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탐욕 알고리즘 기반 다중 출구 대피경로 할당
An Evacuation Route Assignment for Multiple Exits based on Greedy Algorithm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4 no.1, 2016년, pp.69 - 80  

이민혁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남현우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전철민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난 발생 시, 실내 공간에서의 신속한 대피를 위해 총 대피시간 최소화를 목적으로 일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총 대피시간이 최소화되는 최적 대피경로를 산출하는데 오랜 연산시간이 소요되어 실제 재난 상황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짧은 연산시간으로 총 대피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대피경로 할당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피경로 할당 알고리즘은 다수의 출구가 존재하는 건물에서 대규모 인원 대피 시, 각 출구에 적절하게 대피인원을 할당하여 출구들의 교통 정체 상황을 균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총 대피시간을 단축시키는 알고리즘이다. 각 출구에 대피인원을 할당하는 방법은 그래프 이론을 기반으로 탐욕 알고리즘의 접근방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해 cellular automata 기반 대피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실제 건물과 유사한 구조에서 다양한 인원분포를 적용한 뒤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최단거리 출구 대피보다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을 때 총 대피시간이 감소되었고 대형 건물 구조에서도 짧은 연산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me studie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minimizing total clearance time for rapid evacuation from the indoor spaces when disaster occurs. Most studies took a long time to calculate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that derived minimum evacuation time. For this reason, this study proposes an evac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짧은 연산시간으로 총 대피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피경로 할당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출구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총 대피시간을 최소화하는 최적 대피경로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산량을 필요로 한다.
  • (2005) 등의 연구에 의해 다뤄진 바 있다. 본 연구는 총 대피시간의 단축이 목적이기 때문에 이번 장에서는 총 대피시간 최소화와 관련되어 수행된 연구들 위주로 살펴보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관련 연구가 그래프 기반의 데이터 구조를 이용하기 때문에 본 장에서 언급하는 노드는 보행자들이 머무는 방과 같은 공간을 의미하고 에지는 복도와 같은 이동통로를 의미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짧은 연산시간으로 총 대피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대피경로 할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대피경로 할당 알고리즘은 다수의 출구가 존재하는 건물에서 대규모 인원 대피 시, 각 출구에 적절하게 대피인원을 할당하여 출구들의 교통 정체 상황을 균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총 대피시간을 단축시킨다.

가설 설정

  • 최종적으로 각 출구의 할당량이 균형적으로 유지되어 총 대피시간은 150tick 감소된 결과를 얻었다. 또한 단 하나의 방만 할당받은 C의 대피종료시점이 총 대피시간이 되었음으로 하나의 방의 재실인원들은 모두 동일한 경로로 대피한다는 가정 하에서는 이 결과가 최적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총 대피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재난현장의 인원 분포를 고려하여 대피 안내를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형 쇼핑몰 및 영화관 등에서는 대피시간의 단축을 위해 영상물이나 게시판 등을 이용하여 최단거리에 위치한 출구를 안내하고 있다. 그러나 건물 내 다수의 출구가 존재하고 인원분포가 불균형적인 상황에서 단순히 최단거리에 있는 출구로 재실자들을 유도하게 되면, 특정 출구에 많은 인원이 집중되어 오히려 총 대피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총 대피시간을 최소화하려면, 재난현장의 인원분포를 고려하여 대피 안내가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엇을 활용하여 최소 대피시간을 탐색하는가? 일반적으로 그래프 이론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을 모델링하고(Chalmet et al., 1982) 수학적 기법(Hamacher and Tjandra, 2001) 및 network flow(Pursals and Garzón, 2013), 휴리스틱 기반의 최적화 알고리즘(Yusoff et al., 2008) 등을 활용해 최소 대피시간을 탐색하고 있다. 최근에는 모델의 검증을 위해 cellular automata(CA)와 같은 보행모델을 적용한 미시적 시뮬레이션도 활용되었다(Kwak et al.
대피경로 할당 알고리즘은 무엇인가? 이에 본 연구는 짧은 연산시간으로 총 대피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대피경로 할당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피경로 할당 알고리즘은 다수의 출구가 존재하는 건물에서 대규모 인원 대피 시, 각 출구에 적절하게 대피인원을 할당하여 출구들의 교통 정체 상황을 균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총 대피시간을 단축시키는 알고리즘이다. 각 출구에 대피인원을 할당하는 방법은 그래프 이론을 기반으로 탐욕 알고리즘의 접근방식을 활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ormen, T. H., Leiserson, C. E., Rivest, R. L. and Stein, C., 1990, Introduction to Algorithms, MIT Press, p. 329. 

  2. Chalmet, L. G., Francis, R. L. and Saunders, P. B., 1982, Network models for building evacuation, Fire Technology, Vol. 18, No. 1, pp. 90-113. 

  3. Chen, P. H. and Feng, F., 2009, A fast flow control algorithm for real-time emergency evacuation in large indoor areas, Fire Safety Journal, Vol. 44, No. 5, pp. 732-740. 

  4. Fruin, J. J., 1992, Designing for pedestrians, Public Transportation United States, http://ntl.bts.gov/DOCS/11877/Chapter_8.html 

  5. Gwynne, S., Galea, E. R., Owen, M., Lawrence, P. J. and Filippidis, L., 1999, A review of the methodologies used in the computer simulation of evacuation from the built environment, Building and Environment, Vol. 34, No. 6, pp. 741-749. 

  6. Hamacher, H. W. and Tjandra, S. A., 2001, Mathematical modelling of evacuation problems: A state of art, Fraunhofer-Institut fur Techno-und Wirtschaftsmathematik, Fraunhofer (ITWM), pp. 1-44. 

  7. Kim, S., Shekhar, S. and Min, M., 2008, Contraflow transportation network reconfiguration for evacuation route planning, Knowledge and Data Engineering, IEEE Transactions on, Vol. 20, No. 8, pp. 1115-1129. 

  8. Kisko, T. M. and Francis, R. L., 1985, EVACNET+: a computer program to determine optimal building evacuation plans, Fire Safety Journal, Vol. 9, No. 2, pp. 211-220. 

  9. Kuligowski, E. D., Peacock, R. D. and Hoskins, B. L., 2005, A review of building evacuation models, MD: US Department of Commerc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pp. 1-29. 

  10. Kwak, S. Y., Nam, H. W. and Jun, C. M., 2012, An Optimal Model for Indoor Pedestrian Evacuation considering the Entire Distribution of Building Pedestria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20, No. 2, pp. 23-29. 

  11. Lovas, G. G., 1995, On performance measures for evacuation system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85, No. 2, pp. 352-367 

  12. Li, Q., Feng, Z., Li, Q. and Zong, X., 2010, Multiobjective evacuation route assignment model based on genetic algorithm, Proc. of the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Geoinformatics, pp. 1-5. 

  13. Lu, Q., George, B. and Shekhar, S., 2005, Capacity constrained routing algorithms for evacuation planning: A summary of results, Advances in spatial and temporal databases,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 291-307. 

  14. Nam, H. W., Kwak, S. Y. and Jun, C. M., 2014, Developing a Cellular Automata-based Pedestrian Model Incorporat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ol. 22, No. 2, pp. 53-62. 

  15. Pursals, S. C. and Garzon, F. G., 2009, Optimal building evacuation time considering evacuation route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192, No. 2, pp. 692-699. 

  16. Pursals, S. C. and Garzon, F. G., 2013, Building evacuation: Principles for the analysis of basic structures through dynamic flow networks, Journal of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6, No. 4, pp. 831-859. 

  17. Wang, X. and Liu, H., 2012, An evacuation algorithm for large buildings, Proc. of the 10th World Congress, Intelligent Control and Automation (WCICA), pp. 2497-2502 

  18. Xie, J., Li, Q., Wan, Q. and Li, X., 2014, Near optimal allocation strategy for making a staged evacuation plan with multiple exits, Annals of GIS, Vol. 20, No. 3, pp. 159-168. 

  19. Yusoff, M., Ariffin, J. and Mohamed, A., 2008, Optimization approaches for macroscopic emergency evacuation planning: a survey, Proc. of the ITSim 2008, Information Technology, Vol. 3, pp. 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