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셰익스피어 인 러브> 인물 관계망을 통한 인지 감성 분석: 『로미오와 줄리엣』의 창작 및 욕망의 주체
Cognitive Emotional Schema Analysis through Characters' Network in Shakespeare in Love : The Writing Process of Romeo and Juliet and the Subject of Desir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4, 2016년, pp.425 - 435  

박은정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 교양대학) ,  손기락 (한국외국어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전자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셰익스피어 인 러브> 시청자가 영화를 보는 과정에서 어떻게 스토리를 이해하고 감흥하는 지, 영화의 인물관계망을 중심으로 관객의 인지 감성 스키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4개의 인물관계망 그림을 절차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이들은 왜, 그리고 어떻게 셰익스피어가 "로미오와 줄리엣"이라는 불후의 명작을 젊은 나이에 성숙하게 비극으로 만들어 낼 수 있었는지에 대한 스토리 개연적 증거를 제시한다. 필자는 주인공 셰익스피어의 심리를 라캉의 "주체의 열망" 이론을 방법론으로, 셰익스피어의 글쓰기 과정이 셰익스피어로 하여금 영국 르네상스 시기의 대가로 도약하는 계기임을 분석했다. 본 연구는 어떻게 셰익스피어가 엘리자베스 여왕 영국 제국주의의 전성기 시대에 비올라를 욕망의 주체로 삼아서, 크리스토퍼 말로를 제치고 상류 사회로의 진입을 통해 예술적 대가로 도약하게 되었는지, 시청자의 스토리텔링 아키텍처를 인지 감성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has the aim to track down the viewers' cognitive emotion of how they are interacting with the story of Shakespeare in Love. Human minds have cognitive and emotional flows while plots, characters, and action-ideas are intertwined in the story of the film. This paper especially focused o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영화를 감상하는 과정 중, 영화 인물들 간의 관계망을 인지하는 단계마다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그 궤적 일부를 시각화하여 보여 주고, 그런 시각화가 어떤 인지 감성의 축적물로 표상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제시를 하기 위해서 양적/질적 분석을 하려고 한다. 결국 본 논문은 시청자의 작품 감상과 이해의 지평이 어떻게 작가의 작품 의도와 만나는지를 스토리텔링 아키텍처라는 개념으로 파악하기 위한 수용자 중심의 연구이다.
  • 스토리텔링의 감흥을 인터액션(interaction)하는 과정에서, 시청자는 대중문화예술<셰익스피어 인 러브>의 스토리 변화에 따라 감흥하는 마음의 정서가 어떻게 표상되는지를 인물 관계망으로 분석한다. 그래서 인물들 간의 스토리텔링 아키텍처[6]의 병렬구조적이며 암묵적인 개념 연결망과 연관되는 은유와 주제도 함께 부가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 그 궤적의 흔적이 바로 『로미오와 줄리엣』이라는 작품으로 ‘‘오브제 아’’의 흔적으로 창조 되었다. 그리고 엘리자베스 여왕의 명령으로 속박된 극작가가 아닌, 자유로운 극작가로서 예술의 진실성, 진정성을 재현하는 작품을 창작하길 약속하면서, 비올라를 주인공으로 하는 『십이야』를 창조하면서 본 작품이 끝을 맺는다. 셰익스피어는 비올라를 그의 심장에 영원히 아름다움과 사랑의 숭고함으로, 완벽한 상상계의 은유로 남긴다.
  • 본 논문은 (Shakespeare in Love(1998))[1]의 스토리텔링 구조와 전략을 연구[2]하기 위해서 작품의 인물들이 어떤 관계망으로 되어 있는 지그 의미망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일 것이다.
  • 본 논문은 시청자의 인지 과정을 탐색해 보는 일환으로, 특히 인물들의 이해도를 인지과학에 기반하여 규칙기반(rule-based)의 기호주의(symbolism)와 인공신경망 (artificial neural network)의 연결주의(connectionism)를 하이브리드로 구성한 개념적 은유(conceptual metaphor)의 의미 구조망을 통해서 스토리텔링 인지 아키텍처의 구조를 연구한다.
  • 이런 정서, 감정, 무의식적 선택과 끌림을 연구하는 인지 감성을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시각화와 정량 분석으로 하는 셈이기 때문에 그 의의가 매우 크다. 본 논문은 인지 감성과 정서, 또는 감성의 인터액션이 어떤 문화공동체에서 구체적으로 인지지도(cognitive map)로 도식될 수 있는가, 그리고 시대적 격차가 있는 오늘날의 시청자가 그 인지 지도를 강렬하고 직감적으로 매핑(mapping)할 수 있도록 스토리텔링이 어떻게 전략화 되어있는가 등의 인지 아키텍처를 진단해 볼 수 있다. 기존의 인지과학에서 미흡하게 다루어 왔던 대중문화예술 콘텐츠를--마치 독자 반응 이론(readers' response theory)처럼--시청자의 인터액션 반응 입장에서 영화가 재현하고 있는 문화 현상과 인지 감성을 주목하여 연구하기 때문에 그 의의가 크다.
  •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이 영화를 보면서 스토리가 진행됨에 따라 독자가 인물들에 대한 마음의 인지 지도를 어떻게 그리고 있는지, 문화예술 콘텐츠인 의 스토리텔링 아카텍처를 인물 중심으로 도식화 해보는 독창성이 있다.
  • 이 논문에서는 세익스피어의 욕망, 그의 욕망 본질은 "충족될 수 없음" 이라는 것을 분석하면서 라캉(Jacques Lacan)의 이론을 적용시켜 본다.
  • 주인공은 분명히 셰익스피어이지만, 셰익스피어의 인지와 감성을 조종하는 진정한 주인공은 셰익스피어가 아닌, 그 연인 비올라이다. 즉, 셰익스피어의 욕망의 대상인 비올라가 바로 셰익스피어 욕망의 주체가 되는 변증법을 본 논문에서 검증하고자 한다.
  • 보통 문학이나 예술 비평은 질적 분석을 한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영화를 감상하는 과정 중, 영화 인물들 간의 관계망을 인지하는 단계마다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그 궤적 일부를 시각화하여 보여 주고, 그런 시각화가 어떤 인지 감성의 축적물로 표상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제시를 하기 위해서 양적/질적 분석을 하려고 한다. 결국 본 논문은 시청자의 작품 감상과 이해의 지평이 어떻게 작가의 작품 의도와 만나는지를 스토리텔링 아키텍처라는 개념으로 파악하기 위한 수용자 중심의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셰익스피어 인 러브는 어떠한 영화인가? <셰익스피어 인 러브>는 셰익스피어 작가가 『로미오와 줄리엣』 비극을 만드는 원인과 과정을 상상적으로 설정해서 작가의 사랑에 대한 욕망이 곧 불후의 예술 작품을 탄생시켰음을 말해주는 영화이다. 사랑하는 비올라와 완벽한 합일을 이루지 못한 욕망의 엇갈림과 차이, 간극을 작가 셰익스피어는 자신을 로미오로, 비올라를 줄리엣으로 상징적으로 투영한다.
마음의 동요란? 영화를 감상하면서 인간의 마음은 움직인다. 마음의 동요란 뇌신경의 동기화에 의해서 지각, 기억, 감흥, 사고등 일련의 인지 과정이 산출되는 것이다. 일련의 인지 과정은 지각, 기억, 감흥, 사고 등이 축적되어 이들을 질적 분석으로만 접근하기보다 양적/질적 분석으로 정보처리 과정으로 다루어 볼 필요가 있다.
셰익스피어 인 러브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로미오와 줄리엣』의 속편으로 통용되고 있는 <셰익스피어 인 러브>는 『로미오와 줄리엣』이라는 불후의 4대 비극을 셰익스피어 작가가 대부분 말기에 완성했는데, 유독 이 작품만, 작가 초기에 그렇게도 감동적으로 글을 쓸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일까 하는 상상이 또 하나의 영화 콘텐츠를 창조한 셈이다.[3,4,5]1) 즉, 작가의 글쓰기 문제, 예술이란 무엇인가, 사랑이란 무엇인가, 결혼과 사랑의 상관관계, 르네상스 시기에 창작자의 사회적 신분, 등 다양한 주제를 복합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본 영화는 한마디로 대작이요, 성공작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Norman, Marc, and Tom Stoppard, Shakespeare in Love, pp. 1-118, 1998 .www.screenplay.com/downloads/scripts/shakespeareinlove.pdf 2015.03.20. 

  2. Park, Eun Jung, Storytelling Meets the Cognitive Science: Literature and Art in the Era of Contents, pp. 21-37, Seoul: Idam Books, 2010. 

  3. Kim, Man Ki, "Semiotics analysis of Saussure, Pierce, and Myth of Barthes Focused on the film 'Vetera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1, pp. 1-6, 2015. 

  4. Song, Ho-Jin, Eui-Tae Jeong, "A Study on the utilizing parody and pastiche in Contemporary Art Work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6, pp. 201-212, 2015. 

  5. Chang, Jun Jeong, "A Study on the Advertising Creative Based on the Technology Converg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 235-241, 2015. 

  6. Park, Eun Jung, "The Emotional Cognition for the Tragedy vs. Comedy in Shakespeare in Love and Ratatouille: A Study of Schema in Storytelling Architecture," Humanities Contents 40, p. 11, 2016. 

  7. Lacan, Jacques,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VII: The ethics of psychoanalysis. Trans. Dennis Porter, Ed. Jacques-Alain Miller, pp. 209-212, New York: Norton, 1992. 

  8. Kwon, Taekyoung et. al., The Theory of Jacque Lacan's Theory of Desire, pp. 18-24, Seoul: Munyea Publishing, 1994. 

  9. Otte, Evelien, and Ronald Rousseau, "Social network analysis: a powerful strategy, also for the information science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Vol. 28, No. 6, pp. 441-453, 2002. 

  10. Barthelemy, Marc, "Betweenness centrality in large complex networks," European Physical Journal B-Condensed Matter and Complex Systems, Vol. 38, No. 2, pp. 163-168, 2004. 

  11. Csardi, Gabor, and Tamas Nepusz, "The igraph software package for complex network research," InterJournal Complex Systems, Vol. 1695, No.2, pp. 1-9, 2006. 

  12. Lacan, Jacques. "The mirror stage as formative of the function of the I as revealed in psychoanalytic experience,"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 A Reader, pp. 287-292, Pierson: Prentice Hall, 1949. 

  13. Lacan, Jacques. "The mirror stage," New Left Review 51, pp. 71-77, 1968. 

  14. Lacan, Jacques, "The Mirror Stage," Ecrits: A Selection, Trans. Alan sheridan, pp. 1-8, London: Routledge, 1977. 

  15. Freeman, Linton, "A set of measures of centrality based on betweenness," Sociometry 40, pp. 35-41, 1977. 

  16. Newman, Mark E. J., "A measure of betweenness centrality based on random walks," Social networks, Vol 27, No. 1, pp. 39-54, 2005. 

  17. Moretti, Franco, "Network Theory, Plot Analysis," Pamphlets of Stanford Literary Lab 2, May 1, pp. 1-34, 2011. 

  18. Moretti, Franco, "Network theory, plot analysis," New Left Review 68, March-April, 2011. 

  19. Zizek, Slavoj, The Sublime Object of Ideology, pp. 159-160, New York: Verso,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