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dult learners in the Lifelong Learning happines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4, 2016년, pp.138 - 146  

김미영 (대전평생교육진흥원) ,  강훈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 특성과 평생학습 행복지수의 관계에서 성인교육자 특성, 학습참여동기 및 교육기관 특성의 매개 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학습자의 성별, 학력별, 연령대별, 거주지별, 평생학습 참여경험, 직업, 참여하고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평생학습 행복지수의 차이는 없으며, 둘째, 성인학습자 특성이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셋째. 성인학습자 특성은 성인교육자 특성, 학습참여동기 및 교육기관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넷째, 성인교육자 특성은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학습참여 동기와 교육기관 특성은 각각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다섯째, 성인교육자 특성은 성인학습자 특성과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매개 역할을 하지 않으나 학습참여동기와 교육기관 특성은 성인학습자 특성과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대해 각각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평생학습 경험을 통해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하여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성인교육자가 성인학습자 특성 이해의 향상과 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질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adult educator's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ttending adult continuing education and the happiness index of lifelong learning,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in learning and the institution c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과정에서의 경험과 참여한 후의 결과로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해 보는 것이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평생교육 활동을 이루고 있는 성인학습자, 성인 교육자, 평생교육기관 특성으로 구분하여 평생학습 행복 지수와의 관계를 탐구하여 평생학습 설계, 프로그램 개발, 운영 측면에 실제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 특성과 평생학습 행복지수의 관계에서 성인교육자 특성, 학습참여동기 및 교육기관 특성의 매개 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한 연구의 결과는? 이 연구는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 특성과 평생학습 행복지수의 관계에서 성인교육자 특성, 학습참여동기 및 교육기관 특성의 매개 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학습자의 성별, 학력별, 연령대별, 거주지별, 평생학습 참여경험, 직업, 참여하고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평생학습 행복지수의 차이는 없으며, 둘째, 성인학습자 특성이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셋째. 성인학습자 특성은 성인교육자 특성, 학습참여동기 및 교육기관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넷째, 성인교육자 특성은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학습참여 동기와 교육기관 특성은 각각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다섯째, 성인교육자 특성은 성인학습자 특성과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매개 역할을 하지 않으나 학습참여동기와 교육기관 특성은 성인학습자 특성과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대해 각각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평생학습 경험을 통해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하여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성인교육자가 성인학습자 특성 이해의 향상과 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질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평생학습 사회가 요구되고 있는 이유는? 지식기반사회의 등장, 고령화, ICT 기술혁신, 지식과 기능의 짧은 생명주기, 노동 시장의 유연화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변화는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만으로는 부족하며, 전 생애에 걸쳐 학습이 이루어져 하는 평생학습 사회를 강하게 요구하게 되었다.
학습사회의 사전적 의미는? 학습사회는 사전적으로 국민 각자가 자아실현, 생활 향상 또는 직업적 지식과 기술의 획득 등을 목적으로 평생에 걸쳐 자주적, 주체적으로 학습을 계속할 수 있는 사회[1]이며,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부분에서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교육활동에 참여하게 하는 사회를 뜻한다. 이러한 학습사회에 대한 관심과 열망들이 평생교육에 대한 정책적인 방안을 요구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 S. Lee et al., "Regional lifelong learning society realizes Stud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2. 

  2. S. W. Lee, "An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Adult Learners' Persistence in University Attached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Department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2003. 

  3. S. K. Lim. "An SEM Analysis on Participation Outcomes and Effect Factors of Female Adult Learners",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2007. 

  4. H. I. Kwon, "Study for difference in happiness depending on lifelong education program participation of adult learners". Department of Urban Studies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Gyeongbuk Korea, 2013. 

  5. I. T. Kwon, "The Effect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ve Motivation on their Program Satisfaction and Happiness according to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he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Vol.11, No.3, pp. 13-164, 2013. 

  6. J. H. Kim, "A Stuctur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Learning Flow of Participants in Adult Learning Programs". A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Education Graduate School National University, 2003. 

  7. A. R. Kim, "A Study on Learning Outcome Perceives bt Adult Learners in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ions", Dep.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2004. 

  8. H. S. Kim,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Learning Outcome of Adult Learners and Education Factors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Major in Socialogy of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2008. 

  9. E, K. Seo, "The origins of happiness". 21st Century Books, Seoul, 2014. 

  10. S. K. Kim, Y. S. Jang, H. S. Cho, M. S. Cha, "A Study of Determinants and Indicators of Happiness among Korean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8. 

  11. M. S. Kim, Y. S. Han, "The Development of Happiness Index for Korean". Survey Research, Vol.9, No.2, pp. 1-38, 2006. 

  12. E. K. Seo et al., "Koreans' happiness Index and Meaning". Korea Psychological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Symposium, 2010. 

  13. E. H. Koh, S. Lee, "Study on Happiness of Lifelong Learning and Happiness of Life for Adults". Educational research methods, Vol.26, No.4, pp. 851-870, 2014. 

  14. OECD, Education at a Glance 2011, Paris: OECD, 2011. 

  15.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ISSUE Brief", No.9, Seou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012. 

  16. D. R. Sin, "Happiness and Education". Educational Philosophy, Vol.18, No.3, pp. 191-208, 2000. 

  17. C. K. Yoon, "Challenges and Hindrances in Constructing Networks in Community and Meaning of Learning".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Vol.15, No.1, pp. 31-65, 2009. 

  18. Y. S. Park,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Learning and Happiness-With Focus on Sense of Self-respect and Immersion-", HRD Research, Vol.12, No.4, pp. 113-136, 2010. 

  19. H. Y. Jang, "Implications of Positive Psychology for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Andragogy Today, 15(1), 2012. 

  20. Walking Into the light, Functional happiness, Retrived from http://walkingintothelight.com/Functional-Happiness/, 2014.11.28 

  21. Y. J. Kwon, S. O. Lee, "Five Yard of Lifelong Learning", Seoul: Educational History of Science, 2000. 

  22. Narushuima, M., Liu, J., & Diestelkamp. N., The association between lifelong learn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Implication for interdisciplinary health promotion in an aging society, Actinrities, Adaptation & Aging, Vol.37, pp. 239-250, 2013. DOI: http://dx.doi.org/10.1080/01924788.2013.816834 

  23. Sabates, R., Hammond, C., The impact of lifelong learning on happiness and well-being, London: Centre for Research on the Wider Benefits of Learning, 2008. 

  24. Eccles, J. S., & Wigfield, A., Teacher expectancies and student motivation. In J. B, Dusek (Ed.), Teacher Expectacies, Hillsdale, NJ: Erlbaum, pp. 185-226, 1985. 

  25. K. S. Ki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eoul: Hannarae publisher, 2007. 

  26. M. H. Yang,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Model". A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0. 

  27. Guglielmino, L. M.,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1977. 

  28. Houle, C. D., "The Inquiring Mind: A Study of the Adult Who Continues to Learn",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1. 

  29. Boshier, R., "Motivational orientations of adult education participants: A factor analytic exploration of Houle's typology", Adult Education, Vol.21, pp. 3-26, 1971. DOI: http://dx.doi.org/10.1177/074171367102100201 

  30. Grotelueschen, A. D., "Quality Assurance in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Occasional Papers 2. Dept, of Adult Education", Univ. of Georgia, Athens, GA,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