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야간 적색 LED 처리가 'Fuji'/M.26 사과나무의 광합성, 영양생장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ed LED Treatment on Photosynthesis, Vegetative Growth and Fruit Quality in 'Fuji'/M.26 Apple Trees during Night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5 no.1, 2016년, pp.57 - 62  

권헌중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  박무용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  송양익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  강석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소) ,  사공동훈 (대구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일몰 후 밤 동안의 적색 LED(light emitting diode) 처리가 성목기 '후지'/M.26 사과나무의 광합성, 영양생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적색 LED 처리구의 주간 광합성속도, 기공전도도 및 증산속도는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적색 LED 처리구의 야간 기공전도도와 증산속도는 무처리구보다 낮았고, 일몰 후 밤 동안의 적색 LED 처리는 야간 광합성을 유도하지 않았다. 잎의 특성에 있어서는, 적색 LED 처리는 잎의 면적과 C/N율을 증가시켰으나 잎의 SPAD값은 감소시켰다. 과대지의 길이는 적색 LED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짧았다. 과실의 특성에 있어서는 적색 LED 처리는 과실의 에틸렌 발생량, 호흡속도,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착색 정도를 증진시켰는데, 특히 착색 정도는 적색 LED 처리시간이 길수록 증가되었다. 결론적으로, '후지'/M.26 사과나무의 일몰 후 야간 적색 LED 처리는 과실의 성숙을 촉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red LED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on the photosynthesis, vegetativ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Fuji'/M.26 adult apple tree during night after sunset. The photosynthetic rate,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rate at daytime of red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시험은 ‘후지’/M.26 사과나무를 대상으로 노지에서 야간에 적색 LED 보광 처리를 통하여 수체의 광합성, 영양생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실험은 일몰 후 밤 동안의 적색 LED(light emitting diode) 처리가 성목기 ‘후지’/M.26 사과나무의 광합성, 영양생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의 유무 및 광질에 따른 고등식물의 에틸렌 합성의 연구결과는 무엇이 있는가? 고등식물의 에틸렌 합성은 광의 유무 및 광질에 크게 영향을 받는데,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연구자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그 결과를 보면, Kim 등(1995)은 광은 식물의 종에 따라 에틸렌 함량을 증가도 시키고 감소도 시킨다고 한 반면에, Byun 등(2006)은 대부분의 녹색식물에서 에틸렌 발생은 광 조건에서 억제된다고 하였고, Heo 등(2009)은 아프리칸 매리골드나 살비아에 적색 LED 광을 조사하면 광합성속도가 증진되면서 식물체 내의 에틸렌 발생량이 증가한다고 하였다. 즉, 사과나무에 있어 에틸렌은 과실의 품질, 수확시기 및 저장기간 결정에 중요한 요소인데(Kim 등, 2006), 현재 국내에서는 광질과 사과나무의 광합성활동 및 에틸렌 합성과의 관계를 구명한 연구가 거의 없다.
식물이 수분스트레스를 받으면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 식물의 기공은 광이 조사되면 열리고 어두우면 닫히며 (Byun 등, 2006), 식물이 수분스트레스를 받으면 체내 에틸렌과 ABA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기공이 닫히는데 (Chae 등, 2006; Kim 등, 1995; Lakso, 2003), Heo 등 (2009)은 적색 LED 광은 에틸렌 합성을 촉진시키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 역시 적색 LED 처리구의 과실 에틸렌 발생량은 야간에 보광을 하지 않은 무처리 구보다 6배 정도 더 높았다(Table 3).
사과의 착색 정도를 측정한 방법은 무엇인가? 착색 정도는 색차계(Chroma meter CR-400, Konica minolta, Japan)를 사용하여 각각의 과실을 3부분(양광면, 음광면, 중간부분)의 평균값을 Hunter a value로 표시하였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2과씩 과실을 분쇄하여 착즙한 후 110mm 거름종이(Filter paper, Advantec, Japan) 로 걸러 디지털당도계(PR-100, Atago, Japan)로 측정하였고, 산 함량은 과즙 5mL를 증류수 20mL로 희석한후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 C.G. Y.H. Hwang, J.U. An, H.S. Yoon, Y.H. Chang, G.M. Shon, and S.J. Hwang. 2011. Effect of LEDs (Light Emitting Diodes) irradiation on growth of paprika (Capsicum annuum 'Cupra').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0(4):253-257. 

  2. Baek, K.H., M.H. Jang, Y.B. Kwack, S.W. Lee, and H.K. Yun. 2010. Regulation of acid contents in kiwifruit irradiated by various wavelength of light emitting diode during postharvest storage. Clean Technology. 16(2):88-94. 

  3. Bang, G.W. and Y.H. Kim. 2012. LED for plant growth regulators for the study of light on the devi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7):267-272. 

  4. Byun, J.Y., S.S. Lee, K.S. Choi, and S.M., Kang. 2006. Plant physiology. Hyangmoonsha Press. Seoul. p. 58-63, 337-344, and 446-453. 

  5. Chae, J.C., S.J. Park, B.H. Kang, S.H. Kim. 2006. Principles of crop cultivation. Hyangmoonsha Press. Seoul. p. 221-224, 348-350. 

  6. Cho, J.Y., D.M., Son, J.M. Kim, B.S. Seo, S.Y. Yang, B.W. Kim, and B.G. Heo. 2008. Effects of LEDs on the germination, growth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maranth sprout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6(2):106-112. 

  7. Choi, S.Y., M.H. Kil, Y.S. Kwon, J.A. Jung, and S.K. Park. 2012. Effect of different light emitting diode (LED) on growth and flowering in chrysanthemun. Flower Research Journal. 20(3):128-133. 

  8. Choi, H.G., J.K. Kwon, B.Y. Moon, N.J. Kang, K.S. Park, M.W. Cho, and Y.C. Kim. 2013. Effect of different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the phytochemical production of strawberry fruits during cultivation.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1(1):56-64. 

  9. Hahn, E.J., T. Kozai, and K.Y. Paek. 2000. Blue and red light-emitting diodes without sucrose and ventilation affects in vitro growth of Rehmannia glutinose plantlets. Journal of Plant Biology. 43(4):247-250. 

  10. Heo, J.W., Y.B. Lee, D.B. Lee, and C. H. Chun. 2009. Light quality affects growth, net photosynthetic rate, and ethylene production of ageratum, african marigold and salvia seedling.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7(2):187-193. 

  11. Heo, J.W., Y.B. Lee, Y.S. Chang, J.T. Lee, and D.B. Lee. 2010. Effects of light quality and lighting type using an LED chamber system on Chrysanthemum growth and development cultured in vitro.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9(4):374-380. 

  12. Kang, S.B., Y.Y. Song, M.Y. Park, and H.J. Kweon. 2013. Effect of red and far-red LEDs on the fruit quality of 'Hongro'/M.26 Appl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2(1):42-47. 

  13. Kim, K.W., K,Y. Baek, S.T. Cheong, and J.D. Cheong. 1995. Theory and application for agriculture of plant growth regulator. Yeungnam university Press. Gyeongsan. p.170-199. 

  14. Kim, J.A. and H.K. Moon. 2006. Effect of light-emitting diodes (LEDs) and ventilation on the in vitro shoot growth of Eucalyptus pellit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5(6):716-722. 

  15. Kim, J.H., J.C. Kim, K.C. Ko, K.R. Kim, and J.C. Lee. 2006. General pomology. Hyangmoonsha Press. Seoul. p. 30-64, 175-180, 185-188, and 234-238. 

  16. Kim, H.R. and Y.H, You. 2013. Effects of red, blue, white, and far-red Led source on growth responses of Wasabia japonica seedlings in plant factory.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1(4):415-422. 

  17. Kweon, H.J., D.H. Sagong, M.Y. Park, Y.Y. Song, K.H. Chung, J.C. Nam, J.H. Han, G.R. Do. 2013. Influence of $CO_2$ and air temperature on photosynthesis, shoot growth, and fruit quality of 'Fuji'/M.9 apple tree.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4):245-263. 

  18. Lakso, A.N. 2003. Water relations of apple. p. 167-194. In: D.C Ferree and I.J. Warrington (eds.). Apples; botany, production and uses. CABI Publishing, Cambridge, MA, USA. 

  19. Poudel, P.R,, I. Kataok, and R. Mochioka. 2008. Effect of red and blue light emitting diodes on growth and morphogenesis of grapes.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ure, 92:147-153. 

  20. Song, C.H. and E.K. Song. 2012. Effects of indoor position and LED on growth of two grafted cacti and one succulent planted in a pot. Flower Research Journal. 20(2):64-70. 

  21. Tromp, J. 2005. Metabolic processes, p. 39-54. In : J. Tromp, J.T. Webster, and S.J. Wertheim (eds.). Fundamentals of temperate zone tree fruit production. Backhuys publishers, Leiden. 

  22. Zhou, Y. and B.R. Singh. 2002. Red light stimulates flowering and anthocyanin biosynthesis in American cranberry. Plant growth regulation 38(2):165-1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