015년 국내 콩 들불병 발생 상황
Incidence of Wildfire Disease on Soybean of Korea during 2014-2015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2 no.1, 2016년, pp.38 - 43  

강인정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재배환경과) ,  김승한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심형권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재배환경과) ,  서민정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과) ,  신동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재배환경과) ,  노재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재배환경과) ,  허성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재배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들불병은 콩의 주요 세균병 중 하나로 국내 콩 주요 재배지에서 꾸준히 발생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발생 정도에 대한 보고가 없었다. 국내 콩 주요 재배지에서 들불병 발병 정도를 2014년과 2015년 2년간 조사하였다. 2014년 전국 조사에서는 조사한 30지역 중 19지역(수원, 영월, 괴산, 단양, 태안, 공주, 부여, 김제, 순창, 고창, 무안, 장흥, 안동, 청도, 칠곡, 경주, 예천, 영천, 합천)에서 들불병 발생을 확인하였으며, 2015년 전국 조사에서는 조사한 28지역 중 9지역(수원, 영월, 평창, 인제, 괴산, 단양, 충주, 무안, 안동)에서 들불병 발생을 확인하였다. 재배되고 있는 품종, 지역, 기후 조건에 따라 들불병 발병 차이가 났다. 서리태는 2014년과 2015년 모두 감수성을 보였으며 강수량이 많았던 2014년에 들불병의 발생이 2배 이상 증가하였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 우리나라는 전국적으로 들블병균이 잠재해 있으며 비슷한 온도에서는 강수량이 들불병의 발생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ldfire caused by Pseudomonas amygdali pv. tabaci has been seen a steady increase in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on soybean in Korea. But up to know there is no official report on the prevalence of the disease in Korea. The nationwide survey of the occurrence of soybean wildfire showed that 19 o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2014–2015년 전국 콩 주요 재배지역의 들불병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일부 지역의 특정품종에서 들불병 발생이 문제가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국내 발생실태 조사로 지역에 따른 병 발생양상을 파악하고 병 발생생태 등을 파악함으로써 들불병 관리 기초자료 및 방제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콩 들불병의 원인균은 무엇인가? 콩 들불병은 담배들불병과 같은 병원균인 Pseudomonas syringae pv. tabaci에 의한 것으로 국내에는 2009년 콩에 처음으로 보고되었고(Myung 등, 2009), 최근 게놈 시퀀스 및 분자분류학적 분석을 통해 Pseudomonas amygdali pv. tabaci로 재분류되었다(Jeong 등, 2015).
Pseudomonas syringae pv. tabaci이 tabtoxin 독소를 분비하지 못하는 변종이 유발하는 병은 무엇인가? tabaci로 재분류되었다(Jeong 등, 2015). 특히 병원균이 내는 tabtoxin 이라는 독소로 인해 주위에 노란색 둘레무리가 생기는데(Turner와 Taha, 1984), 이 독소를 분비하지 못하는 변종은 모무늬병(angular leaf spot)으로 구분되며 국내에서는 잎담배에그발생이보고되어진바있다(Yi 등, 1990).
Pseudomonas amygdali pv. tabaci이 분비하는 독소는 무엇인가? tabaci로 재분류되었다(Jeong 등, 2015). 특히 병원균이 내는 tabtoxin 이라는 독소로 인해 주위에 노란색 둘레무리가 생기는데(Turner와 Taha, 1984), 이 독소를 분비하지 못하는 변종은 모무늬병(angular leaf spot)으로 구분되며 국내에서는 잎담배에그발생이보고되어진바있다(Yi 등, 19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eall, M. W. and Cole, J. S. 1986. A comparative study of the pathogenicity and epidemiology of strains of Pseudomonas syringae pv. tabaci that cause wildfire and angular leaf spot diseases of tabacco in Zimbabwe. Plant Pathol. 35: 74-78. 

  2. Hartman, G. L., Sinclair, J. B. and Rupe, J. C. 1999. Compendium of Soybean Diseases. APS Press, St. Paul, MN, USA. 

  3. Hong, S. J., Kim, Y. K., Jee, H. J., Lee, B. C., Yoon, Y. N. and Park, S. T. 2010. Selection of bactericides for controlling soybean bacterial pustule. Res. Plant Dis. 16: 266-273. (In Korean) 

  4. Hong, S. J., Kim, Y. K., Jee, H. J., Shim, C. K., Kim, M. J., Park, J. H. and Lee, B. C. 2011. Influence of disease severity of bacterial pustule caused by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 on soybean yield. Res. Plant Dis. 17: 317-325. (In Korean) 

  5. Jeong, H. Y., Kloepper, J. W. and Ryu, C. M. 2015. Genome sequences of Pseudomonas amygdali pv. tabaci strain ATCC 11528 and pv. lachrymans strain 98A-744. Genome Announc. 3: e00683-15. 

  6. Kim, H. J., Oh, J. Y., Kim, D. K., Yun, H. T., Jung, W. S., Hong, J. K. and Kim, K. D. 2010. Evalution of disease occurrence by cultivar, sowing date and locational difference in Korean soybean fields. Res. Plant Dis. 16: 176-182. (In Korean) 

  7. Kim, S. M., Lee, J. B., Lee, Y. H., Choi, S. H., Choi, H. S., Park, J. W., Lee, J. S., Lee, G. S., Moon, J. K., Moon, J. S., Lee, K. W. and Lee, S. H. 2006. First report of Soybean dwarf virus on soybean (Glycine max) in Korea. Res. Plant Dis. 12: 213-220. (In Korean) 

  8. Kim, W. G., Hong, S. K. and Han, S. S. 2005. Occurrence of web blight in soybean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1(IA) in Korea. Plant Pathol. J. 21: 406-408. 

  9. Myung, I. S., Kim, J. W., An, S. H., Lee, J. H., Kim, S. K., Lee, Y. K. and Kim, W. G. 2009. Wildfire of soybean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tabaci, a new disease in Korea. Plant Dis. 93: 1214. 

  10. Park, S. W., Kim, H. S., Woo, S. H., Shim, H. K. and Kim, H. T. 2006.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Calonectria ilicicola causing soybean red crown rot. Res. Plant Dis. 12: 178-184. (In Korean) 

  1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2. Soybean. In: The Index of Grading System. 5th ed., ed. by H. C. Park, pp. 424-425. RDA, Suwon, Korea. (In Korean) 

  12. Schaad, N. W. 2008. Emerging plant pathogenic bacteria and global warming. In: Pseudomonas syringae Pathovars and Related Pathogens-Identification, Epidemiology and Genomics, eds. by M. Fatmi, A. Collmer, N. S. Lacobellis, J. Mansfield, J. Murillo, N. W. Schaad and M. Ullrich, pp. 369-379. Springer-Verlag, Berlin, Germany. 

  13. Turner, J. G. and Taha, R. R. 1984. Contribution of tabtoxin to the pathogenicity of Pseudomonas syringae pv. tabaci. Physiol. Plant Pathol. 25: 55-69. 

  14. Wrather, A. and Koenning, S. 2009. Effects of diseases on soybean yields in the United States 1996 to 2007. Plant Health Prog. Online publication. doi: 10.1094/PHP-2009-0401-01-RS. 

  15. Yi, Y. K., Park, E. K. and Kim, J. H. 1990. Occurrence of angular leaf spot symptom on tobacco plants caused by non-toxin-forming mutant of wild fire pathogen, Pseudomonas syringae pv. tabaci in Korea. Korean J. Plant Pathol. 6: 81-85.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