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이버범죄의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민간조사제도의 도입방안
A study on the Private Investigator usage for Cyber Crime 원문보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 Korean security science review, no.46, 2016년, pp.63 - 86  

신현주 (가톨릭관동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기존의 수사체계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형태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민간조사제도의 도입 방안에 대하여 제언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최근 사이버 범죄의 경향은 인터넷 사기, 사이버 도박, 해킹 등 국경을 초월하여 더 복잡하고 정교하게 진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국가 수사기관에서는 고도의 전문적인 기술과 더불어 각국의 협력을 통한 수사방법을 총동원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성 부족, 전담 조직의 분산 및 관련 법제도의 미흡 등으로 인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미 외국에서는 국가가 직접 행하는 것이 비능률적인 탐지 및 추적 업무 등은 전문성을 지닌 민간조사원에게 용역을 주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현 문제점을 보완하고, 사이버 범죄에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협력 치안의 동반자로서 민간조사제도 도입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사이버범죄의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방안으로써 국가와 민간의 파트너쉽 치안서비스의 의의 및 민간조사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의미를 재평가한다. 그리고 제도의 도입과 관련한 주요 쟁점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도입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도록 한다. 먼저, 파트너쉽 치안 서비스 제도를 기반으로 하는 민간조사제도의 법제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불어 민간조사원의 업무 범위 확립과 신뢰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전문적인 국제 자격증 취득 및 충분한 교육과 시험을 걸친 면허 제도의 도입을 제언하는 바이다. 민간조사제도의 도입을 통해 수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사이버범죄의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도모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tudy on the Private Investigator usage for Cyber Crime. The latest trend of cyber crime is being evolve in sophisticated and complex way over the global, like internet fraud, cyber gambling, hacking and etc. Hence national investigative authority mobilize 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사이버범죄 대응에 있어서 국가와 민간의 파트너쉽을 통한 민간조사제도의 도입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아래에서는 사이버범죄의 개념과 민간조사제도의 의의와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고, 파트너쉽 치안서비스의 이익(benefit)과 위험(risk)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하지만 사이버범죄가 지속적으로 수법이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법과 제도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사이버범죄와 관련하여 국가 수사기관의 미약한 법률전문지식 및 정보수집 기법 등을 보완해주고, 보다 전문성 있는 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민간조사제도의 도입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 이로서 경찰은 보다 더 취약한 계층을 보호할 수 있고, 민생 치안에 경찰력을 집중시켜 양질의 치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민간조사제도에 대한 신뢰성 제고방안으로 자격시험 및 면허 제도를 제안하는 바이다. 충분한 훈련과 시험을 통과한 자에게만 면허가 부여된다면, 이 제도에 관한 불신을 해소시키고 전문성도 함께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사이버 범죄의 경향은 어떠한가? 이 연구는 기존의 수사체계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형태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민간조사제도의 도입 방안에 대하여 제언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최근 사이버 범죄의 경향은 인터넷 사기, 사이버 도박, 해킹 등 국경을 초월하여 더 복잡하고 정교하게 진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국가 수사기관에서는 고도의 전문적인 기술과 더불어 각국의 협력을 통한 수사방법을 총동원하고 있다.
사이버범죄에 대한 현재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에 국가 수사기관에서는 고도의 전문적인 기술과 더불어 각국의 협력을 통한 수사방법을 총동원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성 부족, 전담 조직의 분산 및 관련 법제도의 미흡 등으로 인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미 외국에서는 국가가 직접 행하는 것이 비능률적인 탐지 및 추적 업무 등은 전문성을 지닌 민간조사원에게 용역을 주는 경우가 적지 않다.
정보통신망이용 범죄는 무엇인가? 다음으로, 정보통신망이용 범죄와 불법콘텐츠 범죄인데, 구(舊) 분류의 일반사이버범죄를 보다 세분화하여 유형화한 것으로 보인다. 정보통신망이용 범죄는 정보통신망을 범죄의 본질적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행위를 행하는 주요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를 말하며 인터넷사기, 사이버금융범죄, 개인위치정보침해, 사이버저작권침해, 스팸메일 등이 해당한다. 불법콘텐츠 범죄란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법률에서 금지하는 재화, 서비스 또는 정보를 배포, 판매, 임대, 전시하는 경우를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강영숙 . 김태환 (2006), 미국의 탐정제도에 관한 연구, 경호경비연구, 12: 25-50. 

  2. 경찰청, 2015, 2014 경찰통계연보. 

  3. 고용노동부, 보도자료, 2014년 3월 18일자. 

  4. 공배완 . 박용수 (2014), 민간경비 활동의 공익성 확대 논의, 융합보안논문지, 14(1): 1-10. 

  5. 권양섭 (2014), 사이버범죄 처벌규정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법학연구, 53: 177-193. 

  6. 김상균 (2007), 민간조사원의 업무범위와 타 법률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6(2): 10-39. 

  7. 김상운 . 조현빈 (2013), 민간경비를 활용한 사이버범죄 예방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3): 141-151. 

  8. 김주희 (2015), 수사단서를 이용한 동일 사이버범죄판단기법,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5(4): 767-780. 

  9. 박성수 . 신현주 (2014), 민간조사제도의 도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 13(2): 81-106. 

  10. 박성훈 (2011), 사이버 상에서 발생하고 있는 국제범죄의 유형과 대응방안의 모색, 한국범죄학, 5(2): 43-80. 

  11. 박종훈 . 성도경 (2011), 탐정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균형발전연구, 2(3): 71-97. 

  12. 석청호 (2010), 협력치안체제구축과 민간경비의 역할,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4: 67-90. 

  13. 신성균 . 박상진 (2009), 민간조사원(탐정)을 활용한 기업보안활동의 강화방안 : 산업스파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0: 199-228. 

  14. 신현주 (2011), 치안업무한계에 따른 탐정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보, 1(1): 139-166. 

  15. 신현주 . 김평식 (2013), 민간경비원의 범죄사례 분석을 통한 민간경비산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2(4): 82-112. 

  16. 양성은 (2013). 사이버 범죄의 동향과 이에 대한 형사법적 책임. Internet & Security Focus. 9월: 54-69. 

  17. 윤건 . 서정욱 (2015), 사이버 범죄가 정보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24(3): 269-288. 

  18. 윤민우 (2014), 새로운 안보환경을 둘러싼 사이버테러의 위협과 대응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0: 109-145. 

  19. 이병규 (2014), 경비업의 공법적 논의, 공법학연구, 15(3): 111-137. 

  20. 이승철 (2008), 민간조사업법의 도입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7: 255-276. 

  21. 이하섭 . 조현빈 (2012), 민간조사제도를 활용한 산업보안 활동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14(6): 257-281. 

  22. 이형민 . 이민형 (2014), 협력치안서비스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정책적 함의-민간경비를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보, 22(2): 241-258. 

  23. 정웅 (2015), 한국 민간조사업의 전개와 시장규모, 그리고 법제화 이후의 경제적 효과 추정, 치안정책리뷰, 48: 9-10. 

  24. 조호대 (2011), 사이버 범죄에 대한 경찰 수사전문화 방안, 한국경찰학회보, 31: 239-258. 

  25. 조호대 . 신동일 (2009), 공공 및 민간부문의 사이버침해사고 현황분석에 따른 대응방안, 한국콘텐츠학보, 9(1): 331-338. 

  26. Cavusoglu, H., Cavusoglu, H., & Raghunathan, S. (2004). "Economics of IT Secuirty Management: Four Improvments to Current Security Pracites".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14: 65-75. 

  27. Elizabeth E. Joh (2004), The Paradox of Private Policing, Journal of Criminal Law and Criminology, 95(1): 49-132. 

  28. Erwin A. Blackstone and Simon Hakim (2010). Privatizing the police, Milken Institute, The Milken Institute Review Third Quarter, pp. 54-61. 

  29. Keith (2001), The Private Investigator's Handbook, Sydney: Bay Island Group Pry Ltd. 

  30. Malcolm K. Sparrow (2014). Managing the Boundary between public and private policing, New perspectives in Policing,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Justice,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31. Minnarr, A. (2004), Crime Prevention, Partnership Policing and the Growth of Private Security: The South African Experience, University of Maribor, Slovenia. 

  32. Sameer Hinduja (2007), Computer Crime Investigations in the United States: Leveraging Knowledge from the Past to Address the Fu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Cyber Criminology, 1(1): 1-26. 

  33. U.S. Dapartment of Justice (2009), Operation Partnership-Trends and Practices in Law Enforcement and Private Security Collaborations. 

  3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홈페이지, http://cyberbureau.police.go.kr 

  35. 국제 법률조사원 협회, http://nalionline.org/ 

  36. 미국 노동부 홈페이지, http://www.bls.gov/oes/current/oes339021.htm 

  37. 미국 산업보안협회, https://www.asisonline.org 

  38. 영국 민간경비산업법, http://www.legislation.gov.uk/ukpga/2001/12/contents 

  39. 국민일보, 2015년 9월 21일자. 

  40. 디지털타임즈, 2015년 11월 23일자. 

  41. 조선일보, 2015년 9월 22일자. 

  42. 헤럴드경제, 2015년 12월 31일자.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