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60 GHz 대역 전력 증폭기를 위한 구간별 차등 다항식 모델 기반의 디지털 사전왜곡기 설계
Design of A Piecewise Polynomial Model Based Digital Predistortion for 60 GHz Power Amplifier 원문보기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전자공학회논문지, v.53 no.5, 2016년, pp.3 - 12  

김민호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  이진구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  김대현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  김영록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밀리미터파 대역을 활용하는 5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파 감쇠 특성으로 인하여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성을 완화시키는 방법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 증폭기의 특성을 선형구간과 비선형구간을 구분하여 구간별 계수를 사용하는 구간별 차등 다항식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모델과 직접 학습 방식을 이용하여 디지털 사전왜곡기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LTE 신호를 인가한 60 GHz 대역 전력증폭기를 위한 제안된 모델과 직접 학습 방식에 기반한 디지털 사전왜곡기를 FPGA로 구현하였고 하드웨어 테스트벤치를 통하여 성능 및 연산 복잡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기존 단일 다항식 모델 대비 ACLR 측면에서는 3.3 dB 개선됨을 보였으며 연산 복잡도 측면에서는 7.5 % 감소됨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study on 5G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using the millimeter-wave frequency band have been actively promoted and the importance of compensation of the nonlinearity of power amplifier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millimeter-wave frequency propagation attenuation is increasing.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60 GHz 대역의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을 효과적으로 보완하기 위해 구간별 차등 다항식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한 모델의 구간 차등점을 추출하는 방법 및 제안한 모델을 이용한 디지털 사전 왜곡기의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구간 영역을 다항식 모델의 출력신호와 측정된 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와의 평균 제곱 에러(Mean Square Error : MSE)를 통해 분할하는 구간별 차등 다항식 모델 및 디지털 사전 왜곡기 구현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을 성능 검증하기 위하여, 제안된 모델을 이용한 디지털 사전 왜곡기를 구현하고 FMM-5715X 전력 증폭기에 적용하여 2 FA LTE 신호에 대한 기존 모델과의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성능 향상 및 연산 복잡도를 비교하였다.
  •  이 경우 모델링 정확도 한계가 존재해 사전왜곡기의 성능 한계가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 증폭기의 선형과 비선형구간 경계 조건을 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와 다항식 모델의 출력신호와의 MSE가 최소가 되는 구간 차등점을 이용해 기존의 모델링 정확도 한계를 보완하는 구간별 차등 다항식 모델을 제안한다.
  • 본 논문의 디지털 사전 왜곡기 구조는 참고문헌[17]에서 소개된 open-loop 기반의 디지털 사전 왜곡기 구조이다. Feedback 회로가 없기 때문에 그림 6과 같이 스펙트럼 분석기(Spectrum Analyzer)와 PC의 Matlab을 통해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의 역함수를 추출한다.
  • 앞 절에서는 구간별 차등 다항식 모델과 open-loop방식을 이용하여 구간별 차등 계수 추출 과정을 기술하였다. 본 절에서는 위에서 추출된 구간별 차등 계수를 이용하여 디지털 사전 왜곡기를 FPGA에 구현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기술한다.

가설 설정

  • N은 최대 비선형 차수이다. 비선형 모델링의 계수를 유도하기 위해서 M개의 입출력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많은 양의 정보를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는 방식들이 개발되고 있는 이유는? 무선 통신의 발전과 함께 사용자수 및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당 데이터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1] 이러한 기술적인 요구 사항에 의해 많은 양의 정보를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는 OFDM(O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과 같은 다중 반송파(multi carrier)전송 방식이나 QAM(Quadature Amplitude Modulation)와 같은 다차원의 변조 방식 등이 개발되고 있다.
5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어디에 기인하는가? 밀리미터파 대역은 비허가 대역으로써 추가적인 비용 없이 넓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2~4] 하지만 밀리미터파는 고유의 전파 감쇄 특성으로 인해서 통신되는 범위가 좁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송신 전력을 높게 송출해야 한다. 그로 인해, 5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도 전력 증폭기가 필요하고 위에 언급한 내용과 같이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가 야기된다.
밀리미터파 대역의 장점은? 최근 밀리미터파 대역을 이용한 5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밀리미터파 대역은 비허가 대역으로써 추가적인 비용 없이 넓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2~4] 하지만 밀리미터파는 고유의 전파 감쇄 특성으로 인해서 통신되는 범위가 좁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송신 전력을 높게 송출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G Glisic,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s, 4G Technologies, Wiley, 2004. 

  2. N. Guo, RC Qiu, S. Mo, and K Takahashi, "60-GHz millimeter-wave radio: Principle, technology, and new results." EURASIP Journal on Wireless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vol. 2007, no. 1, pp.48-38, Jan. 2007. 

  3. J. Wells, "Faster than fiber: The future of multi-Gb/s wireless", IEEE Microwave Mag., vol. 10, no. 3, pp. 104-112, May 2009. 

  4. D. Lockie, D. Peck, "High-data-rate millimeter-wave radios", IEEE Microwave Mag., vol. 10, no. 5, pp. 75-83,Aug. 2009. 

  5. S. C. Cripps, RF Power Amplifier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Northwood, MA: Artech House 1999. 

  6. A. S. Wright and W. G. Durtler, "Experimental performance of an adaptive digital linearized power amplifier," IEEE Trans. Veh. Technol., vol. 41, no. 4, pp. 395-400, Nov. 1992. 

  7. L. Ding, G. T. Zhou, D. R. Morgan, Z. Ma, J. S. Kenney, J. Kim, and C. R. Giardina, "A robust digital baseband predistorter constructed using memory polynomial", IEEE Trans. Commun., vol. 52, no. 1 pp. 159-165, Jan. 2004. 

  8. D. R. Morgan, Z. Ma, J. Kim, M. G. Zierdt, and J. Pastalan, "A Generalized Memory Polynomial Model for Digital Predistortion of RF Power Amplifiers." IEEE Trans. Signal Process., vol.54, no. 10, pp. 3852-3860, Oct. 2006. 

  9. C. Quindroit, N. Naraharisetti, P. Roblin, S. Gheitanchi, V. Mauer, and M. Fitton, "Concurrent dual-band digital predistortion for power amplifier based on orthogonal polynomials", IEEE MTT-S Int. Microw. Symp. Dig., 2013. 

  10. M. Ghaderi, S. Kumar, and D. E. Dodds, "Fast adaptive polynomial I and Q predistorter with global optimization", IEEE Proc. Commun., vol. 143, no. 2, pp. 78-86, Apr. 1996. 

  11. Manjung Seo, Heesung Shim, Sungbin Im, and Seungmo Hong, "A Canonical Piecewise-Linear Model-Based Digital Predistorter for Power Amplifier Linearization",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otronics and Inforamtion Engineers Vol.47, No.2, pp. 9-17, Feb. 2010. 

  12. Manjung Seo, Seokhun Jeon, and Sungbin Im, "A SCPWL Model-Based Digital Predistorter for Nonlinear High Power Amplifier Linearization",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otronics and Inforamtion Engineers Vol.47, No.10, pp. 8-16, Oct. 2010. 

  13. X. Li, W. Lv, F. Li, "High order inverse polynomial predistortion for memoryless RF power amplifiers", 5th IE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ireless, Mobile and Multimedia Netwroks (ICWMMN 2013), pp. 335-338, Beijing, China, Nov, 2013. 

  14. C. Eun, E. J. Powers, "A new Volterra predistorter based on the indirect learning architecture", IEEE Trans.Signals Process., vol. 45, no. 1, pp. 223-227, Jan. 1997. 

  15. A. Zhu, J. C. Pedro, and T. J. Brazil, "Dynamic deviation reduction based Volterra behavioral modeling of RF power amplifiers", IEEE Trans. Microw. Theory Tech., vol. 54, no. 12, pp. 4323-4332, Dec. 2006. 

  16. Minglu Jin, Sooyoung Kim Shin, and Deockgil Oh, "Piecewise Polynomial Predistorter for Power Amplifier," Proceeding of CIC' 2002, Seoul, Korea, Nov. 2002. 

  17. A. Zhu, P. J. Draxler, J. J. Yan, T. J. Brazil, D. F. Kimball, and P. M. Asbeck, "Open-loop digital predistorter for RF power amplifiers using dynamic deviation reduction-based Volterra series," IEEE Trans. Microw. Theory Tech., vol. 56, no. 7, pp. 1524-1534, Jul.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