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재보용 내화피복의 내화성능 평가단면에 대한 고찰
Review on Fire Test Section of Fire Protection Coating for Steel Beam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0 no.2, 2016년, pp.49 - 55  

전수민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재준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구조용 내화피복은 내화성능평가를 통하여 내화구조로 인정을 받아야 사용할 수 있는데 기둥용 내화피복은 4면, 보용 내화피복은 3면을 가열하여 내화성능을 평가한다. 4면이 균등하게 가열되는 기둥과 달리 3면이 가열되는 보의 경우 비가열면인 상부의 온도가 가열면의 온도와 차이가 있을 것이 예상된다. 보용 내화피복 내화성능 평가시 비가열면의 온도도 포함되는데 비가열면의 온도가 부재의 온도와 유의한 차이가 있다면 온도측정 부위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 내화구조로 인정된 보용 내화피복의 내화성능시험결과를 분석하여 보용 내화피복 내화성능 평가단면의 타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necessary to obtain a fire resistance certification in order to use Fire Protection Coating in Korea. According to the fire test standards, columns have four heating sides and beams have three. In comparison with columns which are heated four sides equally, beams have three exposed sides and o...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내화구조 인정 과정에서 구조당 2회의 내화성능시험을 실시하므로 38건의 보용 내화도료 시험데이터 및 34건의 보용 내화뿜칠 시험데이터가 존재한다. 내화성능시험시 보부재의 평균온도와 비가열면인 상부의 온도 사이에 차이가 없다는 귀무가설을 전제로 상기 시험데이터의 부재 평균온도와 상부온도를 쌍체비교 t-검정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지 여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내화성능 평가단면의 타당성을 검토해 본다.
  •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KICT에서 부속서B에 따른 내화구조 인정을 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바는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와 같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비재하 가열시험에 대하여 실제 시험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강재보 온도 측정 부위의 타당성을 살펴 보고자 한다.
  • 보 부재 내화성능시험의 합부는 부재온도의 절대값으로 판단하는데 현재는 비가열면 측정온도도 부재온도에 포함하고 있으며 만일 비가열면 측정온도가 부재 온도와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면 비가열면에 열전대를 설치하는 현 시험방법을 신중히 재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재 내화구조로 사용되고 있는 보용 내화피복에 대한 인정당시 내화성능시험결과를 비교분석하여 보용 내화피복 내화성능 평가단면의 타당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 그런데 현재 내화피복 내화구조 인정절차를 살펴보면 비재하 가열시험을 통한 강재온도로 합부를 판정하고 있으며, 내화구조 인정내용을 살펴보면 사용부위를 ‘건축물의 철골보’ 또는 ‘건축물의 철골 기둥’으로 명시하고 있어 결과적으로 주요구조부인 보 및 기둥의 평가에 상기 부속서B가 적용되고 있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KICT에서 부속서B에 따른 내화구조 인정을 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바는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와 같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비재하 가열시험에 대하여 실제 시험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강재보 온도 측정 부위의 타당성을 살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내화지침 부록1의 절차에 따라 내화구조별 2회의 내화성능시험을 실시하므로 상기 19개 내화도료 인정구조에 대한 38건의 시험 데이터 및 38건의 온도차이가 존재하며 이에 대하여 Excel (2013)의 데이터분석 도구 중 t검정 쌍체비교를 활용하여 유의수준 0.05로 가설을 검정한다. 또한, 상기 17개 내화뿜칠 인정구조에 대한 34건의 시험 데이터 및 34건의 온도차이도 도료의 경우와 동일하게 쌍체비교를 활용하여 유의수준 0.
  • 05로 가설을 검정한다. 또한, 상기 17개 내화뿜칠 인정구조에 대한 34건의 시험 데이터 및 34건의 온도차이도 도료의 경우와 동일하게 쌍체비교를 활용하여 유의수준 0.05로 가설을 검정한다.
  • 보용 내화도료 내화성능 평가단면의 타당성 검토를 위하여 귀무가설(H0)은 ‘도료피복철골보의 내화성능시험결과 부재 상부부위의 온도는 부재의 온도와 차이가 없을 것이다’ (μD =0), 대립가설(H1)은 ‘도료피복철골보의 내화성능시험결과 부재 상부부위의 온도는 부재의 온도와 차이가 있을 것이다’(μD ≠ 0)로 한다.
  • 보용 뿜칠의 경우도 동일하게 귀무가설은 ‘뿜칠피복철골보의 내화성능시험결과 부재 상부부위의 온도는 부재의 온도와 차이가 없을 것이다’, 대립가설은 ‘뿜칠피복철골보의 내화성능시험결과 부재 상부부위의 온도는 부재의 온도와 차이가 있을 것이다’로 한다.
  • 부재온도와 상부온도를 쌍체비교 t-검정한 결과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작으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도료피복철골보의 내화성능시험결과 부재 상부부위의 온도는 부재의 온도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부재온도와 상부온도를 쌍체비교 t-검정한 결과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작으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뿜칠피복철골보의 내화성능시험결과 부재 상부부위의 온도는 부재의 온도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산업표준 등에서 정한 시험방법에 의해 내화구조로 인정하고 있는 것은? 화재시 인명과 재산 및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주요구조부에 의무적으로 내화구조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특히 강재의 경우 화재시 내력저하가 급격히 발생하므로 철골조 주요구조부에 내화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1,2). 내화구조의 적용에 대한 국내 제도는 성능적 내화설계법 보다 사양적 내화설계법을 따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관련 고시, 한국산업표준 등에서 정한 시험방법에 따라 내화성능을 확인하여 ‘도료피복 철골보’, ‘도료피복철골기둥’, ‘뿜칠피복철골보’ 및 ‘뿜칠 피복철골기둥’ 등을 내화구조로 인정하고 있다(3). 동 인정 과정에서 기둥은 시험체의 4면을 가열하여 내화성능을 평가하는데 비해 보는 시험체의 3면을 가열하여 내화성능을 평가하고 있다.
화재시 강재가 나타내는 특성은? 화재시 인명과 재산 및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주요구조부에 의무적으로 내화구조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특히 강재의 경우 화재시 내력저하가 급격히 발생하므로 철골조 주요구조부에 내화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1,2). 내화구조의 적용에 대한 국내 제도는 성능적 내화설계법 보다 사양적 내화설계법을 따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관련 고시, 한국산업표준 등에서 정한 시험방법에 따라 내화성능을 확인하여 ‘도료피복 철골보’, ‘도료피복철골기둥’, ‘뿜칠피복철골보’ 및 ‘뿜칠 피복철골기둥’ 등을 내화구조로 인정하고 있다(3).
내화성능시험결과 부재 상부 부위와 부재의 온도는 차이가 있었는가? ’라는 대립가설을 채택한다. 즉, 현재 인정이 유효한 모든 도료 피복철골보는 인정을 위한 내화시험시 부재상부온도가 부재온도보다 낮았으며 두 종류의 온도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I. K. Kwon, N. Y. Jee and H. Y. Kim, "Experimental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Fire Protection Thickness through Section Factors of Structural Steel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18, No. 9, pp. 125-132 (2002). 

  2. S. C. Kim, "Correlation Analysis with Fire Endurance Time based on Section Factor to Obtain an Estimate of Fire Protection Material Thickness", Architectural Engineering Master's Thesis, Chungju National University (2009). 

  3. S. H. Lee, K. H. Kim, M. S. Lee, H. Y. Kim, H. D. Kim, T. H. Song, C. Y. Ok, B. K. Jin, et al., "Development of Fire Resistance Design Method in Building", KICT 2004-376,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2004). 

  4.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Certificate List of Fire Resistant Construction", http://www.kict.re.kr/060305 (2015). 

  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Evacuative and Fireproof Construction of Buildings", Minister Decree No:238 (2015).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tandards for Accreditation and Management of Fire Resistant Construction", Notification No:2015-843 (2015).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Detail Instructions for Accreditation and Management of Fire Resistant Construction", Document No:14814 (2015). 

  8. K. L. Ueom, C. H. Yoo, S. M. Jeon and D. H. Kim, "Environment-friendly Intumescent Coatings", Prospects of Industrial Chemistry, Vol. 16, No. 5, pp. 19-27 (2013). 

  9.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Methods of Fire Resistance Test for Elements of Building Construction-general Requirements", KS F 2257-1:2014 (2014). 

  10.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Methods of Fire Resistance Test for Elements of Building Construction-specific Requirements for Beams", KS F 2257- 6:2014 (2014). 

  11.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Methods of Fire Resistance Test for Elements of Building Construction-specific Requirements for Columns", KS F 2257-7:2014 (2014). 

  12. S. M. Jeon and J. J. Kim, "Experimental Study on Separate Evaluations of Fire Resistance of SFRM for Steel Beams and Column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9, No. 4, pp. 1-6 (2015). 

  13. K. H. Kim and S. H. Lee, "Improvement of Criteria of Steel Temperature and Shapes of Specimens for Fire Resistance Properties Tests of Steel Structur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18, No. 3, pp. 11-19 (2002). 

  14. I. K. Kwon, N. Y. Jee and S. H. Lee, "Experimental Study on the Critical Temperature for Structural Elements Such as Column and Beam Exposed to Fire Condition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18, No. 10, pp. 45-52 (2002). 

  15. Y. S. Lee, S. C. Seong, J. S. Lee, D. H. Choi, D. H. Kim and H. S. Yeo, "Standardizing Test Methods for Fire Safety(IV)", FILK 2005-10, Fire Insurers Laboratories of Korea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