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석기간 중 여대생의 섭식스타일과 식품 섭취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Eating Style and Food Intake of Healthy Female College Students during Chuseok Holiday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2, 2016년, pp.131 - 139  

김석영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ssociations between eating style and food intake of 45 female college students during Chuseok holidays. Methods: A ten-day food record was obtained and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five days (September 20-24, 2015) were considered a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자연스런 실생활에서 섭식절제를 비롯한 다양한 섭식행동을 관찰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고, 이를 바탕으로 특징적인 섭식스타일을 분류할 수 있다면, 각 섭식스타일에 따른 맞춤형 섭식상담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평상시와 추석기간 중의 식품 섭취량을 측정하고, 유사한 섭식행동을 보이는 군집을 분류한 다음, 그들의 식품섭취량, 신체계측치와 섭식행동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 일반적으로 추석 1-2일 전부터 음식재료를 구입, 조리하게 되므로, 추석 전날들은 이미 모든 음식을 먹어 본 추석 이후의 날들보다 섭식자극이 강하게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섭식절제가 강한 개인의 경우에는, 곧 섭취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능한 섭취를 자제하고자 한다. 따라서 추석 전 2일 간은 개인의 섭식행동의 차이가 가장 뚜렷하게 발현될 수 있는 시기로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섭식절제란 무엇인가? 날씬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 때문에 우리나라의 여대생들이 다양한 섭식행동을 통해 식품섭취를 억제하고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2]. 자신이 원하는 체중에 도달하기 위해, 또는 이상적인 체중 유지를 위해, 오랜 기간 동안 반복하여 음식섭취를 제한하는 섭식행동을 섭식절제라고 하는데, 섭식절제 자는 배고픔이나 포만감 같은 신체적 반응보다 인지적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자신의 식품섭취를 모니터하고 섭취량을 줄이려는 경향을 보인다[3]. 따라서 평상시에는 식사를 적게 섭취하려고 노력하지만 일단 먹기 시작하면 자신의 식욕을 더 이상 억제하지 못하고 과식하는 수가 많다[4].
섭식절제 이론에 따르면, 섭식절제 행동을 보이는 사람들이 다이어트 시 체중이 증가하는 이유는? 본 조사대상자는 같은 또래의 젊은 여성들이 모여 생활하는 여대생들이므로, 비록 정상체중이라고 하여도 타인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체격이 커 보이면 좀 더 식품섭취를 절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관관계를 보인 것 같다. 섭식절제 이론에 따르면 섭식절제 행동을 보이는 사람들은 대개 충동적이지 않고 성실한 편인데[30], 다이어트를 할 경우 자신이 느끼는 공복감을 의지력으로 억제하지만 결국 조절력이 약화되어 과식하게 되고, 체중이 증가한다고 하였다[31]. 또 다이어트 중인 여성을, 섭식절제 정도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고 절제군에서 유의하게 체지방량이 높았다고 하며[32], 청소년의 경우에도 높은 섭취절제 행동을 보일수록 BMI가 높았으나 정서적 섭식이나 외부적 섭식은 BMI와는 관련이 없었다고 하였다[33].
추석기간이 섭식행동을 관찰하기 좋은 기회인 이유가 무엇인가? 추석기간은 일 년 중 식품이 가장 풍부한 시기이고, 대부분의 젊은 여성들은 며칠 동안 음식준비 및 접대에 참여하게 된다. 이렇게 강한 섭식자극을 받게 되면 비록 체중 증가에 민감한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자제력을 잃고, 섭취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자연스런 실생활에서 섭식절제를 비롯한 다양한 섭식행동을 관찰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고, 이를 바탕으로 특징적인 섭식스타일을 분류할 수 있다면, 각 섭식스타일에 따른 맞춤형 섭식상담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평상시와 추석기간 중의 식품 섭취량을 측정하고, 유사한 섭식행동을 보이는 군집을 분류한 다음, 그들의 식품섭취량, 신체계측치와 섭식행동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Keskitalo K, Tuorila H, Spector TD, Cherkas LF, Knaapila A, Kaprio J et al. The three-factor eating questionnaire, body mass index, and responses to sweet and salty fatty foods: a twin study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associations. Am J Clin Nutr 2008; 88(2): 263-271. 

  2. Lim SH, Kim KH.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pressure for body thinness on eating behavior in female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body dissatisfac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BAS. Korean J Health Psychol 2009; 14(4): 853-869. 

  3. Meiselman HL, MacFie HJH. Food choice, acceptance and consumption. 1st ed. London: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1996. p. 256-259. 

  4. Polivy J, Coleman J, Herman CP. The effect of deprivation on food cravings and eating behavior in restrained and unrestrained eaters. Int J Eat Disord 2005; 38(4): 301-309. 

  5. Greene GW, Schembre SM, White AA, Hoerr SL, Lohse B, Shoff S et al. Identifying clusters of college students at elevated health risk based on eating and exercise behaviors and psychosocial determinants of body weight. J Am Diet Assoc 2011; 111(3): 394-400. 

  6. Herman CP, Polivy J. Anxiety, restraint, and eating behavior. J Abnorm Psychol 1975; 84(6): 66-72. 

  7. Stunkard AJ, Messick S. The three-factor eating questionnaire to measure dietary restraint, disinhibition and hunger. J Psychosom Res 1985; 29(1): 71-83. 

  8. Van Strien T, Frijters JE, Bergers G, Defares PB. The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DEBQ) for assessment of restrained eating, emotional, and external eating behavior. Int J Eat Disord 1986; 5(2): 295-315. 

  9. Kim HJ, Lee IS, Kim JH.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Korean J Clin Psychol 1996; 15(1): 141-150. 

  10. Lee IS. A validity study of the restraint scale. Korean J Health Psychol 2002; 7(1): 143-158. 

  11. Shapiro JR, Anderson DA. Counterregulatory eating behavior in multiple item teat meals. Eat Behav 2005; 6(2): 169-178. 

  12. Lowe MR. Putting restrained and unrestrained nondieters on short-term diets: Effects on eating. Addict Behav 1994; 19(4): 349-356. 

  13. Scagliusi FB, Ferriolli E, Pfrimer K, Laureano C, Cunha CS, Gualano B et al. Characteristics of women who frequently under report their energy intake: a doubly labelled water study. Eur J Clin Nutr 2009; 63(10): 1192-1199. 

  14. Rennie KL, Siervo M, Jebb SA. Can self-reported dieting and dietary restraint identify underreporters of energy intake in dietary surveys? J Am Diet Assoc 2006; 106(10): 1667-1672. 

  15. Lee RD, Nieman DC. Nutritional assessment. 3rd ed. New York: McGraw-Hill; 2003. p. 179-180. 

  16. Lee SL, Lee SH. Survey on health-related factors,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Wonj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2): 96-108. 

  17. Kang SH, Lee YM. Menstruation and the variability of food intake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6): 577-587. 

  18. Seo EH. A study on food habits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BMI in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students in Kyungnam univers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14; 19(4): 297-316. 

  19. Kim MK, Lee WY, Kang JH, Kang JH, Kim BT, Kim SM et al. 2014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 Endocrinol Metab 2014; 29(4): 405-409. 

  20. Song YM, Lee KY, Sung JH. Eating behaviors and weight over time in a prospective study: the Healthy Twin Study. Asia Pac J Clin Nutr 2014; 23(1): 76-83. 

  21. Dakanalis A, Zanetti MA, Clerici M, Madeddu F, Riva G, Caccialanza R. Italian version of the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Psychometric proprieties and measurement invariance across sex, BMI-status and age. Appetite 2013; 71: 187-195. 

  22. Banos RM, Cebolla A, Moragrega I, Van Strien T, Fernandez-Aranda F, Aguera Z et al. Relationship between eating styles and temperament in an anorexia nervosa, healthy control, and morbid obesity female sample. Appetite 2014; 76: 76-83. 

  23. Lee YJ, You JS, Chang KJ. Dietary habits score, nutrients intake and dietary quality related to coffee consumption of college students in Incheon. J Nutr Health 2013; 46(6): 560-572. 

  24. Kim SH. A survey on daily physical activity level, energy expenditure and dietary energy intake by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J Nutr Health 2013; 46(4): 346-356. 

  25. Hong SM, Bak KJ, Jung SH, Oh KW, Hong YA. A study on nutrient intakes and hematological statu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f Ulsan city. Korean J Nutr 1993; 26(3): 338-346. 

  26. Kim SH. Patterns of dietary fat intake by university female students living in Kongju city: Comparisons among groups divided by living arrangement. Korean J Nutr 1997; 30(3): 286-298. 

  27. Kim SY, Cha BK, Kim SH. Anthropometric correlates of restrained eating in female college students during Korean Thanksgiving Holidays. Korean J Nutr 1999; 32(6): 746-755. 

  28. Savage JS, Hoffman L, Birch LL. Dieting, restraint, and disinhibition predict women's weight change over 6y. Am J Clin Nutr 2009; 90(1): 33-40. 

  29. De Lauzon-Guillain B, Basdevant A, Romon M, Karlsson J, Borys JM, Charles MA et al. Is restrained eating a risk factor for weight gain in a general population. Am J Clin Nutr 2006; 83(1): 132-138. 

  30. Elfhag K, Morey LC. Personality traits and eating behavior in the obese: Poor self-control in emotional and external eating but personality assets in restrained eating. Eat Behav 2008; 9(3): 285-293. 

  31. Hays NP, Bathalon GP, McCrory MA, Roubenoff R, Lipman R, Roberts SB. Eating behavior correlates of adult weight gain and obesity in healthy women aged 55-65y. Am J Clin Nutr 2002; 75(3): 476-483. 

  32. Beiseigel JM, Nickols-Richardson SM. Cognitive eating restraint scores are associated with body fatness but not with other measures of dieting in women. Appetite 2004; 43(1): 47-53. 

  33. Snoek HM, Engels RC, van Strien T, Otten R. Emotional, external and restrained eating behaviour and BMI trajectories in adolescence. Appetite 2013; 67: 81-87. 

  34. Koenders PG, van Strien T. Emotional eating, rather than lifestyle behavior, drives weight gain in a prospective study in 1562 employees. J Occup Environ Med 2011; 53(11): 1287-1293. 

  35. Cebolla A, Barrada JR, van Strien T, Oliver E, Banos R. Validation of the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DEBQ) in a sample of Spanish women. Appetite 2014; 73: 58-64. 

  36. Wansink B, Painter JE, North J. Bottomless bowls: why visual cues of portion size may influence intake. Obes Res 2005; 13(1): 93-100. 

  37. Haire C, Raynor HA. Weight statu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ckage size and food intake. J Acad Nutr Diet 2014; 114(8): 1251-1256. 

  38. van den Boer JH, Mars M. Modeling of eating style and its effect on intake. Appetite 2015; 86: 25-30. 

  39. Herman CP, Roth DA, Polivy J. Effects of the presence of others on food intake: a normative interpretation. Psychol Bull 2003; 129(6): 873-886. 

  40. Buckland NJ, Finlayson G, Edge R, Hetherington MM. Resistance reminders: Dieters reduce energy intake after exposure to diet-congruent food images compared to control non-food images. Appetite 2014; 73: 189-196. 

  41. Buckland NJ, Finlayson G, Hetherington MM. Slimming starters. Intake of a diet-congruent food reduces meal intake in active dieters. Appetite 2013; 71: 430-437. 

  42. de Castro JM, Goldstein SJ. Eating attitudes and behaviors of pre-and postpubertal females: clues to the etiology of eating disorders. Physiol Behav 1995; 58(1): 15-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