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변량분석법을 활용한 수도권지역의 대기오염측정망 평가
Evaluation of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s in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Multivariate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5 no.5, 2016년, pp.673 - 681  

최임조 (울산 보건환경연구원) ,  조완근 (경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신승호 (대구보건대학교 보건환경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dequacy of urban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in the largest metropolitan city, Seoul was evaluated using multivariate analysis for $SO_2$, $NO_2$, CO, PM10, and $O_3$. Through cluster analysis for 5 air pollutants concentrations, existing monitoring sta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변량통계분석법을 활용하여 SO2, NO2, CO, PM10, O3의 유사한 대기오염거동을 가지는 도시지역을 확인하였고, 서울시 도시대기측정망이 중복성을 나타내는지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운영 중인 측정소가 모든 측정소에서 동일한 대기오염물질을 측정 함으로써 생기는 결과는? 환경부에서는 대기오염측정망에 대해서 설치목적과 측정규모에 맞게 측정소를 분류하여 설치하도록 권고하고 있지만, 현재 운영 중인 측정소는 대기오염물질의 측정규모에 맞게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측정소에서 동일한 대기오염물질을 측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측정규모가 겹치는 오염도가 중복 측정됨으로써 불필요한 측정결과가 사용되어 자료의 객관성을 해치게 될 가능성이 있다(Yu and Kim, 2011). 그리고 일부 측정소는 지리적으로 가깝게 설치되어 있거나 비슷한 측정조건에 의해 특징 지워져 있어 비효율적인 자원의 이용과 과도한 비용의 결과로 이어진다(Lu et al., 2011)
대기오염측정망은 어떻게 구분 되는가? 대기오염측정망은 설치목적에 따라 대기환경기준물질을 측정하는 일반 대기오염측정망과 대기환경기준물질이외의 물질을 측정하는 특수대기오염측정망으로, 설치 운영기관에 따라 국가측정망과 지자체측정망으로 구분하고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1). 현재전국 97개 시 군에 설치된 311개의 도시대기측정망, 도로변대기측정망, 국가배경측정망, 교외대기측정망에서 측정되는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미세먼지, 오존 등의 측정데이터는 실시간으로 NAMIS(national ambient air monitoring information system)에 수집된 후 전국대기오염도 실시간공개 웹서비스(AIRKOREA)를 통해 제공된다(KECO, 2016).
환경부에서 대기오염측정망 설치에 대해 권고하는 사항은 무엇인가? 환경부에서는 대기오염측정망에 대해서 설치목적과 측정규모에 맞게 측정소를 분류하여 설치하도록 권고하고 있지만, 현재 운영 중인 측정소는 대기오염물질의 측정규모에 맞게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측정소에서 동일한 대기오염물질을 측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측정규모가 겹치는 오염도가 중복 측정됨으로써 불필요한 측정결과가 사용되어 자료의 객관성을 해치게 될 가능성이 있다(Yu and Kim,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S. W., Lee, J. B., 2011, Feasibility study for the location of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 in daegu area, J. Environ. Sci. int., 20(1), 81-91. 

  2. Gramsch, E., Cereceda-Balic, F., Oyola, P., Von Baer, D., 2006, Examination of pollution trends in Santiago de Chile with cluster analysis of PM10 and Ozone data, Atmospheric Environment, 40, 5464-5475. 

  3. Jeon, M. G., 1998, Study of the optimal allocations of air pollution monitoring stations in kyonggi-Do, Kyonggi Development Institute, 98-08, 82-83. 

  4. Kim, C. R., 2012, SAS data analysis, 21 Century Publishing, 363-418. 

  5. Kim, H. J., Jo, W. G., 2012, Assessment of PM10 monitoring stations in daegu using GIS interpolation,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0(2), 3-4. 

  6. Kim, Y. J., Kim, H. G., 2007, Environmental statistics, Donghwa technology Publishing, 164-177. 

  7.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KECO), 2016, http://www.airkorea.or.kr. 

  8.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KECO), 2010, Air pollution monitoring stations metrological location Handbook, 1-2. 

  9. Lu, W. Z., He, H. D., Dong, L. Y., 2010, Performance assessment of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Building and Environment, 46, 577-583. 

  10.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 installation and operation instructions, 4-5, 30-32. 

  11. Na, Y. W., Kim, J. S., Choi, B. G., 2005, The Allocation analysis of TMS using GIS,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3(1), 82-83. 

  12. Pires, J. C. M., Sousa, S. I. V., Pereira, M. C., Alvim-Ferraz, M. C. M., Martins, F. G., 2008, Management of air quality monitoring using principal component and cluster analysis-Part I : $SO_2$ and $PM_{10}$ , Atmospheric Environment, 42, 1249-1260. 

  13. Pires, J. C. M., Sousa, S. I. V., Pereira, M. C., Alvim-Ferraz, M. C. M., Martins, F. G., 2008, Management of air quality monitoring using principal component and cluster analysis-Part II : CO, $NO_2$ and $O_3$ , Atmospheric Environment, 42, 1261-1274. 

  14. Yu, J. H., Kim, H. R., 2011, An Evaluation on redundancy of air pollution monitoring stations in Seoul,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4(4), 299-3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