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주시 도시시설물별 화재발생 위험도 평가
The Risk Assessment of the Fire Occurrence According to Urban Facilities in Jinju-si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4 no.1, 2016년, pp.43 - 50  

배규한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  원태홍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  유환희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의 도시화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시인구 증가와 더불어 다양한 도시시설물들이 급속도로 도시에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재해로 인한 피해가 발생되고 있고 사회재난 중 화재는 교통사고와 더불어 도시에서 가장 많은 피해를 입히고 있다. 2015년 우리나라의 화재발생은 44,432건이 발생하여 253명의 사망자와 4,300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여 다양한 피해 저감 노력에도 불구하고 감소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화재정보시스템과 진주소방서를 통하여 2007년부터 2014년까지 발생한 진주시 화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행정자치부의 시설물 현황 DB를 통해 진주시의 화재와 시설물의 군집성을 분석하고 화재위험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미국소방기술사회(SEPE:Society of Fire Protection Engineers) 기준에 따른 화재발생빈도에 대한 위험 등급을 4단계로 구분한 경우 가장 높은 A등급으로 업무시설, 위락시설, 자동차시설이 분류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U등급은 단독주택, 공동주택, 교육시설, 판매시설, 숙박시설, 집합시설, 의료시설, 산업시설, 생활서비스시설, EU등급은 기타주택이고, 마지막으로 가장 낮은 BEU등급은 위험물제조시설로 나타났다. 또한 인명피해를 기준으로 한 경우 가장 위험도가 높은 시설물은 위험물제조시설이었고 재산피해를 기준으로 한 경우는 집합시설과 산업시설이 가장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도시에서 발생된 화재를 시설물별로 구분하여 발생빈도, 인명피해, 재산피해에 대해 위험등급을 산정하여 제시함으로서 도시공간에 분포한 시설물에 대한 화재저감대책을 수립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rbanization in Korea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subsequently, various facilities have been concentrated in urban areas at high speed in accordance with a growing urban population. Accordingly, damages have occurred due to a variety of disasters. In particular, fire damage among the social di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상남도 지역의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최근 7년간 화재발생 건수를 고려할 때, 인구 100만 명에 해당하는 창원은 2,787건으로 나타났으나 진주는 인구수가 약 34만임에도 불구하고 2,441건의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National Fire Disaster System, 20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구대비 화재발생이 높은 경상남도 서부권의 중소도시인 진주시를 대상으로 화재발생의빈도를 파악하고 시설물별 인명피해와 재산피해의 위험등급을 구분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진주시 화재발생의 공간적 분포 특징을 도출하기 위해 진주소방서의 협조로 수집한 진주시 화재발생데이터의 화재발생지점을 점 데이터로 표현하여 공간군집분석에 따라 핫스팟을 생성하였다(Fig. 1).
  • 본 연구에서는 진주시의 2007년부터 2014년까지 발생한 화재데이터를 바탕으로 대상지에서 발생한 화재사고의 분포현황을 분석하고 시설물과의 연계성을 도출하며 시설물에서 발생한 화재를 분석하여 해당 시설물의 화재위험도를 평가하였다. 화재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기법으로는 위험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인 정성적 위험분석, 화재의 위험 자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위험분석, 위험 크기를 지수로 표현하는 상대순위 방법 등이 존재한다(Chung, 2008).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서부권에 위치하고 있는 진주시를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14년까지의 화재 발생 데이터를 수집하고 화재의 분포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시설물의 분포현황을 공간적으로 분석하고 시각화 하여 화재와의 연관성을 도출하고자 하며 시설물별 화재발생빈도를 미국소방기술사회(SEPE: Society of Fire Protection Engineers)의 기준은 연간 화재발생 비율측면에서 절대평가 개념에 따라 화재위험등급을 A, U, EU, BEU의 4등급으로 구분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재난안전법)에서의 재난의 정의는 무엇인가? 이는 도시의 기능이 고차원적으로 진화하고 있어 도시 내 다양한 업무 수행과 편의시설이 집중되면서 재해·재난에 취약함을 나타내고 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재난안전법)에서는 재난을 국민의 생명·신체·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 태풍, 홍수, 호우 등과 같은 자연재난과 화재, 교통사고, 붕괴, 폭발 등과 같은 사회재난으로 정의하고 있다(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5). 사회재난에 속하는 화재는 흔하게 접하게 되는 재난 중 하나로 주된 원인은 사람들의 부주의와 방심에 의해 발생되며(Bae and Yoo, 2014).
국가화재정보시스템은 어떤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는가? 따라서 본 연구에 필요한 화재데이터는 경상남도 진주소방서와 국민안전처의 국가화재정보시스템(National Fire Disaster System, 2015)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해당 시스템에서는 2007년부터 행정지역별 화재발생 통계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발화건수, 발생비율, 인명피해(명), 재산피해(천원), 소실면적 등 기본 현황을 제공하고 있다(Bae, 2016).이와 함께 발화 장소에 관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화재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기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진주시의 2007년부터 2014년까지 발생한 화재데이터를 바탕으로 대상지에서 발생한 화재사고의 분포현황을 분석하고 시설물과의 연계성을 도출하며 시설물에서 발생한 화재를 분석하여 해당 시설물의 화재위험도를 평가하였다. 화재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기법으로는 위험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인 정성적 위험분석, 화재의 위험 자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위험분석, 위험 크기를 지수로 표현하는 상대순위 방법 등이 존재한다(Chung,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ae, G. H., 2016,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and Risk Evaluation of Fire Occurrence in Jinju-si, ma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 1. 

  2. Bae, G. H. and Yoo, H. H., 2014, Fire Risk Assessment on the Land Use Zoning in Korea, Proc. of the 35th Asian Conference on Remote Sensing, Asian Conference on Remote Sensing, CD, file no. PS-048. 

  3. Brian, J. M., 2002, Building Fire Risk Analysis, SE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rd Edition, NFPA, USA, pp. 153-175. 

  4. Chung, E. S.,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isk index for the Fire Risk Assessment of the Buildings, Doctoral thesis, Myeongji University, pp. 7-13. 

  5. Lee, S. M., 2006, Development of the Regional Safety Assesment Model in Seoul-Focusing on Flood, 2006-R-37, Seoul Development Institute, pp. 83-86. 

  6. Shin, J. D., Jeong, S. H., Kim, M. S. and Kim, H. J., 2012, Analysis of Fire Risk with Building Use Type Using Statistical Dat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4, pp. 107-114. 

  7. Sung, B. J., 2015, Temporal and Spacial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in Jinju,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 73. 

  8. Jinju, 2015, Jinju's Yearbook, Jinju City Hall, http://stat.nongae.net 

  9.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5, National Fire Disaster System, http://www.nfds.go.kr 

  10.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5,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http://www.law.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