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통혈(脾統血)'의 개념(槪念)과 기전(機轉)에 관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Concept and Mechanism of 'The Pi Controls the blood(脾統血)'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9 no.2, 2016년, pp.165 - 176  

김종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The Spleen controls the blood(脾統血)' concept, to clarify what this concept means and the mechanism of its physiology. Methods : Contents including 'Controlling blood(統血)' and 'Binding blood(攝血)' were searched and analyzed 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의학의 臟腑生理에서 ‘統血’이 갖는 의미는? 한의학의 臟腑生理에서 ‘統血’은 ‘運化’와 더불어 脾의 대표적 기능으로 여겨진다. ‘脾統血’은 현대의 관련 서적에서, 대부분 ‘脾가 血이 혈관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막는 기능’이라 정의하고 있다.
‘統’이나‘攝’이 일반 동사가 아닌 脾의 기능을 설명하는 용어로 정립된 것이, 그것이 처음 등장한 것보다는 후대의 일이라 추측하는 이유는? 47) 歸脾湯이 최초로 기재된 『濟生方』에서는 健忘, 怔忡만을 치료할 뿐 失血에는 쓰이지 않다가 『世醫得效方』(1337)과 『玉機微義』(1368)에서는 모두 失血을 언급하였는데, 그 사이에 脾와 失血 의 연관성에 대한 관점이 확장된 것으로 추측했다. 하지만 앞서 살펴봤듯이 ‘統血’이나 ‘攝血’이 비단脾의 기능에만 국한해 사용된 것은 아니다. 16C까지의 서적에서는 肝, 心, 肺의 기능이나 병증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사례가 있다. 따라서 ‘統’이나‘攝’이 일반 동사가 아닌 脾의 기능을 설명하는 용어로 정립된 것은 그것이 처음 등장한 것보다는 후대의 일이라 추측할 수 있다.
『동의생리학』에선 脾統血을 무엇이라 하였는가? 현대 한의학 서적에서 설명한 ‘脾統血’의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의생리학』에서는 “혈액을 통섭하고 제어하여 혈로 하여금 혈관 내를 흐르게 하면서 혈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50)라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Oriental Medicine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ed.. Dongyangulhakdaesajeon. Seoul. Publisher of Kyunghee university. 1999.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동양의학대사전.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1999. 

  2. Xu SW. Pujibenshibang. Shanghai. Shanghai Kexuejishu Chubanshe. 1987. 許叔微. 普濟本事方.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7. p.140. 

  3. Xue Ji. Xueshi yian. Beijing. Zhongguozhongyiyaochubanshe. 1997. 薛己. 薛氏醫案.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7. 

  4. Sun ZJ, et al.. Waikelili Xinshi. Beijing. hongyigujichubanshe. 2004. 孫振傑 外 3人 主編. 外科理例新釋. 北京. 中醫古籍出版社. 2004. 

  5. Wei YL. Shiyidexiafang. Shanghai. Sahnghai kexuejishu Chubanshe. 危亦林. 世醫得效方.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7. 

  6. Li C original work. Jin JP trans.. Sindaeyoek Pyunju Yixueremen. Seoul. Beobin Publisher. 2009. 李? 編著. 陳柱杓譯解. 新對譯 編註醫學入門. 서울. 법인문화사. 2009. 

  7. Zhang JB original work. Lee NG annot.. Jingyuequanshu. Beibin Publisher. 2007. 張介賓 著. 李南九 懸吐註釋. 懸吐註釋 景岳全書. 서울, 法仁文化社. 2007. 

  8. He MY. Yibian. Beijing. Zhongguozhongyiyaochubanshe. 2014. 何夢瑤 撰. 醫?.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14. 

  9. Tang RC origianl work. Jin XL annot.. Xuezhenglun. Beijing. Zhongguozhongyiyaochubanshe. 1996. 唐容川 著. 金香蘭 校注. 血證論.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6. 

  10. Dept. of Korean medical classics of all the colleges of Korean medicine ed.. Nanjing. Seoul. Beobin publisher. 2010. 전국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編. 難經. 서울. 2010. 

  11. Physiology professors of all the colleges of Korean medicine ed.. Physiology of Oriental Medicine. Paju, Kyunggi. 2008. 전국한의과대학 생리학교수 편저. 동의생리학. 경기도 파주. 2008. 

  12. Wang Qi. Zhongyizangxiagnxue. Beijing. Renminweichengchubanshe. 2012. 王琦. 中醫藏象學.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12. 

  13. Xu S original work. Yu CZ annot.. Shuowenjiezizhu. Seoul. Daesung Publisher. 1990. 許愼編撰, 殷玉裁注. 說文解字注. 서울. 대성문화사. 1990. 

  14. Hong WS ed.. Jeonggyohwangjenaegyeong Somun. Seoul. Publisher of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1985. 洪元植. 精校黃帝內經素問. 서울. 동양의학연구원출판사. 1985. 

  15. Jin JP ed.. Collection of Jinyuansidajia. Soeul. Beobin Publisher. 2007. 陳柱杓 註釋. 金元四大家 醫學全書. 서울. 법인문화사. 2007. 

  16. Wang B. Huangdineijingsuwen. Shenyang. Liaoning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1997. 王氷 撰注. 黃帝內經素問. 瀋陽. 遼寧科學技術出版社. 1997. 

  17. Wang JL, Zhang YL. Pitongxielilun xingchenghefazhande wenziantantao. Zhongyizhongxiyijiehepiweizazhi. 1998. 6(2). 王九林, 張月林. 脾?血理?形成和?展的文?探?. 中國中西醫結合脾胃雜誌. 1998. 6(2). 

  18. Ji LJ. "Pijhutongwue"dejilitanto. Journal of Fujian college of TCM. 2000. 10(2). 紀立金. "脾主統血"的機理探討. 福建中醫藥大學學報. 2000. 10(2). 

  19. Shang L. Study of connotation of Spleen Controlling Blood. Liaoning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4. 41(2). 商略. 脾統血槪念內涵初探. 遙寧中醫雜誌. 2014. 41(2). 

  20. Jin LB. Pitongxiedeneihanyushengli. Journal of Fujian college of TCM. 2014. 24(1). 陳麗斌. 脾統血的內涵與生理. 福建中醫藥大學學報. 2014. 24(1). 

  21. Ma TC, Wang CX. The Mechanism of "Spleen Control Blood". Liaoning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5. 17(10). 馬天馳, 王彩霞. "脾主統血"機理探討. 遙寧中醫雜誌. 2015. 17(10). 

  22. Jung HJ. Study on the Bitonghyul.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0. 24(6). 정현종. 脾統血에 관한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0. 24(6). 

  23. Zhu LL, Tong Y. PitongxielilunYuanliu jixiandaiyanjiu jinzhan. ITCM. 2003. 20(5). 朱凌凌, 童?. 脾統血理論原流及現代硏究進展. 上海中醫藥大學. 2003. 20(5). 

  24. Zhang MP. Cong > "Pigouxie"zhishizhi. Tianjinzhongyi. 2002. 19(5). 張文平. 從 > "脾?血"淺探"脾統血"之實質. 天津中醫. 2002. 19(5). 

  25. Siku Quanshu Wenyuange Edition Online Subscription Services. Ver.3.1. Hongkong. Dizhi wenhua chuban youxiangongsi. 2007. 文淵閣四庫全書電子版[網上版]. Ver.3.1. 香港. 迪志文化出版有限公司. 2007. 

  26. Naver Korean Dictionary.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6642000 [cited at 22 april 2015] 네이버 국어사전.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