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암리 9호분 출토 청동 및 금동단추의 제작기법 연구
A Study of Production Techniques of Bronze and Gilt Bronze Buttons Excavated from Seogam-ri Tomb No. 9 원문보기

박물관보존과학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v.17, 2016년, pp.55 - 68  

박지혜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권윤미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초록

국립중앙박물관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발굴되었던 석암리 9호분 출토유물의 보존처리 및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출토된 유물 가운데 청동 및 금동단추의 과학적 조사를 실시하여 제작방법을 유추하였다. 관찰 결과 청동 및 금동 단추는 반구형으로 외형적 특징이 비슷하나 걸이의 단면 형태 및 크기에서 차이점이 보인다. 걸이의 단면형태는 원형과 사각형이며 두 그룹으로 분류되고 이 그룹 내에서 길이를 기준으로 세분화를 하였다. 원형 걸이의 경우, 걸이의 형태 및 설치 위치가 다양하며 두께가 일정하지 않으며 몸체와 걸이의 경계부가 고르지 못하다. 사각형 걸이는 걸이의 형태 및 위치가 일정하며 몸체의 바닥면에 걸이가 연결되었으며 표시선으로 보이는 홈이 존재한다. 또한 X-ray 조사결과, 원형 걸이의 경계부분은 두꺼우며 이는 흙이나 이물질이 아닌 금속물질로 확인된다. 제작기법은 밀랍법으로 추측되며 걸이의 단면형태에 따라 몸체와 접합과정이 차이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ervation and research efforts are currently underway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on a series of artifacts excavated from Tomb No. 9 at Seogam-ri nearly a century ago by an archaeology team from the institution's colonialera predecessor. Among these objects are a number of bronze and gilt b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에 연구된 자료에 의하면 청동단추를 밀랍법으로 제작하였을 것이라고 추정된 연구가 있으나 구체적인 제작기법은 서술되지 않았다[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좀 더 구체적인 방법으로 제작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평양 석암리 9호분에서 출토된 청동 및 금동단추에 대한 형태와 특징을 알아보았다. 과학적조사와 관찰 단추의 특징을 고찰하여 제작방법을 유추하였다.
  • 석암리 9호분 출토 청동 및 금동 단추의 제작기법과 형태적 특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조사된 자료를 토대로 제작기법을 유추하였으며 정리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단추의 상태조사를 실시하여 길이와 너비 등을 측정하고 유물의 특징을 기록하였다. 실체현미경으로 미시적 특성을 조사하고 제작 특징과 기법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 실체현미경으로 확인이 어려운 내부모습을 확인하기 위해 도7과 같이 X-선을 조사하였다. 특히 걸이와 몸체의 경계면에 주안점을 두어 어떠한 형태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표2와 보는 바와 같이 길이를 포함한 높이, 너비의 수치가 가장 작으며 바닥면 가장자리 두께를 측정한 결과 각 지점마다 편차가 있다. 도2(b)를 살펴보면 바닥면 가장자리 좌면이 우면에 비하여 두께가 얇고 하면도 상면에 비해 두께가 얇다.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걸이의 두께는 비슷하나 경계부분이 고르지 못하고 거칠다(도2(c), (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암리 9호분 출토유물은 무엇이 있는가? 석암리 9호분 출토유물은 청동제와 토제로 만든 음식기명, 철제무구, 동제무구가 있으며 이 중 장신구에 속하는 단추가 다수 발견되었다[2]. 이 단추는 반구형의 청동제와 금동제 두 가지로 분류되며 내부는 비어 있고 후면에 걸이가 있다.
어은동 유적이 석암리 9호분과 다른 점은? 특히, 어은동 유적과 노인울라 유적지에서 발견된 단추는 석암리 9호분 단추와 외형및 걸이의 형태가 유사하며 유물제작 시기가 동일하다. 그러나 어은동 유적에서는 석암리 9호분과 다르게 타원형, 방형, 원추형 등 다양한 형태의 단추가 함께 발견되었으며 외면에 평행선문과 나선문이 새겨져 있다[3, 4].
석암리 9호분은 어느 지역에 해당하는가? 석암리 9호분의 발굴조사는 1916년 9월 25일부터 10월 23일까지 조선총독부 주도하에 ‘오가와 게이키치(小川敬吉)’를 주축으로 진행되었다. 이곳은 현재 평양시 낙랑구역 석암동이며 낙랑토성 구릉지에 해당한다[1]. 국립중앙박물관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박물관에서 발굴되었던 석암리 9호분 출토유물의 보존처리 및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