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기구동 제어밸브 비정상상태 운전변수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Operating Parameters for Pneumatic Control Valve in Abnormal Conditions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A, v.40 no.6, 2016년, pp.613 - 619  

김양석 (한국수력원자력(주) 중앙연구원) ,  김대웅 (한국수력원자력(주) 중앙연구원) ,  이병오 (한국수력원자력(주) 중앙연구원) ,  정래혁 ((주)엠앤디 대덕연구센터) ,  이승호 ((주)엠앤디 대덕연구센터)

초록

공기구동 제어밸브는 여러 유형의 발전소에서 유체계통의 유량을 제어하거나 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며 발전소 수명기간 동안 성능이 보장되어야 한다. 공기구동 제어밸브는 공기구동기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기하여 작동시키며, 다양한 기능을 하는 부속기기로 구성된 제어설비를 이용하여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서 밸브 위치를 제어한다. 본 논문에서는 2인치 공기구동기에 I/P 변환기, 포지셔너 등이 장착된 제어밸브 동작모사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공기공급배관에서의 공기누설, 밸브 패킹마찰력 변화, 포지셔너 설정 불량 등을 모사하고, 약 67% 개도에서 ${\pm}2%$ 이하 제어구간에서의 밸브-구동기 거동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neumatic control valve performs a major role in controlling the flow of a system or the level of a key tank in many power plants, and its performance should be guaranteed during the plant's lifetime. Its operation starts by supplying air to the pneumatic actuator or by exhausting the air from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제어밸브에 대해서는 제어성능을 진단하고 교정하는 방법들이 이미 정립되어 있으며, 공기구동기 실린더 마찰 및 진동 특성에 대한 연구,(2~4) 또는 격리용 공기구동밸브를 대상으로 모델기반 예측진단 방법을 제안하기도(5)하였으나 정상운전 중, 특히 제어구간이 전 행정에 비해 크지 않은 경우 온라인으로 밸브-구동기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어설비를 갖춘 양방향 실린더형 공기구동기가 장착된 공기구동 제어밸브 동작모사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공급 공기누설, 밸브 패킹부하 변동, 포지셔너 설정 오류와 같은 다양한 이상상태에서의 밸브-구동기 거동, 특히 제어구간에서의 거동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제어밸브가 설치된 계통에 따라 정상운전시 개도 및 제어구간은 다를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급수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발전소 정상운전 상태에서의 급수제어밸브 열림 위치에 해당하는 약 67% 정도의 개도에서 ±2% 이하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어설비를 갖춘 양방향 실린더형 공기구동기가 장착된 공기구동 제어밸브 동작모사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공급 공기누설, 밸브 패킹부하 변동, 포지셔너 설정 오류와 같은 다양한 이상상태에서의 밸브-구동기 거동, 특히 제어구간에서의 거동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제어밸브가 설치된 계통에 따라 정상운전시 개도 및 제어구간은 다를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급수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발전소 정상운전 상태에서의 급수제어밸브 열림 위치에 해당하는 약 67% 정도의 개도에서 ±2% 이하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기구동 제어밸브는 차단밸브와 달리 어떤 부품들이 필요한가? 공기구동 제어밸브는 열림-닫힘 기능 이외 유량, 압력, 수위 등 발전소 운전에 중요한 공정변수들을 일정범위로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차단밸브와 달리 포지셔너, I/P 또는 E/P 변환기, 볼륨 부스터, 레귤레이터 등의 제어용 부품들이 필요하다. 밸브에 따라서는 시스템 요구조건에 따라 완전 닫힘 위치에서 완전 열림 위치까지 원격으로 지시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 솔레노이드 밸브 등이 장착되기도 한다.
공기구동 제어밸브는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가? 공기구동 제어밸브는 열림-닫힘 기능 이외 유량, 압력, 수위 등 발전소 운전에 중요한 공정변수들을 일정범위로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차단밸브와 달리 포지셔너, I/P 또는 E/P 변환기, 볼륨 부스터, 레귤레이터 등의 제어용 부품들이 필요하다.
공기구동 제어밸브 동작모사 실험장치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공기구동 제어밸브 동작모사 실험장치는 Fig. 1~2와 같이, 2인치 글로브밸브, 실린더형 양방향 공기구동기, 공기구동기에 공기를 공급하고 밸브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설비 및 각종 계측기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설비는 I/P 변환기, 포지셔너, 볼륨 부스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I/P 변환기의 출력 압력은 포지셔너로 입력되어 포지셔너 출력 압력을 조절하고, 포지셔너의 출력 압력은 볼륨부스터의 출력 압력을 조절하여 구동기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제어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Heishman, J., 2008, Nuclear Maintenance Applications Center: Air-Operated Valve Maintenance Guide: Revision 2, EPRI, 1016682. 

  2. Zhang, B. H., Ma, Y. F., Cheng, H. F. and Peng, G. Z., 2005, "A New Method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Stick-slip in Pneumatic Cylinders," Proceedings of the 6th JFPS International Symposium on Fluid Power, pp. 812-816. 

  3. Chang, H., Lan, C. W. and Chen, L. C., 2006, "Dynamic Measurement of Extra Long Stroke Cylinder in the Pneumatic System,"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strument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 48, pp. 605-610. 

  4. Wakasawa, Y., Ito, Y. and Yanada, H., 2014, "Friction and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Pneumatic Cylinder,"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sign Engineering and Science, pp. 155-159. 

  5. Matthew, J.D and Kai. G., 2011., "A Model-Based Prognostics Approach Applied to Pneumatic Valve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gnostics and Health Management, www.phmsociety.org/node/602.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