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리독립 생장예측 시뮬레이션기법 적용에 의한 삼나무임분의 임분생장 및 탄소고정에 미치는 간벌시업 효과 분석
Analyzing Thinning Effects on Growth and Carbon Absorption for Cryptomeria japonica Stands Using Distance-Independent Growth Simulation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1, 2016년, pp.132 - 138  

권기범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한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설아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정혜진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정주상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거리독립 임분생장 예측 시뮬레이터 STEMS를 기반으로 제주도 한남시험림 삼나무 임분에 대한 잠재직경생장함수, 수정함수, 수관율 및 고사함수를 추정하고, 이를 토대로 간벌시업에 따른 임분의 생장패턴 및 탄소흡수량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시뮬레이터를 구성하는 주요 함수는 연구대상지의 13개 표본점으로부터 39본의 표준목을 선발하여 수간석해에 따른 분석결과를 토대로 추정하였다. 이 시뮬레이터를 적용하여 사례연구 대상 임분에 대한 간벌시업체계를 무간벌 및 1회 간벌에 간벌의 시기 및 강도를 달리하는 3개의 시나리오로 편성하여 간벌시업이 임분생장 및 탄소흡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간벌시업과 지위지수에 따라 임분의 평균 수고 및 흉고직경, 경급별 임목본수나 임분재적에 따른 생장패턴이나 탄소고정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fer the parameters of forest stand growth functions of STEMS for Cryptomeria japonica stands of Jeju Hannam Experimental Fores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nning regimes on the patterns of stand growth and carbon abs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고정표본점을 통한 임분조사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수간석해를 수행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임분 내 개체목의 생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지 삼나무 임분 총 13개의 20 m × 20 m 표준지(Table 1)로부터 각 표준지별 소 · 중 · 대 경급의 대표목을 선발하여 총 39본에 대한 수간석해를 수행하였다(Table 2).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나무 임분 생장예측을 위한 개체목 중심의 거리독립 시뮬레이터(individual-tree/distance-independent forest stand growth simulator)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간벌시업에 따른 삼나무 임분의 생장 특성 및 탄소흡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국내 임분단위 탄소경영모델로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임목의 생장과 고사, 벌채 및 갱신을 종합적으로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모델로서 최근까지도 산림생장예측 및 산림경영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STEMS(Stand and Tree Evaluation and Modeling System) 모델(Belcher et al., 1982)을 기반으로 생장예측 simulator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STEMS 모델에 요구되는 주요 생장관련 함수로는 잠재직경생장함수(potential diameter growth function), 수정율함수(modifier function), 수관율함수(crown ratio function) 및 고사율함수(mortality function)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삼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임분의 생장과 탄소흡수 기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임분의 생장패턴을 예측하고, 평가·분석할 수 있는 개체목 중심의 생장예측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여 간벌시업체계에 따른 임분의 생장과 탄소흡수 패턴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에서 삼나무는 어떤 가치를 보이는가? 제주도에서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는 매우 통직한 수형을 보이는 중요한 임목자원으로서 최근 탄소흡수원으로의 가치도 크게 부각되고 있다. 산림이 지니는 ‘탄소흡수원(Carbon sink)'으로서의 기능은 산림이 제공하는 주요한 생태계서비스(Ecosystem service) 중의 하나로서 오늘날 이를 정확히 계량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지역적 · 국가적인 차원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개체목 단위의 거리독립 임분생장모델은 무엇을 추정하는가? 즉, 간벌과 같은 산림시업과 함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임분 생장패턴의 변화는 임분을 구성하는 개별 임목의 생장을 예측할 수 있는 개체목 단위의 거리독립 임분생장모델(distance-free/individual-tree stand growth model)이 요구된다. 이 모델은 현실 임분을 구성하는 각 임목(개체 목)의 특성과 임분 내에서 개별 임목 간의 상호 경쟁관계를 토대로 개체목의 생장을 추정하고, 각 개체목 생장량의 합으로 임분의 생장량을 추정한다.
국내에서 집약적 산림경영이 이루어지는 면적이 늘어나면서 탄소흡수원으로서의 기능도 크게 증질될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에도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집약적 산림경영이 이루어지는 면적이 늘어나면서 탄소흡수원으로서의 기능도 크게 증진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는 집약적 산림경영을 통한 간벌 등과 같은 산림시업(forest stand prescriptions)이 임목의 생장을 촉진시켜 탄소흡수 효과가 증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ttaglia, M., Sandsm, P., White, D., and Mummery, D. 2004. CABALA: a linked carbon, water and nitrogen model of forest growth for silvicultural decision suppor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93: 251-282. 

  2. Belcher, D.M., Holdway, M.R., and Brand, G.J. 1982. A description of STEMS- the stand and tree evaluation and modeling system. Gen. Tech. Rep. NC-79. pp. 18. 

  3. Chave, J., Andalo, C., Brown, S, Cairns, A., Chambers, J.Q., Eamus, D., Folster, H., Fromard, F., Higuchi, N., Kira, T., Lescure, J.-P., Nelson, B.W., Ogawa, H., Puig, H., Riera, B., and Yamakura, T. 2005. Tree allometry and improved estimation of carbon stocks and balance in tropical forests. Ecosystem Ecology 145: 87-99. 

  4. Daniels, R.F. and Burkhart, H.E. 1975. Simulation of individual tree growth and stand development in managed loblolly pine plantations. Division of Forestry & Wildlife Resources,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Publication FWS-5-75. pp. 69. 

  5. Davis, L.S., Johnson, K.N., Bettinger, P., and Howard, T.E. 2001. Forest management. 4th ed. McGraw-Hill, New York. pp. 840. 

  6. Hann, J.T., and Leary, R.A. 1979. Potential diameter growth functions. In a generalized forest growth projection system applied to the Lake States region. USDA Forest Service ? General Tehnical Report NC 49: 23-26. 

  7. Holdaway, M.R., Leary, R.A., and Thompson, J.L. 1979. Estimating mean stand crown ratio from stand variables. In a generalized forest growth projection system applied to the Lake States region. USDA Forest Service ? General Tehnical Report NC 49: 27-30. 

  8. IPCC. 2006.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pp. 326. 

  9. Kirschbaum, M.U.F. 1999. CenW, a forest growth model with linked carbon, energy, nutrient and water cycles. Ecological Modelling 118: 17-59. 

  10.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0. Carbon emission factors by korean major tree species for estimation of the greenhouse gas inventory on forests. KFRI Research report in 2010 10-25. pp. 125. 

  11. Korea Forest Service. 2009. Standing tree volume, biomass and stand yield table. 

  12. Kurz, W. and Appls, M. 1999. A 70-year retrospective analysis of carbon fluxes in the Canadian forest sector. Ecological Application 9: 526-547. 

  13. Kwon, S.D. and Chung, J.S. 2004. Development of individual-tree distance-independent simulation model for growth prediction of Pinus koraiensis stand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3: 43-49. 

  14. Lee, K.Y., Son, Y.M., Rho, D.K., and Kwon, S.D. 2002. Stem weight equations for six major tree spec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1: 206-212. 

  15. Makela, A. and Hari, P. 1986. Stand growth model based on carbon uptake and allocation in individual trees. Ecological Modelling 33: 205-229. 

  16. Mesera, O.R., Garza-Caligaris, J.F., Kanninen, M., Karjalainen, T., Liski, J., Nabuurs, G.J., Pussiene, A., de Jong, B.H.J., and Mohren, G.M.J. 2003. Modeling carbon sequestration in afforestation, agroforestry and forest management projects: the CO2FIX V.2 approach. Ecological Modelling 164: 177-199. 

  17. Seo, J.H., Son, Y.M., Lee, K.H., Lee, W.K., and Son, Y.H. 2005. The estimation of stand biomass and net carbon removals using dynamic stand growth model. Journal of Korea Forestry Energy 24: 37-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