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진토양에서의 137Cs 및 90Sr 분포
Distributions of 137Cs and 90Sr in the Soil of Uljin, South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v.41 no.1, 2016년, pp.49 - 55  

송지연 (경북대학교 방사선과학연구소) ,  김완 (경북대학교 방사선과학연구소) ,  맹성진 (경북대학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  이상훈 (경북대학교 에너지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배경: 우리나라 표층토양 중 원자력 발전소 주변 지역인 울진군을 중심으로 $^{137}Cs$$^{90}Sr$의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토양 속 방사성핵종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한국토양에 발생한 $^{137}Cs$$^{90}Sr$의 농도에 대한 기준자료 확보와 원자력시설 주변 환경영향 평가의 강화가 목적이다. 재료 및 방법: 원자력 발전소 인근 10 km이내의 지역 14곳에서 2011년 4월 표층토양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깊이에 따른 분포 조사를 위하여 40 cm 까지의 토양을 덕구, 후정, 매화 지역에서 채취하였다. $^{137}Cs$의 농도는 HPGe 감마분광시스템으로, $^{90}Sr$의 농도는 방사평형상태의 $^{90}Y$을 기체 유동식 비례계수기로 계측하였다. 결과 및 논의: 표층토양에서 $^{137}Cs$의 방사능농도는 $<0.479-39.6Bq{\cdot}(kg-dry)^{-1}$(평균 $7.51Bq{\cdot}(kg-dry)^{-1}$), $^{90}Sr$의 방사능 농도는 $0.209-1.85Bq{\cdot}(kg-dry)^{-1}$(평균 $0.74Bq{\cdot}(kg-dry)^{-1}$)이었다. 방사능비($^{137}Cs/^{90}Sr$)는 9.67로서 전지구적 초기 방사성 낙진의 1.75보다 큰 값을 보였는데, 이는 낙진 이후 $^{90}Sr$의 심층으로의 빠른 이동성 때문이다. 깊이에 따른 분포는, 덕구와 후정의 토양에서 $^{137}Cs$ 의 농도가 표층토양에서 가장 높고 깊이가 증가할수록 급격히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90}Sr$의 방사능농도는 표층 및 깊이 30 cm 부근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표층토양 방사능 농도와 표층토양 변수들(pH, 유기물함량, 입도)과의 선형 핏팅에서는 $^{137}Cs$ 방사능과 유기물함량 사이에 상당한 상관관계(결정계수 $R^2=0.6$)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울진 토양의 $^{137}Cs$$^{90}Sr$의 방사능농도 범위는 한국 다른 지역의 값과 유사함을 확인하였고 $^{137}Cs$ 방사능과 유기물함량 사이에 상당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For the purpose of baseline data collection and enhancement of environmental monitoring the distribution studies of $^{137}Cs$ and $^{90}Sr$ in the soil of Uljin province was performed and the relation between surface soil activities and soil properties (pH, TOC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Sr의 깊이별 농도 변화 요인에 대해 좀 더 세밀한 분석에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방면으로 심화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한 한 방법으로 우리나라 표층토양 중 원자력 발전소 주변 지역인 울진군을 중심으로 137Cs과 90Sr의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토양 속 방사성핵종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낙진에 의해 한국토양에 발생한 137Cs과 90Sr의 농도에 대한 기준자료와 원자력시설 주변 환경영향 평가의 기초자료를 얻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류권 및 성층권으로 방출된 방사성물질 중 지표면으로 낙하한 물질은 어떻게 되는가? 대류권 및 성층권으로 방출된 방사성물질은 장기간에 걸쳐 빗물과 함께 지표면으로 낙하한다. 이중 반감기가 비교적 짧은 핵종들은 대부분 이미 붕괴되었고, 비교적 반감기가 긴 137Cs (30.2 년)과 90Sr (28.8년), 그리고 Pu동위원소들은 아직도 방사성 낙진으로 환경시료에서 검출되며, 환경에서 오염수준은 시간과 지리적 위치에 따라 상당히 크게 변화된다 [2, 3].
원자력발전소 주변에 대한 환경방사능 조사가 실시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원자력발전소 주변에 대한 환경방사능 조사는 법과 규정에 따라 주민이 발전소 가동으로 인해 추가로 받게되는 방사선량을 평가하고, 발전소 주변 환경에서 방사성물질의 축적 경향을 파악하며, 방사성물질의 배출에 의한 주변 환경의 영향을 판단하는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된다. 최근에는 환경보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원전주변 방사선 환경 안전에 대한 인식이 주요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법과 규정에 따른 조사 외에도 다양한 심층 조사가 필요하다.
울진의 원자력 발전소 가동 현황은? 최근에는 환경보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원전주변 방사선 환경 안전에 대한 인식이 주요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법과 규정에 따른 조사 외에도 다양한 심층 조사가 필요하다. 조사의 대상지역인 울진에는 현재 시설용량 95만kW급인 한울 1, 2호기와 100만kW급인 한국표준형 경수로발전소 3, 4, 5, 6호기가 가동 중에 있으며, 원자력 발전시설의 운전과 관련하여 원전 주변의 환경방사능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필요가 큰 지역이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평가 보고서에 의하면 이 지역에서의 환경방사능을 수년간 조사한 결과, 검출되는 137Cs과 90Sr은 원전으로부터 기인한다기보다는 전국에서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검출되는 원폭실험의 방사성 낙진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The annual report on the environmental radiological surveillance and assessment around the nuclear facilities. KINS/AR-140. Daejeon, Republic of Korea. 2010;46-51. 

  2. KNS Committee on the Fukushima Accident. Final report on Fukushima NPP accident analysis. Korean Nuclear Society. 2013;60-69. 

  3. Cooper JR, Randle K, Sokhi RS. Radioactive releases in the environment. 1st Ed. John Wiley & Sons. 2003;1-24. 

  4. Cha HJ, et al. Vertical distribution of $^{137}Cs$ and $^{90}Sr$ activities in the soils of Korea.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2004;29(3):197-204. 

  5. Willard HH, Goodspeed EW. Separation of strontium, barium, and lead from calcium and other metals - by precipitation as nitrates. Ind. Eng. Chem. 1936;8(6):414-418. 

  6.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Environmental radioactivity survey in Korea. KINS/ER-028. Daejeon, Republic of Korea. 2011;85-86. 

  7. Kirchner TB, Whicker FW, Otis MD. PATHWAY: A simulation model of radionuclide-transport through agricultural food chains.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tate-of-the Art in Ecological Modeling, Colorado State Univ. Ft. Collins, CO. 1982 May 24-28;10. 

  8. Thornthwaite CW, Mather JR, Nakamura JK. Movement of radiostrontium in soils. Science. 1960;131(3406):1015-1019. 

  9. Russell RS. Deposition of $^{90}Sr$ and its content in vegetation and in human diet in the United Kingdom. Nature. 1958;182:834-839. 

  10. He Q, Walling DE. Interpreting particle size effects in the adsorption of $^{137}Cs$ and unsupported $^{210}Pb$ by mineral soils and sediments. J. Environ. Radioact. 1996;30(2):117-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