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메르스 확산에 따른 정부의 위기 대응 메시지 언어 네트워크 분석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Government's Crisis Communication Messages during the MERS Outbreak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5, 2016년, pp.124 - 136  

이미나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홍주현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몇 년간 거듭된 재난 재해 발생으로 인해 재난 재해 발생 시에 정부의 위기 대응의 중요성이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는 2015년 발생한 파급력이 큰 재난 위기 상황이었던 메르스 위기 상황에서 정부의 대응 메시지를 분석하여 정부가 위기를 어떻게 인식 하였고 어떤 대응을 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메르스 확산 양상에 따라 3단계로 시기를 나누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정부의 공식 홈페이지에 게재된 메르스 관련 보도자료 총 134건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메르스 확산 시기에 따라 보도자료에 나타난 정부의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에 대해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메르스 초기에 중앙 정부에서 위기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환자 경유 병원과 예방법 등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하며 충분한 정보공개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점이 가장 큰 문제로 드러났다. 메르스 확산기와 쇠퇴기에 서울시와 경기도에서는 중앙정부에 비해 좀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일상생활에서의 행동 수칙, 의료인 및 해제자 대상 심리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에 대한 메시지를 중점으로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부의 전염병 관련 재난 상황에서의 위기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그 메시지에 내포된 의미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함의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of continuous outbreaks of disasters and emergencies, the importance of government crisis management has been increased. This study analyze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messages during the 2015 MERS outbreak, which was an emergency issue that showed a great ripple effect. According to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메르스 확산 시기에 따라 보도자료에 나타난 정부의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에 대해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정부의 전염병 관련 재난 상황에서의 위기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파악하고, 향후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위기의 책임 소재와 파급효과에 따라 위기 이슈를 분류하고, 메르스 확산 시기에 따라 정부가 위기 이슈를 어떻게 인지했는지를 메시지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메르스 확산 시기에 따른 정부의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를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메르스 관련 보도자료로 구분하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보도자료 상에서 중점적으로 강조된 메시지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정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구체적인 함의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메르스 발생 초기 정부는 확진자수가 적고, 메르스의 감염력이 작다고 판단하여 개인적 책임 이슈로 간주하였다. 따라서 관련 병원을 공개하지 않고, 개개인의 중동 방문을 자제할 것과 중동 방문 시 주의할 점을 중심으로 보도자료를 제시하였다. 전염병 발생 초기에 사건의 발생 원인이 개인에게 있다고 하더라도 개인의 이동 경로가 병원 및 지역사회임을 고려할 때 사회적 맥락 안에서 메르스 이슈를 구조적 책임 이슈로 보고 이에 따른 환자의 이동 경로 파악, 감염 환자 병원 공개 등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졌어야 했다.
  • 2015년 발생한 메르스 사태의 경우 그 사회적 파급력과 피해가 컸던 재난 이슈였기 때문에 정부의 메르스 대응에 대한 평가와 향후 대책 마련에 있어 각계의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메르스 확산 시기에 따라 보도자료에 나타난 정부의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에 대해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정부의 전염병 관련 재난 상황에서의 위기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파악하고, 향후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위기의 책임 소재와 파급효과에 따라 위기 이슈를 분류하고, 메르스 확산 시기에 따라 정부가 위기 이슈를 어떻게 인지했는지를 메시지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 위기 이슈에 대한 조직의 인식은 위기 대응 방식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메르스 확산 시기에 따라 정부의 위기 이슈에 대한 인식과 이에 따른 대응 방식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정부의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밝힘으로써, 위기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위기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의 중요성을 다시금 강조하였다.
  • 본 연구는 메르스 확산에 따른 정부의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에 대해 언어 네트워크 접근을 했다. 언어 네트워크 접근은 단어와 단어의 연결 구조를 통해 메시지에 내재된 의미를 찾는 것으로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최근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졌다[24].
  • 하지만 확산기에는 서울삼성병원 외 경기도 지역에서 메르스 확진자 수가 급속하게 증가했고, 감염경로가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3차 감염 환자가 발생하였다. 이 연구는 메르스 초기와 확산기, 쇠퇴기에 정부의 메시지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분석했다.
  • 이 연구는 메르스 확산 양상에 따라 정부가 위기 이슈를 어떻게 인지했는지를 정부의 대응 메시지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위기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는 정부가 파급력이 높은 전염병 발생 시, 발생 원인을 개인과 사회 구조적 책임 중 어느 차원으로 인식하였는지를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메르스 환자 발생 기간 동안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보도자료에 대해 어절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먼저 보도자료의 내용을 txt 파일로 변환하여 국립국어원의 한마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로 언급된 단어들을 추출하였다.
  • 이 연구는 메르스 확산 양상에 따라 정부가 위기 이슈를 어떻게 인지했는지를 정부의 대응 메시지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위기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는 정부가 파급력이 높은 전염병 발생 시, 발생 원인을 개인과 사회 구조적 책임 중 어느 차원으로 인식하였는지를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메르스 확산 과정에서 정부가 위기의 원인이 개인에게 있다고 판단한다면 개인의 예방이나 주의를 당부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것이고, 사회 구조적 문제에 있다고 판단한다면 병원 폐쇄 내지는 병원 공개, 외부인 차단 등 다른 대응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보았다.
  • 이 연구는 파급력이 큰 재난 위기였던 메르스 위기 상황에서 메르스 확산 단계에 따라 정부가 위기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였고 어떤 대응을 하였는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정부의 메르스 관련 보도자료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함으로써 살펴보았다. [표 7]은 메르스 확산 시기에 따른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보도자료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주요 메시지를 정리한 것이다.
  •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메르스 확산 단계에 따른 정부의 위기에 대한 인식과 대응 양상을 파악하고, 향후 재난·재해 발생 시 정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은 재난·재해 시 정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토대로 하여, 본 연구는 메르스라는 국가적인 재난 위시 상황 하에서 정부의 커뮤니케이션이 어떠하였는지 그 적절성을 위기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분석하여 향후 재난·재해 위기관리에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메르스 확산기에 중앙정부는 확진자수, 사망자수를 중심으로 보도를 하고, 비로소 메르스 관련 병원명을 공개했다. 중앙정부에 비해 서울시와 경기도의 경우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에 대한 메시지를 보도자료를 통해 제시했다. 특히 서울의 경우 콜센터와 일상 생활에서의 수칙을 알리는 내용을 강조하여 구체적이고 분명하며 공중에게 연관성 있는 메시지를 제시한 것으로 분석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기와 재난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중대된 계기는 무엇인가? 위기 중에서도 재난·재해 유형의 위기는 사회적 파급력이 크고 즉각적인 대응이 중요한 위기이다[4]. 미국의 9/11 테러 이후 위기와 재난 위험 커뮤니케이션(crisis and emergency risk 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중대되었다[5]. 미국의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에서는 재난·재해와 같은 긴급 위기 상황에서 강조되어야 할 6가지 커뮤니케이션 원칙을 제시하였다[6].
재난·재해 발생 시 정부는 무엇을 목표로 커뮤니케이션 해야하는가? 재난·재해 발생 시에 정부는 위험 상황에 대해 신속히 알리고 위험을 피하기 위한 행동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여 공중이 신속히 적절한 행동을 취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커뮤니케이션 해야 한다[7]. 재난·재해 상황에서 공중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거나 사람이 많은 지역을 피하는 등 정부의 안전 수칙에 신속히 따라야 한다.
미국의 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 제시한 재난·재해와 같은 긴급 위기 상황에서 강조되어야 할 6가지 커뮤니케이션 원칙은 무엇인가? 미국의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에서는 재난·재해와 같은 긴급 위기 상황에서 강조되어야 할 6가지 커뮤니케이션 원칙을 제시하였다[6]. 첫 번째 원칙은 위기는 시간에 민감하므로(time-sensitive) 정보를 가급적 빠르게 제시해야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원칙은 정확한(right) 정보를 제공하라는 것이다. 세 번째 원칙은 진솔함과 정직함을 바탕으로 신뢰할 만한(credible) 커뮤니케이션을 하라는 것이다. 네 번째 원칙은 위기 시에 고통당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해 공감(empathy)을 표현하라는 것이다. 다섯 번째 원칙은 위기 상황에서 사람들이 할 수 있는, 그리고 해야 하는 일에 대해 알리라는 것이다. 마지막 원칙은 위기 시 감정적으로 민감한(vulnerable) 공중들에게 존경을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하라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4/16/0200000000AKR20150416093900004.HTML?input1179m 

  2. http://mers.go.kr/mers/html/jsp/main.jsp 

  3. 김은성, "메르스관련 정부 위험소통의 한계에 대한 사회적 원인 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10호, pp.91-109, 2015. 

  4. D. C. Glik, "Risk Communication for Public Health Emergencies,"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Vol.28, pp.33-54, 2007. 

  5. B. Reynolds and M. Seeger, Crisis and Emergency Risk Communication 2014 Edition, CDC, 2014. 

  6. J. H. Sorenson, "Hazard Warning Systems: Review of 20 Years of Progress," Nat. Hazards Rev., Vol.1, No.2, pp.119-125, 2000. 

  7. http://www.petersandman.com/ 

  8. L. Garrett, "Understanding Media's Response to Epidemics," Public Health Reports, Vol.116, No.S2, pp.87-91, 2001. 

  9. S. Robinson and W. Newstetter, "Uncertain Science and Certain Deadlines: CDC Responses to the Media during Anthrax Attacks of 2001,"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Vol.8, pp.17-34, 2003. 

  10. W. T. Coombs, "Protecting Organization Reputations During a Crisi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Corporate Reputation Review, Vol.10, No.3, pp.164-176, 2007. 

  11. 황성욱, 위기관리, pp.140-166, PR학 원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2. 홍주현, 차희원, "위기 이슈의 발생가능성과 파급효과에 따른 이슈 확산 네트워크 유형 연구: 식품 관련 위기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2호, pp.365-395, 2015. 

  13. 김영욱, "정치인의 이미지회복 커뮤니케이션 분석: 김영삼 대통령의 IMF사태 관련 언변 중심," 광고학연구, 제15권, 제5호, pp.397-421, 2004. 

  14. 김정미, 김재화, 원광재, "역대 정부의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 비교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 제4호, pp.81-117, 2006. 

  15. 김지윤, 성민정, "언론보도에 반영된 조직의 위관리 전략 분석: GS 칼텍스 개인 정보 유출 사건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3호, pp.37-69, 2009. 

  16. 나재훈, 윤영민, "군의 이미지 회복 전략과 언론 보도 연구: 'GP 총기 사고'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6호, pp.160-185, 2008. 

  17. 이귀혜, 강남준, 이종영, "탄핵 시기 노무현 대통 령의 수사학 연구 : 컴퓨터 언어 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2호, 제5권, pp.25-55, 2008. 

  18. 박성희, "제17대 대통령 후보 합동 토론 언어네 트워크 분석 - 북한 관련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45호, pp.220-254, 2009. 

  19. 이창길, "정권 초기의 가치지향과 정책우선순위 :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언어네트워크 비교분석," 한국행정학보, 제44권, 제3호, pp.165-189, 2010. 

  20. P. A. Gloor and Y. Zhao, "Analyzing Actors and Their Discussion Topics by Semantic Social Network Analysis," Proceedings of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IV' 06), IEEE., 2006. 

  21. 박별나, 이윤경, 구자을, 홍영수, 김학용, "고등학교 과학 및 생물교과서 과학용어 네트워크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5호, pp.427-435, 2010. 

  22. M. Steyvers and J. B. Tenenbaum, "The Large-Scale Structure of Semantic Networks: Statistical Analyses and a Model of Semantic Growth," Cognitive Science, Vol.29, pp.41-78, 2005. 

  23. 서울특별시, 서울시 감염병 대응 종합대책, 2015, http://spp.seoul.go.kr/main/news/news_report.jsp?search_boardId25194&actVIEW&boardId2 5194 

  24. http://mers.go.kr/mers/html/jsp/main.jsp 

  25. http://spp.seoul.go.kr/main/news/news_report.jsp 

  26. http://gnews.gg.go.kr/briefing/brief_gongbo.asp 

  27. W. T. Coombs, "Protecting Organization Reputations During a Crisi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Corporate Reputation Review, Vol.10, No.3, pp.164-176, 2007. 

  28. http://www.petersandman.com/ 

  29. 이미나, 홍주현, "정부의 위기 상황에서 의제설정과정 참여자들의 메시지 분석: 파라벤 치약 논란과 정부의 대응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7호, pp.460-476, 2015. 

  30. 오향우, 유재웅, 박동진, 양정은, "위기마다 도마에 오르는 정부의 위기PR 능력 : 메르스와 구제역 위기사례를 통해본 문제점과 개선방안," 2015년 한국PR학회가을철 학술대회 학술발표자료.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