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옥천대 서남부 영암과 영산포 석영편암-규암의 지질시대
Geologic Age of Quartz Schist - Quartzite from Yeongam and Yeongsanpo Areas around Southwestern Part of Ogcheon Belt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9 no.2, 2016년, pp.155 - 165  

최성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  김동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  송교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옥천대 변성퇴적암 분포지역과 영남육괴와 옥천대 경계부에는 석영편암-규암층준이 협재되어 있다. 이들 석영편암-규암의 층서는 조사자에 따라 다르게 분대되어 왔으며, 지질시대 또한 시대 미상, 선캠브리아 혹은 고생대로 보아왔다. 옥천대 서남부의 영암과 영산포 도폭 역의 석영편암-규암 저어콘 연령결과를 고생대 것과 비교 분석하여 영암과 영산포 지역에 분포하는 석영편암-규암의 지질시대를 규명하였다. 연구지역의 석영편암-규암에서 저어콘 연대 분포범위는 $${\geq_-}1.8Ga$$ 이고, 집중연령대는 신시생대의 2.5 Ga 와 고원생대의 1.8 Ga로 중원생대 이후의 저어콘 연대가 결여되어 있으나, 고생대 규암원생대에서 고생대까지 광범위한 연령분포를 보이고 집중연령대도 고원생대, 신원생대, 고생대등 여러 곳에서 보인다. 이와 같은 통계적 분석 결과에 의하여 영암과 영산포의 석영편암 내지 규암은 고원생대 이후의 원생대지층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Quartz schist - quartzite is often intercalated in metasedimentary rocks of Ogcheon belt or aligned parallel to the boundary between Yeongnam massif and Ogcheon belt. However, stratigraphic sequence and or geologic age of the rocks has been still variable among authors as Precambrian or Paleozoic.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들 규암의 층서는 조사자에 따라 석영 편암, 용암산층, 덕용산층 등으로 분대되어 있으며, 지질시대 또한 시대 미상이거나 선캠브리아 혹은 고생대로 간주하였다. 이번 연구는 옥천대 서남부에 속하는 영암과 영산포 도폭 역의 석영편암-규암의 저어콘 연령결과를 타 지역에서 알려진 고생대 석영편암-규암의 것과 비교 분석하여 영암과 영산포 석영편암-규암의 지질시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석영편암과 규암층준은 어디에서 주로 발달하였는가? 석영편암-규암층준은 옥천대 변성퇴적암에 협재되어 있거나, 영남육괴와 옥천대 경계부에 잘 발달하고 있다 (Fig. 1).
SHRIMP U-Pb 연대 측정 방법의 확산으로 변화된 패러다임은? 변성퇴적암류 중에서 층서적으로 건층(鍵層, key bed) 역할을 하는 규암은 과거로부터 선캠브리아 편암류, '조선계, 옥천계' 로 대별되어 왔으나, 그 동안 5만 축척의 국가기본지질도폭에서 지역별로 서로 다른 암층명과 시대를 부여했던 관계로, 상호 층서적 경계에 모호감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SHRIMP (Sensitive High-Resolution Ion Microprove) U-Pb 저어콘 연대 측정 방법의 확산으로 그동안 선캠브리아로 간주되어왔던 지층들의 지질시대가 새롭게 규명되고 있어 원생대-고생대간의 지질계통에 대해 상당량 수정이 불가피해진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저어콘 연대분포와 집중연령대의 특징을 기준으로 석영편암-규암의 지질시대를 임의로 나눈 그룹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저어콘 연대분포와 집중연령대의 특징은 두 개의 단위인 그룹 I과 그룹 II로 나누어진다. 그룹 I은 저어콘 연대 분포범위가 1.8 Ga이고, 집중연령대는 신시생대의 2.5 Ga와 1.8 Ga로 중원생대 이후의 저어콘 연령이 결여 되어 있다. 그룹 II는 원생대에서 고생대까지 광범위한 연령분포를 보이고, 집중연령대도 고원생대, 신원생대, 고생대등 여러 개 이며, 특히 중 원생대와 신원생대의 연령이 분포하고 있다. 그룹 I은 고원생대를 넘지 못하는 반면, 그룹 II는 고생대까지 연령 분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두 개의 그룹은 공급지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시기에 형성된 퇴적층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그룹 I은 고생대 이전 퇴적된 원생대 지층으로 해석되므로, 영암과 영산포의 석영편암 내지 규암은 고원생대 이후와 고생대 이전인원생대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a, Y., Song, Y.-S. and Kim, J-M. (2014) Gwangju Shear Zone : Is it the Tectonic Boundary between the Yeongnam massf and Okcheon Metamorphic Belt?,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3, p.17-30. 

  2. Hartman, L.A., Leite, J.A.D., Silva, L.C., Remus, M.V.D., McNaughton, N.J., Groves, D.I., Fletcher, I.R., Santos, J.O.S. and Vasconcellos, M.A.Z. (2000) Advances in SHRIMP geochronology and their impact on understanding the tectonic and metallogenic evolution of southern Brazil. Austral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v.47, p.829-844. 

  3. Kim, D.-Y., Choi, S.-J. and Yi, K. (2015) SHRIMP U-Pb Zircon Ages of the Metasandstone in the Yeongam- Gangjin A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8, p.287-299. 

  4. Kim, H.S., Hwang, M.-K., Ree, J.-H. and Yi, K., (2013) Tectonic linkage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mainland Asiain the Cambrian: Insights from U?Pb dating of detrital zircon.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368, 204-218. 

  5. Kim, Y.B., Cho, D.-L. and Choi, S.J. (2014) Geological Map and Explanatory Text of Yeongam sheet (scale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77p. 

  6. Kim, Y.J., Kil, Y.W., Park, J. B. (2015) Geological Map and Explanatory Text of Yeongsanpo sheet (scale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46p. 

  7. Lee, Y.I., Choi, T., Lim, H.S. and Orihashi, Y. (2012) Detrital zircon U?Pb ages of the Jangsan Formation in the northeastern Okcheon belt, Korea and its implications for material source, provenance, and tectonic setting. Sedimentary Geology, 282, p.256-267. 

  8. Lee, Y.I., Choi, T., Lim, H.S. and Orihashi, Y. (2016) Detrital zircon geochronology and Nd isotope geochemistry of the basal succession of the Taebaeksan Basin,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Gondwana linkage of the Sino-Korean (North China) block during the Neoproterozoic?early Cambrian.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441, p.770-786. 

  9. Park, K.H., Lee, T.H. and Yi, K. (2011)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in the Daehyangsan Quartzite of the Okcheon Metamorphic Melt,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7, p.423-431. 

  10. Vavra, G., Schmid, R. and Gebauer, D. (1999) Internal morphology, habit and U-Th-Pb microanalysis of amphibolite-to-granulite facies zircons: Geochronology of the Ivrea Zone(Southern Alps).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v.134, p.380-4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