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부직포 전신 보호복의 패턴형상 및 유형분석
Analysis of Pattern Shape and Types for Non-woven Protective Coverall on Domestic Market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0 no.2, 2016년, pp.273 - 286  

문지현 (부산디자인센터) ,  전은경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부 의류학 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tective coveralls are very uncomfortable to work in comparison to ordinary top and bottom separated clothing. A pattern maker has to consider the size of the human body and human motion range when designing protective coverall patterns. It is difficult to produce well-fitted coveralls because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덧입는 부직포 전신 보호복의 패턴정보가 전무한 상황에서 시판 제품을 통해 그 형태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라 생각되어 본 연구는 향후 부직포 전신 보호복 패턴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로 시판 제품으로부터 패턴의 형태와 치수특징을 분석하고 유형화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시판 제품을 수집, 해체를 통해 패턴을 획득하고 획득된 패턴으로부터 각 패턴의 형상특성 분석 및 특성에 따른 유형화, 각 패턴의 치수특성 및 치수에 따른 유형화를 실시한 후 유형에 속한 제품들의 형태별, 치수별 특징을 분석하여 덧입는 전신 보호복의 전반적인 형태 및 패턴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날로 그 사용용도가 증가하고 있는 일회용부직포 전신 보호복 패턴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일련의 연구로서 전신 보호복의 패턴정보가 전무한 상황에서 시판 제품을 통해 그 형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9개 사양, 2개 사이즈, 총 18개의 시판 부직포 전신 보호복으로부터 패턴을 획득하고 패턴형상 및 치수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존 상하 일체형 의복 패턴과 비교검토하며 패턴의 형태와 치수특징을 토대로 패턴의 유형화를 시도 하여 향후 전신 보호복 패턴개발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하여 기성 패턴이 전무한 일회용 부직포 전신 보호복의 패턴형상 및 그 유형별 특징, 유형을 분류하게 하는 요인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글로벌 시대에 쉽게 전파되는 각종 전염질병, 유해 산업현장, 농축산 작업현장 등 덧입는 전신 보호복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올바른 패턴과 치수체계가 제시되지 않은 상황에서 잘못된 보호복의 생산 및 소비자의 선택은 오히려 작업환경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어 위험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 획득된 전신 보호복의 패턴피스는 bodice와 pants, sleeve, hood, accessories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신패턴의 특성을 분류하는데 있어 그 특징의 유사성이 상이한 hood와 accessories를 제외하고 bodice와 pants, sleeve에 국한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항목은 bodice 관련 12개 항목, pants 관련 11개 항목, sleeve 관련 4개 항목 등 총 27개 항목이다(Table 2).
  • 시판 부직포 전신 보호복의 부위별 패턴치수로부터 치수특성을 유형별로 분류하고자 하였다. 앞서 시판 보호복의 사이즈 규격에 따른 부위별 치수분석을 통해 제품사이즈와 제품치수 간의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날로 그 사용용도가 증가하고 있는 일회용부직포 전신 보호복 패턴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일련의 연구로서 전신 보호복의 패턴정보가 전무한 상황에서 시판 제품을 통해 그 형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9개 사양, 2개 사이즈, 총 18개의 시판 부직포 전신 보호복으로부터 패턴을 획득하고 패턴형상 및 치수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존 상하 일체형 의복 패턴과 비교검토하며 패턴의 형태와 치수특징을 토대로 패턴의 유형화를 시도 하여 향후 전신 보호복 패턴개발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신 보호복의 단점은? 전신 보호복은 상하의가 연결되어있는 특성상, 상하가 분리된 의복류에 비해 동작의 제약이 따르며 착탈의도 불편한 의복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신 보호복의 수요가 날로 증가하는 것은 차단 목적에 부합되는 1차적인 장구로서 위해한 환경에서 필수불가결한 복장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노동부에서는 유해한 액체 또는 기체의 유기화합물이 인체에 흡수되는 것을 막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이러한 위해 환경으로부터의 방어하기 위한 방법이 여러 차원에서 고려되고 있는데, 작업자의 일차적인 보호환경은 인체에 바로 착용하는 보호복이라 할 수 있다. 노동부에서는 외부로부터 유해한 액체 또는 기체의 유기화합물이 인체에 흡수되는 것을 막기 위해 유기화합물 검정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작업자의 직업병 예방을 위해 성능이 검정된 전신 보호복 또는 보호장구를 착용하도록 하고 있다(Lee, 2004). 보호복은 주로 작업복 위에 덧입는 형태로 오버롤(Overalls), 커버롤(Coveralls), 앞치마(Apron) 등이 있는 데 그 용도는 보호를 요하는 인체부위와 차단하는 물질의 유해수준에 의해 결정된다.
전신 보호복에 패턴을 단순화시킨 설계방법이 적용된 이유는 무엇인가? 전신 보호복의패턴은인체곡선을 최소화한직선적인외곽선형태이며 최소한의 패턴절개로 패턴을 단순화시킨 설계방법이 관찰되었다. 패턴의 직선화, 단순화, 최소화는 재단 및 봉제과정을 단축시켜 복잡한 봉제로 인한 불량을 줄이는 동시에 원가 절감의 효과로 이어진다. 이는 일회용 제품의 가격요인을 생각할 때 그 이유를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최소한의 봉제선은 오염, 위해 물질의 차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rmstrong, H. J. (2011). HELEN JOSEPH-ARMSTRONG PATTERNMAKING for fashion design (J. S. Kim, Y. S. Kim, S. H. Ryu, S. A. Kweon, & Y. J. Nam, Trans.). Seoul: Yehaksa. (Original work published 2001) 

  2. Jeon, E., & Moon, J. (2015). Manual design for pattern developing and virtual modelling through product analysis-Focused on disposable protective covera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3), 457-467. doi:10.5850/JKSCT.2015.39.3.457 

  3. Jeon, E. J. (2011). Designing of ergonomic flight suit through developing pattern and size systematiz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 Jeon, E. J., Park, J. E., Jeong, J. R., Park, S., Park, J. U., You, H. C., & Kim, H. E. (2009). Pattern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body dimension for flight suit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1(2), 286-292. 

  5. Jeon, E. J., Park, S. K., You, H. C., & Kim, H. E. (2010). The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the flight suit pattern to enhance mo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2(5), 633-641. 

  6. Kim, K. H., Lee, O. H., & Jung, O. L. (2003). 패션디자인을 위한 패턴메이킹 [Pattern making for fashion design]. Seoul: Kyohakyeongusa. 

  7. Kim, Y. (2007). A functional design of auto mechanic's covera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4), 531-539. 

  8. Kim, Y. H., & Jung, H. N. (2011). Fashion design & patternmaking. Seoul: Kyohakyeongusa. 

  9.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0). 측정데이터 검색 [Human dimensions research reports]. Size Korea. Retrieved March 15, 2014, from http://sizekorea.kr/02_data/outline.asp 

  10. Lee, C. K. (2004, June 18). 노동부 "유기화합물용 보호복 등 검정제도" 도입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troduced "checking the test system for protective clothing"]. Ulsan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Retrieved October 10, 2015, http://www.moel.go.kr/local/ulsan/view.jsp?cate3&sec4&bbs_cd105&seq85578&div_cd&modeview 

  11. Lee, Y. J., Chung, C., & Jung, J. E. (2002). Thermoregulatory responses of differently designe cleanroom gar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6), 811-820. 

  12. Moon, J. H. (2015). Pattern design of non-woven industrial protective coveral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Ulsan, Ulsan. 

  13. Na, M. H., Jang, K. J., & Lee, Y. S. (1997) A study on the pattern for the clean room garment of the overall typ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6(2), 121-131. 

  14. Oh, S., Chun, J., Shin, S. M., & Lee, M. J. (2011). A study of pattern making for coverall work clothing using dynamic wearing eas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3), 113-121. 

  15. Yoo, H. S. (2001). Pattern making. Seoul: Soohak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