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여가참여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by Leisure Participation Types of the Elderly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0 no.1, 2016년, pp.23 - 42  

김외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typology of leisure participation, investigate determinants of leisure participation types, and analyze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by the types of leisur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The data source for this research was the 2014 Time Use Survey c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여가생활이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는 이유는? 인간의 모든 생애주기에 걸쳐 여가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노년기의 여가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우선 노년기에는 직장에서의 은퇴와 자녀의 출가 등으로 다른 생애주기에 비하여 더 많은 여가시간을 갖게 된다. 뿐만 아니라 노년기의 여가생활은 사회적으로 소외되기 쉬운 노인들에게 사회적 소속감을 가지게 하고, 자기개발의 기회와 신체적ㆍ정신적 증진에 도움을 주며, 생활만족에 긍정적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다른 어느 시기에서보다 그 중요성이 크다. 이러한 생활주기의 측면과 함께 우리사회의 급속한 고령화 추세에 따라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가생활에 대한 학문적, 정책적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노인의 여가참여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첫째, 노인의 여가참여유형은 일반형, 여가부족형, 종교중심형, 미디어중심형, 스포츠중심형의 다섯 가지로 분류된다. 노인의 여가참여유형 중 여가부족형(31.
현대사회에서 여가생활이 생활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는 이유는? 여가의 기능이 단순히 휴식의 차원을 넘어 건강 증진 및 자아실현, 행복추구에 효과적으로 부응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면서 현대사회에서 여가생활은 생활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여가시간의 확보와 여가의 질적 향상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김사랑(2012). 노인의 종교유무 및 종교활동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 : 희망, 감사, 죽음불안, 우울감을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성연.박미석(2000). 도시노인의 여가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90-105. 

  3. 김영길(2008). 노인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14(1), 44-55. 

  4. 김애련.한내창(1997).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활동이 생애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5(6), 275-288. 

  5. 김외숙(2015). 노인의 시간배분 유형에 따른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1), 163-180. 

  6. 김외숙(2016). 여가관리. 서울 : 방송대출판부. 

  7. 김외숙.박은정(2012). 기혼취업자의 여가제약유형에 따른 여가활동참여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241-263. 

  8. 김은경.김응렬(2002). 노인의 생활시간 구조분석. 한국학연구, 17, 145-175. 

  9. 김정옥.엄인숙(2007). 노인의 여가유형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5(4), 29-42. 

  10. 김철진(2011). 종교생활의 효과가 노인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보, 25(1), 281-301. 

  11. 박경란.이영숙(2007). 노인의 여가활동참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3), 465-477. 

  12. 박미석.이유리(2003). 한국 노인의 여가활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1), 37-48. 

  13. 박순미(2011).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와 경제활동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3, 305-332. 

  14. 박형수.정미화.유진호(2012). 우리나라 노인의 배우자 유무와 우울과의 관련성.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7(5), 1181-1187. 

  15. 방흥복(2005). 도시노인의 여가관련 요인과 여가활동 참여와의 관계. 경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백경숙.권용신(2007). 노년기 경제활동과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연구. 노인복지연구, 35, 87-106. 

  17. 송병숙(2012). 노인의 종교활동, 삶의 만족도 및 죽음불안과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신상식(2011). 노년기 여가활동과 사회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이갑숙.임왕규(2012).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0), 291-306. 

  20. 이봉진.홍상욱(2012). 노인의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연구, 8(2), 139-156. 

  21. 이신숙(2011). 은퇴한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0(2), 311-325. 

  22. 이순형.성미애(2012). 인간발달. 서울 : 방송대출판부. 

  23. 이영숙.박경란(2009). 노인의 여가제약, 여가활동참여와 생활만족도의 관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1-12. 

  24. 이윤정.정순희(2004). 노인의 여가생활시간 소비패턴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8(1), 101-116. 

  25. 이윤희.배연정.이지민.이정재.서교(2012). 생활시간 분석을 통한 고령 농가의 정주활동 구조 연구. 농촌계획, 18(4), 91-101. 

  26. 이필영(2012). 거동불편 노인을 위한 재활 레크리에이션체조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검증. 한국운동재활학회지, 8(1), 27-36. 

  27. 임창희.한수진(2008). 배우자 유무에 따른 노인의 여가활동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3), 23-43. 

  28. 윤민석(2015). 서울시 일하는 노인 근로특성과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서울연구원. 

  29. 윤정원.엄기욱(2015). 여성노인의 긍정적 사회관계망 기능이 사회적 관계망 접촉빈도와 성공적 노화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연구. 노인복지연구, 69, 171-192. 

  30. 정유리.이신숙(2013). 노년기 여가활동 활성화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 노인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교육학회지, 25(2), 49-63. 

  31. 지현진(2012). 2009생활시간조사자료를 근거로 한 노년층의 여가프로파일. 한국노년학, 32(3), 675-687. 

  32. 조영주(2013). 성별에 따른 지지체로서 종교와 노인의 우울 간의 관계. 교회사회사업, 23, 43-73. 

  33. 채화영.김주희.이기영(2011). 중.고령자의 생활시간 유형화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2), 129-146. 

  34. 최인석(2002). 청주시 노인의 여가활동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황남희(2014). 한국 노년층의 여가활동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보건사회연구, 34(2), 37-69. 

  36. 홍성희(1998). 노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여가 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1), 107-123. 

  37. 홍성희.김성희(1997). 노인의 여가태도 및 여가제약유형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253-267. 

  38. 홍성희.송정선(1997). 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생활과학연구소 과학논집, 23, 25-44. 

  39. 홍현방(2002). 성공적인 노화와 노인의 종교성 관계연구. 한국노년학, 22(3), 245-259. 

  40. Blace, N. P.(2012). Functional ability, participation in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older people. Asian Social Science, 8(3), 75-86. 

  41. Cheung, M. C., Ting, W., Chan, L. Y., Ho, K. S. & Chan, W. M.(2009). Leisure participa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community- dwelling elders in Hong Kong. Asian Journal Gerontol Geriatr, 4, 15-23. 

  42. Knapp, M. R. J.(1976). Predicting the dimensions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31(5), 595-604. 

  43. Leitner, M. J. & Leitner, S. F.(2012). Leisure in later life (4th ed.). Champaign, IL : Sagamore Publishing. 

  44.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 Tobin, S. S.(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 134-143. 

  45. Nimrod, G.(2007). Retirees' leisure : Activities, benefits, and their contribution to life satisfaction. Leisure Studies, 26(1), 65-80. 

  46. Orsega-Smith, E. M., Payne, L. L., Mowen, A. J., Ho, C. & Godbey, G. C.(2007).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in shaping the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of older adult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9(4), 705-727. 

  47. Peterson, J. J., Lowe, J. B., Peterson, N. A., Nothwehr, F. K., Janz, K. F. & Lobas, J. G. (2008). Paths to leisure physical activity amo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3(1), 35-42. 

  48. Ra, J., An, S. & Rhee, K.(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effect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Korean Elderly :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leisure activity. Journal of Arts & Humanities, 2(11), 21-35. 

  49. Silverstein, M. & Parker, M. G.(2009). Leisur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oldest old in Sweden. Research on Aging, 528-547. 

  50. Witcher, C. S., Holt, N. L., Spence, J. C. & Cousins, S. O.(2007). A case study of physical activity among older adults in rural New foundland, Canada.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15(2), 166-1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