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리치료에서 상호주관성 개념의 의미 탐색
Study on the Concept of Intersubjectivity in Psychotherap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4, 2016년, pp.569 - 581  

최이선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과 상담 및 교육심리 전공)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상호주관성에 대한 연구경향성과 심리치료로서의 임상적 의미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심리치료에서의 상호주관성이 어떻게 중요한지에 대한 이론적 개념에 대해 탐구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상호주관성의 개념 및 연구경향성 과 둘째, 발달과정으로서의 상호주관성, 셋째, 애착과 상호주관성, 넷째, 심리치료에서의 상호주관성으로 나누어 면밀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인간의 발달에서 상호주관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심리치료 분야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그 이론적인 기초와 근거를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heoretical research on the tendency of Intersubjectivity. To this end, this paper is how intersubjectivity in psychotherapy was exploring the theoretical concept of the importance. Looking specifically, was undertaken to examine closely divided as follow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그 개념의 어려움과 합의된 개념으로서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다는 한계점으로 인해, 심리치료분야에서는이 개념의 중요성에 비해 그동안 다루어져 온 연구 분야가 질적·양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상호주관성의 개념이 심리치료분야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고 논의되고 있는 지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 본고에서는 심리치료에서 상호주관성의 개념이 어떻게 펼쳐지는지 살펴보았으며, 이렇게 치료적 관계에서 혹은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에서 상호주관적인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주관성의 임상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 이 글은 상호주관성 개념을 중심으로 심리치료에서의 중요성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심리상담 및 치료에는 다양한 기법들이 존재한다.
  • 본 연구는 철학의 주요한 개념이자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지고 있는 상호주관성 개념의 면밀한 이론적 고찰 과정을 통해 상담심리학이나 가족치료 혹은 교육학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보다 더 주요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인 기초가 될 것이며, 나아가서는 상호주관성의 맥락 속에서 심리치료의 방법론적 접근으로의 이론적 기틀을 마련한다는데 있어 적절한 도움을 가져다 줄 것으로 본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상호주관성의 개념과 발달 및 애착으로서의 상호주관성과 심리치료에서의 중요성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호주관성이 정신분석의 전통적 개념에서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온 이론으로 주목 받았으나 실질적인 연구 성과가 없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이렇게 철학적인 개념으로 사회학, 교육학 등에서 연구되어온 상호주관성이 정신분석의 전통적 개념에서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온 이론으로 주목받아왔다. 그러나 그 개념의 어려움과 합의된 개념으로서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다는 한계점으로 인해, 심리치료분야에서는이 개념의 중요성에 비해 그동안 다루어져 온 연구 분야가 질적·양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상호주관성의 개념이 심리치료분야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고 논의되고 있는 지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상호주관성이란 무엇인가? 상호주관성은 다른 사람과 ‘함께 있어주기’라는 비언어적인 감각으로 몸짓과 움직임, 감각과 정서 등에 대한 상호조절 동안 일어나는 대인관계상의 공명이 나타난 직접적인 결과이다. 두 사람 간에서 진행되는 상호 조절은 시간을 두고 형성되며, 성공적으로 소통된 각 회기는 긍정적인 표현들이 대인관계에서의 연결, 상호확신, 안전감들에 대한 느낌을 증폭하게 되는 정서적 조율을 만들어낸다[36].
상호주관성 이론의 대표적인 예는? 상호주관성이론은 교육학에서도 논의가 되어왔는데, 교육학 범주 내에서 논의된 상호주관성 이론의 대표적인 예로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이론3, 부버의 대화철학, 발덴펠스의 응답적 현상학을 들 수 있다[8][50]. 미드의 상징적 상호작용론, 듀이의 의사소통 개념,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게임이론 등을 상호주관성 이론의 범주에 추가하여 이해하고 있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3)

  1. 김성동, 상호주관성의 재구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2. 김용숙, "어머니의 성인애착유형과 유아의 의사 소통유형과의 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9, No. 10, pp. 474-481, 2009. 

  3. 김윤옥, 상호주관성에 바탕을 둔 화법 교육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4. 김창대, 애착이론의 적용: 볼비의 '애착'중, 옮긴이 해제, 나남출판사, 2006. 

  5. 김태완, 심리치료에서 치료자-내담자 간 상호주관성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6. 배재정, 정정희, “유아기의 사회적 가상놀이와 상호주관성 발달에 관한 이론적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Vol. 8, No. 1, pp. 155-175, 2003. 

  7. 오종숙, "프로젝트 학습에서 아동의 상호주관성과 미술표현의 관계에 대한 해석적 이해," 미술과교육 Vol. 10, No. 1, pp. 81-110, 2009. 

  8. 우정길, "탄생적 상호주관성과 교육:비에스타의 아렌트 수용을 중심으로," 교육철학연구, 제36권, 제1호, pp. 53-72, 2014. 

  9. 이남인, "발생적 현상학과 상호주관성의 문제," 철학사상16,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pp. 29-70, 2003. 

  10. 이승희, "놀이치료자의 내적 경험이 치료적 관계 와 놀이치료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교육치료연구, Vol. 6, No. 2, pp. 229-250, 2014. 

  11. 이지현, 박은혜, 김희진, "공동의 의미창출 과정에서의 유아 역할의 재발견," 유아교육연구, Vol. 18, No. 2, pp. 115-134, 1998. 

  12. 최영민, "상호주관성," 정신분석학회논문지, Vol. 19, No. 2, pp. 125-138, 2008. 

  13. 최영민, 정신분석강의, 미간행물, 2014. 

  14. 최정실, "교육내용의 상호주관성 구성," 교육연구회, Vol. 36, No. 1, pp. 37-51, 1998. 

  15. 한전숙, 현상학의 이해, 서울: 민음사, 1987. 

  16. Alex Gillespie & Flora Cornish, "Intersubjectivity: Toward a Dialogical Analysis," Journal for the Theory of Social Behavor, Vol. 40, No. 1, 2009. 

  17. L. Aron, "Analytic impasse and the third:clinical implications of intersubjectivity theory," Int J Psychoanal, Vol. 87, pp. 349-368, 2006. 

  18. J. A. Bargh and T. L. Chartrand, "The unbearable automaticity of 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 54, pp. 462-447, 1999. 

  19. G. Biesta, "Radical Intersubjectivity:Reflections on the 'Different' Foundation of Education,"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Vol. 33, No. 1, pp. 7-21, 1999. 

  20. G. B. Bourque, "Comming Home to the Embodied Self : Review of The Psychophysiology of Self Awareness," Rediscivering the Lost art of Body Sense, RMIJ, Vol. 2, No. 2, pp. 22-27, 2009. 

  21.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Vol. l Attachment, New york: Basic Books(Original publication 1969), 1982. 

  22. J. A. Bowlby, secure base, New York: Basic Books.1988. 

  23. J. Bowlby, 애착 [Attachment],(김창대 역), 경기도:나남출판사, 2009. 

  24. Buber, 만남의 교육, 강선보 역, 서율: 양서원, 1996 

  25. J. Briere and C. Scott, Principles of trauma therapy, New York: Sage, 2006. 

  26. P. M. Bromberg, Awakening the dreamer Clinical journeys, Mahwah, NJ: Analytic Press, 006. 

  27. J. S. Bruner, Processes of cognitive growth: Infancy(Heinz Werner Lectures), Worcester, MA:Clark University Press(with Barri), 1968. 

  28. J. S. Bruner, Acts of meaning, Cambridge, MA: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29. Clara E. Hill and Karen M. O'Brien, 상담의 기술[Helping skill:Facilitating Exploration. Insight and Action](주은선 역), 학지사, 2001. 

  30. W. S. Condon and L. S. Sander, "Neonate movement is synchronized with adult speech: Interactional participation and language acquisition," Science, Vol. 183, pp. 99-101, 1974. 

  31. A. Damasio, The Feeling of what happens:Body and emotion in the making of consciousness, New York:Harcourt, Brace, 1999. 

  32. Daniel A. Hughes, 애착중심 가족치료 [Attachment-Focused Family Therapy], (노경 선외 6명역), 서울:눈 출판사, (원전은 2007년에 출판), 2014. 

  33. David J. Wallin, 애착과 심리치료, [Attachment in psychotherapy], (김진숙, 이지연 공역), 학지사, 2007. 

  34. J. Decety and T. Chaminade, "Neural correlates of feeling sympathy," Neuropsychologia, Vol. 41, pp. 127-138, 2003. 

  35. Diana Fosha, Daniel J. Siegel, Marion F, Solomon, 감정의 치유력 [The Healing Power of Emotion], (노경선, 김건종 외 역), 서울: 눈 출판, 2013. 

  36. A. Fogel, The psychophysiology of self-awareness: Rediscovering the lost art of body sense, New York: WW Norto, 2009. 

  37. P. Fonagy, "The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from infancy to adulthood: The mysterious unfolding of disturbance in time,"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Vol. 24, pp. 212-239, 2003. 

  38. P. Fonagy and M. Target, "The mentalization focused approach to self 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 Vol. 20, No. 6, pp. 544-576, 2006. 

  39. L. Gaston, "The concept of the alliance and its role in psychotherapie :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Psychotherapeut, Vol. 27, pp. 143-153, 1990. 

  40. Gerald Corey,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Thery ans practice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조현추, 조현재 공역), 시그마프레스, 2006 

  41. A. Goncu and V. Cannella, "The Role of Teacher Assistance in Children's Construction of Intersubjectivity During Conflict Resolution,"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Vol. 73, pp. 57-69, 1996. 

  42. L. S. Greenberg, "Emotion coming of age.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aractice, Vol. 14, pp. 414-421, 2008. 

  43. M. Hartmann, K. T. Kronmuller, H. Horn, C, Reck, M. Backenstrab, K. Neumann, D. Victor, and K. Winkelmann, "Wirkfaktoren in der Kurzzeittherapie bei Kindern und Jugendlicher," Zeitschrift fur Theorie und Praxis der analytischen Kinder und Jugendlichen-Psychoanalyse, Heft 106, pp. 123-152, 2000. 

  44. A. O. Horvath and B. D. symonds, "Relation Between Working Alliance and outcome in Psychotherapy: A Meta-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38, pp. 139-149, 1991. 

  45. G. Holstege, R. Bandler, and C. B. Saper(Eds.), The emotional motor system, Amsterdam: Elsevier, 1996. 

  46. E. Husserl, 현상학의 이념. 엄밀한 학으로서의 철학(이영호, 이종훈 역), 서울 :서광사, 1989. 

  47. J. K. Larsen, N. Brand, B. Bermond, and R. Hijman, "Cognitiv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alexithymia: A review of neurobiological studie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 54, pp. 533-541, 2003. 

  48. H. Levine and R. Friedman, "Intersubjectivity and interaction in the analytic relationship:a mainstream view," Psychoanal Q, Vol. 69, pp. 63-92, 2000. 

  49. M. D. Lewis, "Bridging emotion theory and neurobiology through dynamic systems modeling,"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Vol. 28, pp. 168-194, 2005. 

  50. W. Lippitz and J. G. Woo, Padagogischer Bezug, Erzieherisches Verhaltnis. Frost, U. u. a.(Hrsg), Handbuch der Erziehungswissenschaft (Bd. I), Paderborn: Schoningh, pp. 405-419, 2008. 

  51. S. Malloch and C. Trevarthen, Communicative musucality: Exploring the basis of human companionship, Oxford.UK: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52. J. C. Norcross, "Purposes, processes, and products of the task force on empirically supported therapy relationships," Psychotherapy, Vol. 38, pp. 345-356, 2001. 

  53. C. Ogden P. Pain, K. Minton, and J. Fisher, "Including the body in mainstream psychotherapy for traumatized individuals," Psychologist-Psychoanalyst, Vol. 25, No. 4, pp. 19-24, 2005. 

  54. T. Ogden, "The analytical third: working with intersubjective clinical facts," Int J Psychoanal Q, Vol. 75, pp. 3-20, 1994. 

  55. T. Ogden, "The analytic third: Implications for psychoanalytic theory and technique," Psychoanal Q, Vol. 73, pp. 167-195, 2004. 

  56. D. E. Orlinsky, K. Grawe, and B. K. Parks, Process and outcome in psychotherapy, In A. E. Bergin & S. L. Garfield(Eds.), Handbook of psychotherapy and behavior change, New York: Basic Books, 1994. 

  57. J. Panksepp, Mood changes, Handbook of clinical neurology: Vol. 1, Clinical neuropsychology (pp. 271-285), Amsterdam: Elsevier Science Publishers, New York: Norton, 1985. 

  58. O. Renik, "Intersubjectivity in Psychoanalysis," Int Psychoanal, Vol. 85, pp. 1053-1064, 2004. 

  59. G. Rizzolatti and M. A. Arbib, "Language within our grasp," Trends in the Neurosciecnes, Vol. 21, pp. 188-104, 1998. 

  60. R. Ryan, "Motivation and emotion: A new look and approach for two reemerging fields," Motivation and Emotion, Vol. 31, pp. 1-3, 2007. 

  61. A. N. Schore, Affect regulation and the orgin of the self. Mahweh, NJ: Erlbaum, 1994. 

  62. A. N. Schore, "Interdisciplinary developmental research as a source of clinical models, In M. Moskowitz, C.Monk. C.Kaye, & S. Ellman(Eds.), The neurobiological and developmental basis for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 (pp. 1-71), New York: Jason Aronson, 1997. 

  63. A. N. Schore, "Commentary onemotions: Neuro-psychoanalytic views," NeuroPsychoanalysis, Vol. 1, pp. 49-55, 1999. 

  64. A. N. Schore, "Attachment, affect regulation, and the developing right brain: Linking developmental neuroscience to pediatrics," Pediatrics in Review, Vol. 26, pp. 204-211, 2005a. 

  65. A. N. Schore, "A neuropsychoanalytic viewpoint: Commentary on paper by Steven H. Knoblauch," Psychoanalytic Dialogues, Vol. 15, pp. 829-854, 2005b. 

  66. A. N. Schore, "Review of Awakening the dreamer:Clinical journeys by Philip M. Bromberg," Psychoanalytic Dialogues, Vol. 17, pp. 753-767, 2007. 

  67. Siegel, The mindful brain, New York :Norton, 2006. 

  68. D. N. Stern, "A micro-analysis of mother-infant interaction: Behaviors regulating social contact between a mother and her three-and-a-half-month-old twins,"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Psychiatry, Vol. 10, pp. 501-511, 1971. 

  69. D. N. Stern, Mother and infant at play: The dyadic interaction involving facial, vocal and gaze behaviours, In M. Lewis & L.A.Rosenblum(Eds.), The effect of the infant on its caregiver, pp. 187-213, New York: Wiley, 1974. 

  70. D. N. Stern, The interpersonal world of the infant:A view from psychoanalysis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New York: Basic Books, 1985. 

  71. D. N. Stern, The interpersonal world of the infant: A view from psychoanalysis and development psychology(2nd ed.), New York: Basic Books, 2000. 

  72. D. N. Stern, The present moment in psychotherapy and everyday life, New York: Norton, 2004. 

  73. D. Stewart and A. Mickunas, Exploring phenomenology, Athens:Ohio University Press, 1990. 

  74. R. Stolorow and G. E. Atwood, Contexts of being:the intersubjective foundation of psychological life, Hillsdale New Jersey: Analytic Press, 1992. 

  75. R. Stolorow and F Lachmann, Psychoanalysis of developmental arrests. New York :Intersubjective systems theory, Psychoanal Qm Vol. 67, No. 431-449, 1997. 

  76. Tizourio-Mazoyer, Neural correlates of woman face processing by 2-month-old infants, NeuroImage, Vol. 15, pp. 454-461, 2002. 

  77. C. Trevarthen, Descriptive analysis of infant communicative behavior, In: Schaffer HR. Studies in mother-infant interaction, London: Academic Press, 1997. 

  78. C. Trevarthen, "Intrinsic motives for companionship in understanding: Their origin,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for infant mental health,"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Vol. 22, pp. 95-131, 2001. 

  79. C. Trevarthen and K. J. Aktien, "Infant intersubjectivity: Research, theory, and clinical application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atry, Vol. 42, pp. 3-48, 2001. 

  80. E. Tronick, "Emotions and emotional communication in infants," American Psychologist, Vol. 44, pp. 112-119, 1989. 

  81. D. Victor, K. T. Kronmuller, H. Horn, C. Reck, and M. Hartmann, Die therapeutische Beziehung und Kooperation in der analytischen Kinder Jugendlichenpsychotherapie, In: G. Krampen, H. Zayer, W. Schonpflug & G.Richardt (Hrsg.). Beitrage zur Angewandten Psychologie, Bonn: Deutscher Psychologen Verla, 1999. 

  82. D. W. Winnicott, Playing and Reality, London: Tavistock, 1971. 

  83. http://terms.naver.com/entry.nhn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