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활엽수 낙엽의 수분저류 특성에 대한 실험적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f Water Retention Characteristics in the Litter of Different Deciduous Trees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9 no.2, 2016년, pp.83 - 93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최형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부) ,  이은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임상준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of floor litter in deciduous forests. Water holding capacity(WHC) and interception storage capacity of Alnus hirsuta Turcz. ex Rupr., Quercus acutissima, Quercus mongolica litters were experimentally estimate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낙엽층은 강우시 일시적으로 빗물을 차단해 저류하고 다시 대기 중으로 증발시켜 강우손실을 초래한다. 이 연구는 활엽수 낙엽의 수분저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낙엽의 수분저류능 및 차단저류능을 조사하여 낙엽의 형태적 특성이 수분 저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이처럼 낙엽이 가지는 수분저류 기능은 산림의 수문순환 및 에너지순환에 있어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수관에 의한 강우 차단 연구가 주로 시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3 수종의 활엽수 낙엽을 대상으로 낙엽의 물리적 특성과 수분저류 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침수실험을 통해 낙엽의 수분저류능을 조사하였으며, 인공강우실험을 통해 강우차단저류능을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엽과 낙지의 역할은 무엇인가? 산림의 수목으로부터 공급된 많은 양의 낙엽이나 낙지 등이 지표면에 쌓여 두꺼운 낙엽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낙엽과 낙지는 산림생태계의 양분순환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토양의 비옥도를 증가시키고 주요 미생물의 에너지원이 된다(Berg and Laskowski, 2005; Bray and Gorham, 1964). 또한, 낙엽층은 수문학적으로 수관통과우(throughfall)를 일시 차단및 저류하여 빗물을 대기 중으로 돌려보낸다 (Gerrits et al.
강우차단저류능 중 최대 차단저류능은 무엇인가? 강우차단저류능은 최대 차단저류능(Cmax)과 최소 차단저류능 (Cmin)으로 구분한다. 최대 차단저류능은 강우의 지속기간을 통하여 낙엽에 최대로 저류된 수분량이며, 최소 차단저류능은 강우가 중지되고 낙엽 속의 중력수가 완전히 배제된 상태에서 낙엽 속에 남아 있는 수분량을 말한다(Putuhena and Cordery, 1996).
수분저류란 무엇인가? 수분저류란 강우가 식물의 잎이나 가지 또는 낙엽낙지에 일시적으로 저류되었다가 토양 중으로 침투되지 못하고 대기 중으로 손실되는 것을 말한다(Gerrits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BK?Choi HT?Lee QW and Im SJ. 2014. Estimating rainfall interception loss of decomposed floor in a deciduous forest using rainfall simulation experiment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3): 181-18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Berg, B. and Laskowski, R. 2005. Litter decomposition: a guide to carbon and nutrient turnover: Elsevier. 

  3. Bernard, J. M. 1963. Forest floor moisture capacity of new jersey pine barrens. Ecology, 44(3): 574-&. 

  4. Bray, J. R. and Gorham, E. 1964. Litter production in forests of the world. Advances in ecological research, 2: 101-157. 

  5. Clary, W. P. and Ffolliott, P. F. 1969. Water holding capacity of ponderosa pine forest floor layer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24(1): 22-&. 

  6. Garcia and Pase, C. P. 1967. Moisture-retention capacity of litter under two Arizona chaparral communities (Vol. 85): Rocky Mountain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Forest Servi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7. Gerrits, A. M. J.?Savenije, H. H. G.?Hoffmann, L. and Pfister, L. 2007. New technique to measure forest floor interception - an application in a beech forest in Luxembourg.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1(2): 695-701. 

  8. Guevara-Escobar, A.?Gonzalez-Sosa, E.?Ramos-Salinas, M. and Hernandez-Delgado, G. D. 2007. Experimental analysis of drainage and water storage of litter layers.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1(5): 1703-1716. 

  9. Helvey, J. D. and Patric, J. H. 1965. Canopy and litter interception of rainfall by hardwoods of eastern United States. Water Resources Research, 1(2): 193-&. 

  10. Kang MS?Hong JW?Bong HY?Jang HM? Choi MJ?Jang YH?Cheon JH and Kim J. 2011. On estimating interception storage capacity of litter layer at gwangneung deciduous fores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2): 87-9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Lee HK. 1994. Studies on the change of moisture content in forest soil litter layer by evaporation(I). Sang Ji University, 15, 234-24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Li, X.?Niu, J. and Xie, B. 2013. Study on hydrological functions of litter layers in north China. Plos One, 8(7). 

  13. Miller, J. D.?Anderson, H. A.?Ferrier, R. C. and Walker, T. A. B. (1990). Comparison of the hydrological budgets and detailed hydrological responses in Two Forested Catchments. Forestry, 63. 

  14. Park, A.?Friesen, P. and Serrud, A. A. S. 2010. Comparative water fluxes through leaf litter of tropical plantation trees and the invasive grass Saccharum spontaneum in the Republic of Panama. Journal of Hydrology, 383(3-4): 167-178. 

  15. Pathak, P. C.?Pandey, A. N. and Singh, J. S. 1985. Apportionment of rainfall in central Himalayan forest (india). Journal of Hydrology, 76. 

  16. Putuhena, W. M. and Cordery, I. 1996. Estimation of interception capacity of the forest floor. Journal of Hydrology, 180(1-4): 283-299. 

  17. Reynolds, J. F. and Knight, D. H. 1973. Magnitude of snowmelt and rainfall interception by litter in lodgepole pine and spruce-fir forests in Wyoming. Northwest science. 

  18. Sato, Y.?Kumagai, T.?Kume, A.?Otsuki, K. and Ogawa, S. 2004. Experimental analysis of moisture dynamics of litter layers - the effects of rainfall conditions and leaf shapes. Hydrological Processes, 18(16): 3007-3018. 

  19. Schaap, M. G. and Bouten, W. 1997. Forest floor evaporation in a dense Douglas fir stand. Journal of Hydrology, 193. 

  20. Walsh, R. P. D. and Voigt, P. J. 1977. Vegetation litter - underestimated varaiable in hydrology and geomorphology. Journal of Biogeography, 4(3): 253-274. 

  21. Wang, J.?Cui, P.?Liu, X.?Wang, L. and Zhang, S. 2005. Water-holding capacity of litter layer for different forest vegetation in ecological restoration of small watershed. Science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3(1): i48-52. 

  22. Woo BM?Park BE and Choi HT. 1997.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litter and humus layer on the water storage at Pinus koraiensis stands in the central research forests. Res. Bul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ests. No. 33: 16-2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