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필드모델에서 연료소모에 기초한 화학적 화염높이 산정
Estimation of Chemical Flame Height based on Fuel Consumption in a Fire Field Model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0 no.2, 2016년, pp.92 - 97  

김성찬 (경일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필드모델에서 소모된 연료에 기초하여 화학적 화염높이를 산정하기 위한 방법을 검토하고자 한다. 높이 방향으로 HRRPUL의 누적값과 연료농도에 따른 계산 알고리즘FDS 해석결과에 적용하였으며 평균화학적 화염높이는 알고리즘을 적용한 순간화염높이의 시간평균을 통해 산정하였다. 연료농도에 기초한 평균화염높이는 HRRPUL의 누적값에 의해 계산된 화염높이와 10% 이내의 상향예측범위에서 일치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는 전산화재해석모델에서 정량적인 화염높이를 산정하고 보다 상세한 화재거동특성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stimate the chemical flame height based on fuel consumption in fire field model. The calculation algorithms based on cumulative fraction of HRRPUL and fuel concentration along the z axis were applied to the results predicted by Fire Dynamics Simulator (FDS) v...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연료 소모 관점에서 화학적 화염높이를 평가한 연구로 향후 연소생성물에 기초한 추가적 연구를 수행하여 수치해석 모델에서 화염높이의 정량적인 평가를 도모하고 화재거동특성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화학적 화염높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필드모델에서 정량적인 화염높이를 산정하기 위한 계산알고리즘을 구성하였으며 FDS 모델에 의해 계산된 결과를 후처리하여 화염높이를 평가하였다.
  • 화염의 높이를 결정하기에 앞서 화염의 경계를 구분할 수 있는 변수의 선택과 임계값을 선정하는 것이 우선시 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모된 연료 양에 해당되는 발열량을 추적하는 방법과 화원으로부터 연료농도의 감소를 통하여 화학적 화염 높이를 산정하는 방식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일반적으로 화염의 높이는 식(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화원의 직경과 무차원 발열량의 함수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원의 물리적 크기는 고정하고 발열량 변화에 따른 화재거동을 해석하고 이에 대한 화염높이를 경험식과 비교하고자 한다. 화원에서 공급되는 연료의 양은 무차원 발열량을 적용하여 계산하였으며 화원의 직경과 발열량에 대한 무차원 발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12).
  • 이를 바탕으로 FDS 모델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계산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평가된 화염높이를 비교하여 화학적 화염높이의 산정방법의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수치해석 모델에서 화염높이의 정량적인 평가를 도모하여 화재 위험성 인자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고 화재거동특성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화학적 화염높이는 주로 연료에 기초한 방법과 연소생성물에 기초한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연료소모에 기초한 화학적 화염높이의 산정방법을 검토하여 계산알고리즘을 구성한다. 이를 바탕으로 FDS 모델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계산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평가된 화염높이를 비교하여 화학적 화염높이의 산정방법의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수치해석 모델에서 화염높이의 정량적인 평가를 도모하여 화재 위험성 인자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고 화재거동특성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Figure 2. Algorithms of flame height calcul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fuel consumption.
  • 화원은 한 변의 길이가 10 cm인 프로판 버너로 가정하였으며 화원의 중앙단면에 대칭경계조건(symmetric boundary condition)을 적용하였다. 해석영역의 한 변은 30 cm, 높이는 80 cm이고 측면과 윗면은 외기에 개방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바닥면은 벽 조건을 적용하였다.
  • Figure 3은 FDS 계산에 적용된 해석영역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화원은 한 변의 길이가 10 cm인 프로판 버너로 가정하였으며 화원의 중앙단면에 대칭경계조건(symmetric boundary condition)을 적용하였다. 해석영역의 한 변은 30 cm, 높이는 80 cm이고 측면과 윗면은 외기에 개방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바닥면은 벽 조건을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재특성을 나타내는 주요 인자는 무엇인가?  화재특성을 나타내는 주요 인자로 발열량(heat release rate, kW), 화재 플럼(fire plume)의 열유동장, 연소생성물의 종류 및 발생량, 화염 높이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중에 서 화염높이는 화원의 가시적인 거동 특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인자로 화재위험성 평가의 척도나 화재의 발달상태, 화재역학적 거동특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보편적으로 활용된다.
화재특성을 나타내는 주요 인자 중 화염높이는 무엇인가?  화재특성을 나타내는 주요 인자로 발열량(heat release rate, kW), 화재 플럼(fire plume)의 열유동장, 연소생성물의 종류 및 발생량, 화염 높이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중에 서 화염높이는 화원의 가시적인 거동 특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인자로 화재위험성 평가의 척도나 화재의 발달상태, 화재역학적 거동특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보편적으로 활용된다. 화염 높이를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었으나 화염은 비정상적인(unsteady) 특성, 화염경계의 불명확함과 3차원 공간상에서의 기학학적 변형 등으로 인해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며 화염높이 산정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 않아 연구자들마다 다양한 기준에 의해 화염높이를 산정하는 경향이 있다(1-3).
화염의 가시적 조도(illuminance)를 영상장치로 촬영하여 임계값을 기준으로 화염높이를 산정한 가시화염은 무엇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가?  화재분야에서 화염 높이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화염의 가시적 조도(illuminance)를 영상장치로 촬영하여 임계값을 기준으로 화염높이를 산정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가시화염은 연료의 종류, 연소생성물의 조성, 화염의 강도, 주변광의 세기, 영상장치의 노출시간 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Figure 1은 목재화재에 대해 임의시간에 촬영된 영상을 이진영상(binary image)으로 전환하여 화염높이를 평가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 J. Stratton, "Determining Flame Height and Flame Pulsation Freqency and Estimating Heat Release Rate From 3D Flame Reconstruction", MS Thesis, University of Canterbury (2005). 

  2. J. S. Newman and C. J. Wieczorek, "Chemical Flame Heights", Fire Safety Journal, Vol. 39, pp. 375-382 (2004). 

  3. F. El-Mahallawy and S. El-Din Habik, "Fundamentals and Technology of Combustion", Elsvier Science Ltd., Oxford, UK (2002). 

  4. E. E. Zukoski, B. M. Ceegen and T. Kubota, "Visible Structure of Buoyant Diffusion Flames", Proceeding of Combustion Institute, Vol. 20. pp. 361-366 (1985). 

  5. G. Heskestad, "Luminous Heights of Turbulent Diffusion Flames", Fire Safety Journal, Vol. 5, pp. 103-108 (1983). 

  6. W. R. Hawthorne, D. S. Weddell and H. C. Hottel, "Mixing and Combustion in Turbulent Gas Jets", 3rd Symposium on Combustion and Flame and Explosion Phenomena, Williams & Wilkins, pp. 266-288 (1949). 

  7. D. R. U. Johansen, "Implementation of Improved EDC Combustion Model in the Open LES Code FDS", Master's thesis in Process Safety, Univ. of Bergen (2011). 

  8. R. McDermott, K. McGrattan and J. Floyd, "A Simple Reaction Time Scale for Under-Resolved Fire Dynamics", Proceedings of the 10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afety Science, pp. 809-820 (2011). 

  9. R. W. Wade and J. P. Gore, "Visible and Chemical Flame Height of Acetylene/Air Jet Diffusion", NIST IR 5904,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1996). 

  10. K. McGrattan, S. Hostikka, R. McDermott, J. Floyd, C. Wenschenk and K. Overholt, "Fire Dynamics Simulator User's Guide", NIST Special Publication 1019, 6th Ed. (2014). 

  11. A. Tewarson, "Ch. 4, Generation of Heat and Chemical Compounds in Fires",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rd Ed., pp. 3.82-3.161 (2002). 

  12. G. Cox, "Combustion Fundamentals of Fire", Academic Press Inc. (1995). 

  13. S. C. Kim, G. H. Ko and S. H. Lee, "On the Reliability of the Computational Fire Model Based on the Yield Rate Concept of Combustion Gas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3, No. 4, pp. 130-136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