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표층수 중 영양염과 Chlorophyll α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Nutrients and Chlorophyll α in the Surface Water of the East Sea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19 no.2, 2016년, pp.87 - 98  

윤상철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윤이용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보건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9년 7월 3일부터 7월 27일까지 러시아 조사선 R/V Lavrentyev를 이용하여 러시아 연안으로부터 4개의 Line(D, R, E, A)을 따라 표층 30 m 수심의 시료를 26개의 정점(울릉분지와 일본분지를 포함한 동해의 전 수역)에서 채수하여 영양염 및 엽록소-${\alpha}$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냉수역보다 난수역에서 1.4배 높은 질산염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은 모두 난수역보다 냉수역에서 높게 나타났다($NH_4$, $PO_4$ 각 1.8배, $Si(OH)_4$ 1.2배, 엽록소-${\alpha}$ 1.9배). 암모니아와 인산염, 엽록소-${\alpha}$의 수평분포는 매우 유사한 분포를 보이며, 한류와 저층수의 용승 영향권에 있는 러시아 근해에서 최대치를 보이고, 울릉분지에서 비교적 낮은 분포를 보인다. 반면, 질산염은 대마난류수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는 울릉분지에서 최대치를 보이며, 점차 북상할수록 감소한다. N/P 비는 한류수계보다 대마난류 중층수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이며, 대마난류수는 동해로 유입되는 질산염의 주요 공급원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난수역에서 인산염의 평균 농도는 $0.2{\mu}M$ 이하로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제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반면, 냉수역에서의 높은 농도는 엽록소-${\alpha}$와 직접적인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주성분 분석결과 주성분 I은 수온에 의해 동해의 해양환경이 주로 영향을 받으며, 주성분 II는 영양염과 엽록소-${\alpha}$ 가 주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연구해역의 해양환경은 수온에 지배되며, 그에 따라 냉수역과 온수역으로 구분되는 특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the period between July 3 and 27 of 2009,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Russian coast at a depth of 30m from 26 stations (including Ulleung and Japan basins) onboard the Russian survey vessel R/V Lavrentyev following 4 lines (D, R, E, and A).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nutrient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2]), 동해의 서남해역 또는 중부해역의 극전선역에 국한되어 있으며, 동해 전반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하여 울릉분지 뿐만 아니라 동해에서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일본분지를 포함한 동해 북부 해역에서 영양염과 엽록소-a의 수평분포를 조사하고 분포의 특성과 물리화학적 인자와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 울릉분지와 일본분지를 포함한 동해의 전 수역에서 표층수 중 영양염과 엽록소-a의 수평분포를 조사하고 물리적인 인자와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냉수역보다 난수역에서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해에 유입되어 열과 염을 공급하는 주요 해류는? 동해에 유입되어 열과 염을 공급하는 주요 해류는 대한해협을 통하여 유입되는 대마난류수이며, 동해의 해황은 대마난류와 바람, 대기와의 열교환 그리고 담수유입 등의 영향을 받는다(Seung[1992]). 이 해류는 동중국해를 통과하면서 양쯔강 유출수의 영양염을 공급받고 있으나 양쯔강 하류에 샨샤댐이 건설됨에 따라 영양염의 공급량이 감소하여 동해의 영양염 분포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Yanagi[2002]).
동해는 한류수와 난류수의 영향으로 무엇이 형성되는가? 또한 동해는 공간적 크기가 대양에 비해 작으나 대양과 유사한 이중 대순환(Double gyre) 형태의 상층순환이 존재하며, 다양한 해양 현상들이 일어나 축소판 해양(Miniature Ocean)으로 간주되고 있다(Ichiye[1984]). 한류수와 난류수의 영향으로 극전선(Polar front))과 소용돌이(Eddy)가 형성되며(Moon et al.[1998]; Park et al.[1998]), 용승(Upwelling)이 발생한다(Rho et al.[2012]).
동해의 지리학적인 특징은? 동해는 북서태평양의 연해로서 한반도, 일본열도, 시베리아 대륙으로 둘러싸인 반폐쇄성 해양이며, 수심이 얕은 4개의 해협(소야해협, 타타르해협, 쓰가루해협, 대한해협)을 통해 외해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동해는 공간적 크기가 대양에 비해 작으나 대양과 유사한 이중 대순환(Double gyre) 형태의 상층순환이 존재하며, 다양한 해양 현상들이 일어나 축소판 해양(Miniature Ocean)으로 간주되고 있다(Ichiye[198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enitez-Nelson, C.R., 2000, "The biogeochemical cycling of phosphorus in marine systems", Earth-Sci. Reviews, Vol. 51, 109-135. 

  2. Cho, H.J., Moon, C.H., Yang, H.S., Kang, W.B. and Lee, K.W., 1997, "Regeneration processes of nutrient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East Sea", J. Kor. Fish. Soc., Vol. 30, No. 3, 393-407. 

  3. Choi, Y.-K., Jeong, H.-D. and Kwon, K.-Y., 2010, "Water distribution at the east coast of Korea in 2006", J. Environ. Sci., Vol. 19, No. 4, 399-406. 

  4. Choi, Y.K., Yang, S.K., Cho, K.D., Lee, J.C. and Hong, C.H., 1993, "Possible Formation Area of the Japan Sea Proper Water I. Subareas by the Polar Front", J. Kor. Environ. Sci. Soc., Vol. 2, No. 1, 27-42. 

  5. Choi, M.Y., Moon, D.S., Jung, D.H. and Kim, H.J., 2012, "Seasonal distribution of water masses and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in the coastal areas of Gangwon province of the Korea East Sea in 2009",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Vol. 15, No. 2, 76-88. 

  6. Chung, C.S., Shim, J.H., Park, Y.C. and Park, S.G., 1989, "Primary productivity and nitrogenous nutrient dynamics in the East Sea of Korea", J. Oceanolog. Soc., Vol. 24, No. 1, 52-61. 

  7. Guo, X., Miyazawa, Y. and Yamagata, T., 2006, "The Kuroshio onshore intrusion along the shelf break of the East China Sea: The origi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J. Phys. Oceanogr., Vol. 36, No. 12, 2205-2231. 

  8. Ichiye, T., 1984, "Some problem of circulation and hydrography of the Japan Sea and Tsushima current. In: Ocean hydrography of the Japan Sea and China Seas, edited by Ichiye, T.", Elsevier Science Publishers, Amsterdam, 15-54. 

  9. Jeon, H.D., Rho, T.K. and Lee, T.S., 2012, "Spatial distribution of transparent exopolymer particles (TEP) and their relation to carbon species in the euphotic layer of the Northern East Sea", J. Kor. Soc. Oceanogr., Vol. 17, No. 2, 33-44. 

  10. Justic, D., Rabalais, N.N., Turner, R.E. and Dortch, Q., 1995, "Changes in nutrient structure of river-dominated coastal waters: Stoichiometric nutrient balance and its consequences", Estuar. Coast. Shelf Sci., Vol. 40, 339-356. 

  11. Kim, I.N. and Lee, T.S., 2004, "Summer Hydrographic Features of the East Sea Analyzed by the optimum multiparameter method", Ocean and Polar Res., Vol. 26, No. 4, 581-594. 

  12. Kim, K.H., Hyun, J.H., Lee, J.H., Shin, K.S., Pae, S.J., Yoo, S.J. and Chung, C.S., 2000, "Springtime distribution of inorganic nutrients in the Yellow Sea: Its relation of water masses", J. Kor. Soc. Oceanogr., Vol. 5, No. 3, 224-232. 

  13. Kim T.-H. and Kim, G., 2013, "Changes in seawater N:P ratios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in response to increasing atmospheric N deposition: Results from the East (Japan) Sea", Limnol. Oceanogr., Vol. 58. No. 6, 1907-1914. 

  14. Kim, T.-W., Lee, K., Najjar, R.G., Jeong, H.-D. and Jeong, H.J., 2011, "Increasing N abundance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due to atmospheric nitrogen deposition", Science, 334: 505-9, doi 10.1126/science.1206583. 

  15. Krom, M.D., Brenner, S. and Gordon, L.I., 1991, "Phosphorus limitation of primary productivity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sea", Limnol. Oceanogr., Vol. 36, No. 3, 424-432. 

  16. Kwon, H.K., Oh, S.J., Park, M.O. and Yang, H.S., 2014, "Distribution of water masses and distribution characterics of dissolved inorganic and organic nutrient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of Korea: Focus on the observed dasta in september, 2011",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Vol. 17, No. 2, 90-103. 

  17. Lee, C.I., Cho, K.D. and Choi, Y.K., 2003, "Spatial variation of the polar front in relation to the Tsushima Warm Current in the East Sea", J. Environ. Sci., Vol. 12, No. 9, 943-948. 

  18. Lee, J.Y., Kang, D.J., Kim, I.N., Rho, T.K. and Lee, T.S., 2009, "Sps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the pelagic ecosystem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A review", J. Mar. Syst., 78, 288-300. 

  19. Lee, T. and Rho, T.K., 2015, "Seawater N/P ratio of the East Sea", J. Kor. Soci. Oceanogr., Vol. 20, No. 4, 199-205. 

  20. Moon, C.H., Yang, H.S. and Lee, K.W., 1996, "Regeneration processes of nutrient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East Sea", J. Korean Fish. Soc., Vol. 29, No. 4, 503-526. 

  21. Moon, C.H., Yang, S.R., Yang, H.S., Cho, H.J., Lee, S.Y. and Kim, S.Y., 1998, "Regeneration processes of nutrient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East Sea", J. Korean Fish. Soc., Vol. 31, No. 2, 259-266. 

  22. Park, C., Lee, C.R. and Kim, J.C., 1998,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front zone of the East Sea (the Sea of Japan), Korea : 2. Relationship between abundance distribution and seawater temperature", J. Korean Fish. Soc., Vol. 31, No. 5, 749-759. 

  23. Ptacnik, R., Andersen, T. and Tamminen, T., 2010, "Performance of the redfield ratio and a family of nutrient limitation indicators as thresholds for phytoplankton N vs. P limitation", Ecosystems, Vol. 13, 1201-1214. 

  24. Rho, T.K., Kim, Y.B., Park, J.I., Lee, Y.W., Im, D.H., Kang, D.J., Lee, T.S., Yoon, S.T., Kim, T.H., Kwak, J.H., Park, H.J., Jeong, M.K., Chang, K.I., Kang, C.K., Suh, H.L., Park, M.W., Lee, H.J. and Kim, K.R., 2010, "Plankton community response to physico-chemical forcing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during summer 2008", Ocean and Polar Res., Vol. 32, No. 3, 269-289. 

  25. Rho, T.K., Lee, T.S., Lee, S.R., Choi, M.S., Park, C., Lee, J.H., Lee, J.Y. and Kim, S.S., 2012, "Reference values and water quality assessment based on the region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J. Kor. Soc. Oceanogr., Vol. 17, No. 2, 45-58. 

  26. Rho, T., Lee, T., Kim, G., Chang, K.-I., Na, T. and Kim, K.-R., 2012, "Prevailing surbsurface chlorophyll maximum (SCM) layer in the East Sea and its relation to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ter masses", Ocean and Polar Res., Vol. 34, No. 4, 413-430. 

  27. Seung, Y.H., 1992, "Water masses and circulations around Korean Peninsula", J. Oceanol. Fish. Soc., Vol. 27, No. 4, 324-331. 

  28. Wang, B.D., Wang, X.L., and Zhan, R., 2003, "Nutrient conditions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Estuar. Coast. Shelf Sci., Vol. 58, 127-1363. 

  29. Yang, H.S., Kim, S,S., Kang, C.G. and Cho, K.D., 1991, "A study on sea water and ocean current in the sea adjacent to Korea peninsula", Bull. Korean Fish. Soc., Vol. 24, No. 3, 185-192. 

  30. Yang, J.S., 1997, "Vertical distributions of dissolved Cu and Ni in the central East Sea", J. Kor. Soc. Oceanogr., Vol. 2, No. 2, 117-124. 

  31. Yanagi, T., 2002, "Water, salt, phosphorus and nitrogen budgets of the Japan Sea", J. Oceanogr., Vol. 58, 797-804. 

  32. Yoon, S.C. and Yoon, Y.Y., 2015, "Distributions of dissolved Pb and Cd in the surface water of East Sea, Korea",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Vol. 18, No. 2, 64-73. 

  33. Yoon, S.C., Yoon, Y.Y. and Suh, Y.S., 2014, "Dissolved copper and nickel in the surface water of East Sea, Korea",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Vol. 17, No. 4, 257-267. 

  34. Yoon, S.C., Youn, S.H., Whang, J.D., Suh, Y.S. and Yoon, Y.Y., 2015, "Long-term variation in ocean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northern East China Sea",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Vol. 18, No. 3, 189-206. 

  35. Yoon, Y.Y., Chong, S.J. and Yoon, S.C., 2007, "Characteristics and long term variation trend of water mass in offshore of the east coast of Korea",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Vol. 10, No. 1, 59-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