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위터 유력자와의 의견일치여부가 의견표명에 미치는 영향: 유력자 유형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Opinion Congruency with Twitter Influentials on Opinion Expression: The Interaction Effect of Influential Typ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4, 2016년, pp.455 - 465  

진소연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이숙정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초록

본 연구는 트위터 유력자가 이용자의 온-오프라인 의견표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침묵의 나선 이론과 수정 행동 가설에 근거하여 상반된 가설을 도출하였고, 어느 가설이 더 타당한지를 검증해보기 위해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참가자들은 입양특례법 개정안에 대한 공인 유력자의 찬성 트윗, 공인 유력자의 반대 트윗, 일반인 유력자의 찬성 트윗, 일반인 유력자의 반대 트윗이라는 4개의 실험 조건에 배치되었다. 입양특례법 개정안에 대한 실험참가자의 의견을 바탕으로, 실험집단은 공인 유력자와의 의견일치 집단, 공인 유력자와의 의견불일치 집단, 일반 유력자와의 의견일치 집단, 일반 유력자와의 의견불일치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분석결과, 유력자와의 의견일치여부는 이용자의 의견표명 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유력자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는데, 일반인 유력자와의 의견불일치가 이용자들의 온-오프라인 의견표명 의지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트위터 유력자가 이용자들을 침묵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의견표명을 동기화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witter influenctials on users' willingness on express opinions. Based on the spiral of silence and corrective action hypothesis, the contradictory hypotheses were drawn. The online expeiment was conducted to verify which hypothesis is valid.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트위터 유력자는 정보원으로, 일반 이용자들은 수신자로 간주하여, 정보원에 의한 수신자의 인식 및 태도 변화를 분석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트위터 유력자의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일반 이용자들의 적극적인 의견표명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트위터 유력자와의 의견일치여부가 일반 이용자들의 의견표명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유력자의 유형에 따른 차이를 검증할 것이다.
  •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트위터 유력자와의 의견일치여부가 이용자의 의견표명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설명하는 데 침묵의 나선 이론이 타당한지, 수정 행동 가설이 타당한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나아가 트위터 이용자의 의견표명 의도가 온라인 내 의견표명에 한정되어 나타나는지, 아니면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의견표명까지 확장되는지도 살펴보기 위해 온라인 의견표명과 오프라인 의견표명을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다양한 정치사회적 이슈를 대상으로 연구결과의 반복가능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이슈에 대한 관여도가 미치는 영향력을 최대한 배제하고자 관여도가 낮은 이슈를 선택하여 실험을 진행했다. 그러나 대학생들의 입양특례법에 대한 낮은 관여도로 인해 유력자의 영향력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침묵의 나선 이론과 수정 행동 가설이 서로 상반된 연구가설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트위터 유력자가 이용자의 의견표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한편 수정 행동 가설에 근거할 때, 트위터 유력자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지각하지만 유력자의 트윗이 편향되었다고 생각한다면, 편향된 메시지의 확산과 그 오류를 바로 잡기 위해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트위터 유력자와의 의견일치여부가 이용자들의 의견표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서, 유력자의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을 통해 트위터 유력자가 이용자들의 의견표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트위터 유력자와의 의견일치여부가 의견표명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유력자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 실험참가자들의 입양특례법 개정안에 대한 인식 정도에 따라, 개정안에 대한 태도와 의견표명 의도 수준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사전지식의 영향력을 통제하고자 하였다. ‘귀하는 입양특례법 개정안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단일문항에 5점 척도(1점: 전혀 모른다 – 5점: 매우 잘 알고 있다)로 측정하였으며, 실험참가자들의 사전지식 수준은 평균 1.
  •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트위터 유력자가 이용자의 의견표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수정 행동 가설의 타당성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트위터가 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트위터 유력자를 통한 정보 확산, 이로 인한 이용자들의 여론 지각, 나아가 이용자들의 의견표명 가능성 차원을 고려하여 분석되어야 한다.
  • 그러나 본 연구는 트위터 유력자의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일반 이용자들의 적극적인 의견표명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트위터 유력자와의 의견일치여부가 일반 이용자들의 의견표명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유력자의 유형에 따른 차이를 검증할 것이다.
  •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트위터 유력자와의 의견일치여부가 이용자의 의견표명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설명하는 데 침묵의 나선 이론이 타당한지, 수정 행동 가설이 타당한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나아가 트위터 이용자의 의견표명 의도가 온라인 내 의견표명에 한정되어 나타나는지, 아니면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의견표명까지 확장되는지도 살펴보기 위해 온라인 의견표명과 오프라인 의견표명을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실험참가자들이 해당 트위터가 유력자 계정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트윗, 팔로잉, 팔로워 수를 조작하였으며, 유력자 유형 및 찬반 입장을 제외한 프로필, 트윗 및 팔로잉 수 등 트위터 페이지의 모든 요소들을 동일하게 하였다. 이상의 실험처치가 연구자의 의도대로 조작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미디어 전공 대학원생 3명과 학부생 8명을 대상으로 뉴스 기사와 트윗의 찬반 입장에 대한 이해 정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실험참가자들이 뉴스 기사를 통해 해당 이슈의 쟁점을 이해하고 트윗의 입장을 구분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가설 설정

  • 매스미디어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던 침묵의 나선 이론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가설을 도출한다면, 자신의 의견이 트위터 유력자의 트윗을 통해 지각된 여론과 불일치할 경우 침묵하게 되고 의견표명을 회피하게 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한편 트윗의 내용이 자신의 의견과 일치한다고 생각할 경우, 의견표명 의지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이 제시하는 바와 같이 트위터 유력자가 일반 이용자의 여론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가정한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의도하지 않게 트위터 유력자와 일반 이용자의 관계를 일방향적인 관계로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트위터 유력자와 전통적 의견지도자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전통적 의견지도자처럼, 트위터 유력자는 미디어 메시지를 일반 수용자들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인보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고, 미디어를 통한 정보습득 정도가 많고, 사회 전반에 대한 관심 뿐 아니라 관련 지식 수준이 높아서, 특정 이슈에 관한 일반 수용자의 태도 형성에 영향력을 행사한다[9]. 그러나 인터넷 망을 활용하여 디지털화된 미디어 메시지를 중계하고, 자신의 의견을 트윗을 통해 전달하고, 그 트윗이 팔로워들에 의해서 즉각적으로 리트윗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의견지도자와는 차원이 다른 정보 전파력을 가진다.
소셜네트워킹서비스란 무엇인가?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는 자신을 중심으로 관계망을 형성하고, 형성된 관계망을 토대로 정보를 공유하는 온라인 서비스이다[1]. 다양한 SNS 서비스 중에서, 트위터는 타인과의 일방적인 관계 맺기가 가능하며 리트윗이라는 커뮤니케이션 기능이 있어서 신속하고 광범위한 정보 전파가 가능한 서비스이다[2].
트위터의 특징은 무엇인가?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는 자신을 중심으로 관계망을 형성하고, 형성된 관계망을 토대로 정보를 공유하는 온라인 서비스이다[1]. 다양한 SNS 서비스 중에서, 트위터는 타인과의 일방적인 관계 맺기가 가능하며 리트윗이라는 커뮤니케이션 기능이 있어서 신속하고 광범위한 정보 전파가 가능한 서비스이다[2]. 선행연구들은 트위터의 정보 전파력에 주목하여 트위터가 여론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N. B. Ellison and D. Boyd,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13, No. 1, pp. 210-230, 2007. 

  2. 이재현, 김찬균, "트위터 네트워크의 정보 전파과정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3호, pp. 238-265, 2012. 

  3. 이원태, 차미영, 양해륜, "소셜미디어 유력자의 네트워크 특성: 한국의 트위터 공동체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48권, 제2호, pp. 44-79, 2011. 

  4. 황유선, "유명인과의 트위터 매개 상호작용 특성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 72-82, 2013. 

  5. 홍주현, 차희원, "위기 이슈의 발생가능성과 파급 효과에 따른 이슈 확산 네트워크 유형 연구: 식품 관련 위기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2호, pp. 365-395, 2015. 

  6. 이승희, 임소혜, "트위터의 매체 간 의제설정: TV 토론 방송과 트위터의 여론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 139-149, 2014. 

  7. 박상호, "SNS의 여론형성과정과 참여형태에 관한 고찰,"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제58호, pp. 55-73, 2012. 

  8. 홍인기, 이상우, "트위터의 뉴스 재매개가 이용자의 뉴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 적대적 미디어 지각 이론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통권 제90호, pp. 74-105, 2015. 

  9. E. Katz, “The Two-Step Flow of Communication: An Up-to-Date Report on an Hypothesis,” Public Opinion Quarterly, Vol. 21, No. 1, pp. 61-78, 1957. 

  10. 황현정, 이준웅, "누가 어떻게 트위터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가?,"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5호, pp. 5-35, 2014. 

  11. 이지은, 두수진, 이상민, 최한나, 이민규, "소셜 미디어 매개유력자의 속성과 트위터 메시지 유형 연구: 파워 트위터리안의 리트윗 메시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6호, pp. 245-276, 2014. 

  12. P. F. Lazarsfeld, B. Berelson, and H. Gaudet, The People's Choic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48. 

  13. 이준웅, 김은미, 김현석, "누가 인터넷 토론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가?,"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3호, pp. 358-384, 2007. 

  14. 최윤정, "온라인 커뮤니티 속 오피니언 리더 집단 검증,"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4호, pp. 372-394, 2009. 

  15. B. Lyons and K. Henderson, "Opinion Leadership in 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 J. of Consumer Behaviour, Vol. 4, No. 5, pp. 319-329, 2005. 

  16. 이상록, 이지연, 성경, "트위터 안의 정치 담론에 나타난 매개 유력자 분석: 2012년 4.11 총선 주요 이슈를 중심으로,"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10권, 제4호, pp. 7-38, 2012. 

  17. 박선희, 한혜경, "의견, 여론지각, 지각편향이 공개적 의견표명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제42호, pp. 168-204, 2008. 

  18. E. Noelle-Neumann, “The Spiral of Silence a Theory of Public Opinion,” J. of Communication, Vol. 24, No. 2, pp. 43-51, 1974. 

  19. 장윤남, 김영석, 백영민, "트위터 공간에서의 허위합의지각: 네트워크 동질성과 이념강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5호, pp. 271-296, 2013 

  20. S. Gearhart and W. Zhang, "Gay Bullying and Online Opinion Expression Testing Spiral of Silence in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Vol. 32, No. 1, pp. 18-36, 2014. 

  21. H. Y. Kim, J. H. Kim, and M. H. Oh, "Regulation and Detection Methods for Genetically Modified Foods in Korea," Pure and Applied Chemistry, Vol. 82, No. 1, pp. 129-137, 2010. 

  22. K. Miyata, H. Yamamoto, and Y. Ogawa, "What Affects the Spiral of Silence and the Hard Core on Twitter? An Analysis of the Nuclear Power Issue in Japan,"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No. 13, 2015. 

  23. G. W. Yun and S. Y. Park, "Selective Posting: Willingness to Post a Message Online," J.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16, No. 2, pp. 201-227, 2011. 

  24. H. Rojas, ""Corrective" Actions in the Public Sphere: How Perceptions of Media and Media Effects Shape Political Behavior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Vol. 22, No. 3, pp. 343-363, 2010. 

  25. Y. Sun, L. Shen, and Z. Pan, "On the Behavioral Component of the Third-Person Effect," Communication Research, Vol. 35, No. 2, pp. 257-278, 2008. 

  26. M. Barnidge and H. Rojas, "Hostile Media Perceptions, Presumed Media Influence, and Political Talk: Expanding the Corrective Action Hypothesis," International J. of Public Opinion Research, Vol. 26, No. 2, pp. 135-156, 2014. 

  27. U. Bernhard and M. Dohle, "Corrective or Confirmative Actions? Political Online Participation as a a Consequence of Presumed Media Influences in Election Campaigns," J. of Information Technology & Politics, Vol. 12, No. 3, pp. 285-302,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