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소진동이 척수손상환자의 발목족저굴곡 경직과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간헐성 경련에 미치는 일시적 효과
Immediate Effects of Local Vibration on Ankle Plantarflexion Spasticity and Clonus of both the Gastrocnemius and Soleus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1 no.2, 2016년, pp.1 - 11  

안문철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송창호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s of local vibration on ankle plantarflexion spasticity and clonus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METHODS: The subjects were 14 inpatients with complete or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SCI) whose scores were higher than 1 on the Modifi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앉은 자세에서 진동치료의 적용이 척수손상 환자의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경직 및 간헐성 경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Ness와 Field-Fote, 2009a; Ness와 Field-Fote, 2009b)(Ness와 Field- Fote, 2009a; Ness와 Field-Fote, 2009b). 본 연구에서는 앉은 자세에서 국소적으로 진동치료를 적용함으로써선 자세가 불가능한 완전 척수손상 환자들에게도 적용하였고, 앉은 자세에서의 진동치료가 하지의 경직 및 간헐성 경련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 본 연구는 척수손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앉은 자세에서의 진동치료 적용이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경직 및 간헐성 경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해 앉은 자세에서의 진동치료 적용이 척수손상 환자의 비복근과 가자미근에서 발생되어지는 경직 및 간헐성 경련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척수손상 환자들의 자세유지 및 휠체어에서의 이동능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척수손상 환자들에게 앉은 자세에서 진동치료를 적용함으로서 경직 및 간헐성 경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그 적용대상을 확대하고자 한다. 특히 진동치료가 척수손상 환자의 일상생활에서의 휠체어 이동능력 및 자세유지에 영향을 주는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경직 및 간헐성 경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척수손상 환자들에게 앉은 자세에서 진동치료를 적용함으로서 경직 및 간헐성 경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그 적용대상을 확대하고자 한다. 특히 진동치료가 척수손상 환자의 일상생활에서의 휠체어 이동능력 및 자세유지에 영향을 주는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경직 및 간헐성 경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첫째, Marconi 등(2011)은 경직이 나타나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의 진동치료를 적용하여 경직의 감소 및 대뇌의 운동 지도 영역과 골피질 내 억제의 증가를 보고하였다. 진동에 의해 증가된 감각자극의 유입은 대뇌의 감각 영역인 S1을 활성화하여 대뇌피질간 사이신경세포를 통해 골피질 내 억제를 증가시켜 경직을 줄였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척수손상 환자에게 경직의 부정적 영향에는 무엇이 있는가? 경직은 척수손상 환자에게 있어서 앉고 서 있는 것에 대한 안정성 증가, 일상생활 동작과 이동능력의 촉진, 경직으로 인한 정맥순환의 증가로 심부 정맥 혈전증 예방 등의 긍정적 영향과(Jozefczyk, 2002), 평상시 생활 활동, 보행의 실질적인 제한, 통증과 피로의 원인, 수면 장애, 불안정성, 관절 구축으로의 발달, 욕창, 감염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St George, 1993).
하지 경직 양상 중 신장성 경직의 특징은? 척수손상 환자들의 하지 경직 양상에는 신장성 경직과 굴곡성 경직이 있다. 신장성 경직은 휠체어 이동 중에 상해를 입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특히 상위 척수 손상 환자들은 이러한 현상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 더욱 위험하다. 굴곡성 경직은 휠체어 이동 중에 부정적 영향을 주며, 수면을 방해하기도 한다(Skold 등, 1999).
중추신경계의 상위 운동 뉴런의 손상으로 발생되는 경직의 특징은? 중추신경계의 상위 운동 뉴런의 손상으로 발생되는 경직은 척수손상 환자들의 주된 호소 증상 중의 하나로 발병한지 1년 이상 된 만성 척수손상 환자들 중 65-78%가 경직 증상을 나타낸다(Sheean, 2002). 척수손상 환자 들의 경직의 분포는 경수 손상 환자에서 ASIA A는 93%, ASIA B-D는 78%로 나타나며, 흉수 손상 환자에서 ASIA A 72%는, ASIA B-D 73%로 보고되고 있다(Skold 등,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ams MM, Hicks AL. Spasticity after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2005;43(10):577-86. 

  2. Ahlborg L, Andersson C, Julin P. Whole-body vibration training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effect on spasticity,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J Rehabil Med. 2006;38(5):302-8. 

  3. Andary MT, Green DF, Hulce VD, et al. Spinal myoclonus complicating spasticity in spinal cord injury: a case study. Arch Phys Med Rehabil. 1997;78(9):1007-9. 

  4. Benz EN, Hornby TG, Bode RK, et al. A physiologically based clinical measure for spastic reflexes in spinal cord injury. Arch Phys Med Rehabil. 2005;86(1):52-9. 

  5. Beres-Jones JA, Johnson TD, Harkema SJ. Clonus after human spinal cord injury cannot be attributed solely to recurrent muscle-tendon stretch. Exp Brain Res. 2003;149(2):222-36. 

  6. Brown P, Rothwell JC, Thompson PD, et al. Propriospinal myoclonus: evidence for spinal "pattern" generators in humans. Mov Disord. 1994;9(5):571-6. 

  7. Burchiel KJ, Hsu FP. Pain and spasticity after spinal cord injury: mechanisms and treatment. Spine (Phila Pa 1976). 2001;26(24 Suppl):S146-60. 

  8. Desmedt JE. Mechanisms of vibration-induced inhibition or potentiation: tonic vibration reflex and vibration paradox in man. Adv Neurol. 1983;39(6):71-83. 

  9. Elovic E. Principles of pharmaceutical management of spastic hypertonia. Phys Med Rehabil Clin N Am. 2001;12(4):793-816, vii. 

  10. Fung J, Barbeau H. A dynamic EMG profile index to quantify muscular activation disorder in spastic paretic gait.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89;73(3): 233-44. 

  11. Gracies JM, Nance P, Elovic E, et al. Traditional 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spasticity. Part II: General and regional treatments. Muscle Nerve Suppl. 1997;20(6):92-120. 

  12. Jozefczyk PB. The management of focal spasticity. Clin Neuropharmacol. 2002;25(3):158-73. 

  13. Kesiktas N, Paker N, Erdogan N, et al. The use of hydro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spasticity.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4;18(4):268-73. 

  14. Kim DY, Park CI, Chon JS, et al. Biomechanical assessment with electromyography of post-stroke ankle plantar flexor spasticity. Yonsei Med J. 2005;46(4):546-54. 

  15. Kohn AF, Floeter MK, Hallett M. Presynaptic inhibition compared with homosynaptic depression as an explanation for soleus H-reflex depression in humans. Exp Brain Res. 1997;116(2):375-80. 

  16. Laessoe L, Nielsen JB, Biering-Sorensen F, et al. Antispastic effect of penile vibration in men with spinal cord lesion. Arch Phys Med Rehabil. 2004;85(6):919-24. 

  17. Lamontagne A, Malouin F, Richards CL, et al. Evaluation of reflex- and nonreflex-induced muscle resistance to stretch in adults with spinal cord injury using hand-held and isokinetic dynamometry. Phys Ther. 1998;78(9):964-75; discussion 76-8. 

  18. Marconi B, Filippi GM, Koch G, et al. Long-term effects on cortical excitability and motor recovery induced by repeated muscle vibra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1;25(1):48-60. 

  19. Ness LL, Field-Fote EC. Effect of whole-body vibration on quadriceps spasticity in individuals with spastic hypertonia due to spinal cord injury. Restor Neurol Neurosci. 2009a;27(6):621-31. 

  20. Ness LL,Field-Fote EC. Whole-body vibration improves walking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a pilot study. Gait Posture. 2009b;30(4):436-40. 

  21. Noma T, Matsumoto S, Etoh S, et al. Anti-spastic effects of the direct application of vibratory stimuli to the spastic muscles of hemiplegic limbs in post-stroke patients. Brain Inj. 2009;23(7):623-31. 

  22. Penn RD. Intrathecal baclofen for severe spasticity. Ann N Y Acad Sci. 1988;531(157-66. 

  23. Ping Ho Chung B, Kam Kwan Cheng B. Immediate effect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on spasticity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Clin Rehabil. 2010;24(3):202-10. 

  24. Priebe MM, Sherwood AM, Graves DE, et al. Effectiveness of gabapentin in controlling spasticity: a quantitative study. Spinal Cord. 1997;35(3):171-5. 

  25. Schieppati M. The Hoffmann reflex: a means of assessing spinal reflex excitability and its descending control in man. Prog Neurobiol. 1987;28(4):345-76. 

  26. Schmit BD, Benz EN. Extensor reflexes in human spinal cord injury: activation by hip proprioceptors. Exp Brain Res. 2002;145(4):520-7. 

  27. Schmit BD, McKenna-Cole A,Rymer WZ. Flexor reflexes in chronic spinal cord injury triggered by imposed ankle rotation. Muscle Nerve. 2000;23(5):793-803. 

  28. Sheean G. The pathophysiology of spasticity. Eur J Neurol. 2002;9 Suppl 1(3-9); dicussion 53-61. 

  29. Skold C, Levi R, Seiger A. Spasticity after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nature, severity, and loc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9;80(12):1548-57. 

  30. St George CL. Spasticity. Mechanisms and nursing care. Nurs Clin North Am. 1993;28(4):819-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