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점봉산 신갈나무군락의 생물종 다양성, 구조 다양성과 지상부 생물량의 관계에 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Aboveground Biomass and Measures of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in Quercus mongolica-Dominated Forest, Mt. Jeombong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0 no.6, 2016년, pp.1022 - 1031  

정헌모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 ,  장인영 (국립생태원 융합연구실) ,  홍승범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강원도 점봉산에 분포하고 있는 신갈나무군락에서 군락의 지상부 생물량과 생물종 다양성, 그리고 군락 구조의 다양성 간의 관계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점봉산 신갈나무군락에서 측정한 지상부 생물량은 총 $311.1ton{\cdot}ha^{-1}$였으며, 종 별 생물량 및 구성 비율은 신갈나무 $206.3ton{\cdot}ha^{-1}$(66.3%),까치박달 $36.9ton{\cdot}ha^{-1}$(11.9%),피나무 $30.6ton{\cdot}ha^{-1}$(9.8%)등의 순으로 적었다. 신갈나무의 지상부 생물량이 가장 많은 것은 전체에 비해 임목 밀도가 많지 않지만, 평균 흉고직경(DBH)이 50cm 이상인 개체수 비율이 다른 수종에서 보다 월등히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 군락의 종 다양성 지수(H')와 종 균등도(J')를 추정해 본 결과 각각 2.015~2.166과 0.673~0.736의 범위 내에서 시간에 따른 점진적인 증가를 보여 주고 있다. 위의 종 다양성 지수와 종 균등도는 지상부 생물량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데, 이는 시간이 변함에 따라 신갈나무군락의 지상부 생물량이 공간적으로 균일해진다는 것과 이러한 현상이 다양한 수종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생물량-종 다양성 지수(BS)와 종 풍부도-생물량-종 다양성 지수(ABS)도 각각 3.746~3.811, 4.781~5.028 범위 내에서 시간에 따른 점진적인 증가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이들 지수와 지상부 생물량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이는 신갈나무군락의 지상부 생물량이 다양한 수종에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직경급에 따라 균일해 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점봉산 신갈나무군락은 군락의 구조적 다양성을 통하여 생산성과 탄소 저장 능력이 더욱 효율화 되어, 자원이 풍부한 생태계로서의 역할을 수행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복원된 산림의 생물다양성과 생산성의 유지를 위하여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수종과 다양한 DBH 수목의 선택적 식재를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lationships of standing biomass with biodiversity and structural diversity were examined in the Quercus mongolica-dominated forest in Mt. Jeombong, Gangwon-do. We examined the standing biomass of the Q. mongolia community ($311.1ton{\cdot}ha^{-1}$) from 2004 to 2013, and the observed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장기 연구를 통한 점봉산 신갈나무군락에서 목본성 식물들을 중심으로 생물종 다양성 및 구조적 다양성과 현존량의 관계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산림 생태계의 물질생산에서 종 다양성과 군락의 구조적 다양성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산림 생태계의 기능 유지를 위한 산림 복원과 조림의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생물종 다양성과 생산성 관계 연구에서 군락의 구조적 다양성과 현존량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점봉산의 신갈나무군락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점봉산은 위치적으로 북방계와 남방계의 점이지대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식물 다양성이 풍부한 산악지역이며 접근성의 제약으로 인하여 생물자원이 잘 보존된 곳이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 점봉산 일대에는 약 457종의 유관속식물 출현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신갈나무와 당단풍나무가 80% 이상의 출현 빈도를 나타내 광역적으로 우점하는 가운데 거제수나무, 가래나무, 소나무, 들메나무, 전나무, 사스래 나무, 서어나무 등의 다양한 교목성 수종이 함께 출현하고 있어, 군락의 생물종다양성과 생산성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이상적인 생태계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장기 연구를 통한 점봉산 신갈나무군락에서 목본성 식물들을 중심으로 생물종 다양성 및 구조적 다양성과 현존량의 관계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산림 생태계의 물질생산에서 종 다양성과 군락의 구조적 다양성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산림 생태계의 기능 유지를 위한 산림 복원과 조림의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학의 중요한 목적은 무엇인가? 생태학의 중요한 목적은 생물종 다양성과 생태계 프로세스의 정량화를 통한 생태계의 구조와 이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다(Hooper et al., 2005; Keddy, 2005).
점봉산 일대에서 출현하는 유관속식물은 몇 종인가? 점봉산은 위치적으로 북방계와 남방계의 점이지대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식물 다양성이 풍부한 산악지역이며 접근성의 제약으로 인하여 생물자원이 잘 보존된 곳이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점봉산 일대에는 약 457종의 유관속식물 출현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신갈나무와 당단풍나무가 80% 이상의 출현 빈도를 나타내 광역적으로 우점하는 가운데 거제수나무, 가래나무, 소나무, 들메나무, 전나무, 사스래 나무, 서어나무 등의 다양한 교목성 수종이 함께 출현하고 있어, 군락의 생물종다양성과 생산성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이상적인 생태계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장기 연구를 통한 점봉산 신갈나무군락에서 목본성 식물들을 중심으로 생물종 다양성 및 구조적 다양성과 현존량의 관계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신갈나무군락이 위치하는 설악산 지역의 기후 특성은 어떻게 되는가? 7㎝ 였다. 이 지역의 기상관측이 시작 된 2007년부터 2013년까지 본 연구지소가 위치한 설악산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1,320.5㎜, 연평균 기온은 10.3℃였다 (Figure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li A., M. S. Xu, Y. T. Zhao, Q. Q. Zhang, L. L. Zhou, X. D. Yang and E. R. Yan. (2015) Allometric biomass equations for shrub and small tree species in subtropical China. Silva Fennica 49: id1275 

  2. Caspersen, J. P., S. W. Pacala (2001) Successional diversity and forest ecosystem function. Ecological Research 16: 895-03 

  3. Cheon, K., J. Byun, S. Jeong and J. Sung (2013) Community structure of Quercus mongolica stand in Hyangrobong area, Baekdudaegan.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8: 1-1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on, T. V., N. T. Thang, D. T. T. Ha, C. C. Khiem, T. H. Quy, V. T. Lam, T. V. Do and T. Sato (2013) Relationship between aboveground biomass and measures of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in tropical forests of Vietnam.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310: 213-218 

  5. Creed, R. P., R. P. Cherry, J. R. Pflaum and C. J. Wood (2009) Dominant species can produce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diversity and ecosystem function. Oikos 118: 723-32 

  6. Danescu, A., A. T. Albrecht, J. Bauhus. 2016. Structural diversity promotes productivity of mixed, uneven-aged forests in southwestern Germany. Oecoloia 182: 319-333 

  7. Do, T. V., A. Osawa and N. T. Thang (2010) Recovery process of a mountain forest after shifting cultivation in Northwestern Vietnam.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9: 1650-1659 

  8. Dong L., L Zhnag and F. Li (2015) Developing additive systems of biomass equations for nine hardwood species in Northeast China. Trees 29: 1149-1163 

  9. Hector, A., B. Schmid, C. Beierkuhnlein, M. C. Caldeira, M. Diemer, P. G. Dimitrakopoulos, J. A. Finn, H. Freitas, P. S. Giller, J. Good, R. Harris, P. Hogberg, K. Huss-Danell, J. Joshi, A. Jumpponen, C. Korner, P. W. Leadley, M. Loreau, A. Minns, C. P. H. Mulder, G. O'Donovan, S. J. Otway, J. S. Pereira, A. Prinz, D. J. Read, M. Scherer-Lorenzen, E. D. Schulze, A. S. D. Siamantziouras, E. M. Spehn, A. C. Terry, A. Y. Troumbis, F. I. Woodward, S. Yachi and J. H. Lawton (1999) Plant diversity and productivity experiments in European grasslands. Science 286: 1123-1126. 

  10. Hooper, D.U., F. S. Chapin III, J. J. Ewel, A. Hector, P. Inchausti, S. Lavorel, J. H. Lawton, D. M. Lodge, M. Loreau, S. Naeem, B. Schmid, H. Setala, A. J. Symstad, J. Vandermeer and D. A. Wardle (2005) Effects of biodiversity on ecosystem functioning: a consensus of current knowledge. Ecological Monographs. 75: 3-35 

  11. Ishii, H. T., S. Tanabe and T. Hiura (2004) Exploring the relation ships among canopy structure, stand productivity and biodiversity of temperate forest ecosystems. Forest science 50: 342-355 

  12. Keddy, P. (2005) Putting the plants back into plant ecology: six pragmatic models for understanding and conserving plant diversity. Ann. Bot. 96: 177-189 

  13.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Geography and vegetation of Mt. Jumbong experimental forest. Sumeungil Press. Seoul (in Korean) 

  14. Kwak, J. I., K. J. Lee, B. H. Han, J. H. Song and J. S. Jang (2013) A study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27: 241-2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wak, Y. S., Y. K. Hur, J. H. Song and J. K. Hwangbo (2004) Quantification of atmospheric purification capacity by afforestation impact assessment of Kwangyang Steel Works.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18(4): 334-3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won, K. C. and D. K. Lee (2006) Above- and below-ground biomass and energy content of Quercus mongolica. Journal of Korean For. Energ. Society 25: 31-3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H. Y., J. H. Lee and C. W. Yun (2015) Characteristics of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for the forest vegetation of aspect area in Mt. Eungbok. Korean J. En. Ecol. 29: 791-80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W. S., J. H. Kim and G. Z. Jin (2000) The analysis of successional trends by topographic posotion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Chumbong.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9: 655-66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i, X., W. Wang and C. Peng (2009) Relationships between stand growth and structural diversity in spruce-dominated forests in New Brunswick, Canada. Can. J. For. Res. 39: 1835-1847 

  20. Lim J. H., J. H. Shin, G. Z. Jin, J. H. Chun, and S. O. Jeong (2003) Forest stand structure, site characteristics and carbon budget of the Kwangneung National Forest in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 Meteorology 5: 101-10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Magurran, A. E (1988) Ecological diversity and Its measure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 J. 

  22. Martinez-Sanchez, J. L., B. J. Tigar, L. Camara and O. Castillo (2016)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diversity and carbon stocks in humid and sub-humd tropical forest of Mexico. Ecoscience at: 21-26 

  23.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2133p. (in Korean) 

  24. Merino, A, C. Real, J. G. Alvarez-Gonzalez and M. A. Rodriguez-Guitian (2007) Forest structure and C stocks in natural Fagus sylvatica forest in southern Europe: The effects of past managemen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0: 206-214 

  25. Mulder C. P. H., E. Bazeley-White, P. G. Dimitrakopoulos, A. Hector, M. Scherer-Lorenzen and B. Schmid (2004) Species evenness and productivity in experimental plant communities. Oikos 107: 50-63 

  26. Ni, J. X. Zhang and JMO Scurlock (2001) Synthesis and analysis of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vity in Chinese forest. Ann. of for. sci. 58: 351-384 

  27. Odum, E. P (1971) Fundamentals of Ecology. Philadelphia, PA, USA, W. B. Saunders & Co. 

  28. Park, I. H., D. Y. Kim, Y. H. Son, M. J. Yi, H. O Jin and Y. H. Choi (2005)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a natural Quercus mongoilca forest in Namsan, Seou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19: 299-30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Park. I. H. and K. D. Kim (1986) Forest structure, biomass, and net production in a natural forest ecosystem at Mt. Baekun area. Journal of Korea Forestry Energy 6: 1-4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Park, I. H., Y. K. Seo, D. Y. Kim, Y. H. Son, M. J. Yi and H. O Jin (2003)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a Quercus mongolica stand and a Quercus variabilis stand in Chuncheon, Kangwon-do.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2: 52-5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Rapp, M., I. S. Regina, M. Rico and H. A. Gallego (1999) Biomass, nutrient content litterfall and nutrient return to the soil in Mediterranean oak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19: 39-49 

  32. Son, Y., D. Y. Kim, I. H. Park, M. J. Yi and H. O Jin (2007) Production and nutrient cycling of oak forests in Korea: Acase study of Quercus mongoilca and Q. variabilis stand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57p. (in Korean) 

  33. Son, S. Y., K. C. Kwon and T. S. Jeong (2002) Productive structure and net production of Quercus mongolica forest in Mt. Taehwa (Kwangju, Kyeonggi-do). Journal of Korea Forestry Energy 21: 76-8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Son Y. M., R. H. Kim, K. H. Lee, J. K. Pyo, S. W. Kim, J. S. Hwang, S. J. Lee and H. Park (2014) Carbon emission factors and biomass allometric equations by species in Korea. KFRI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Stocker, R., Ch. Korner, B. Schmid, P. A. Niklaus and P. W. Leadley (1999) A field study of the effects of eleveated $CO_2$ and plant species diversity on ecosystem-level gas exchange in a planted calcareous grassland. Global change biology 5: 95-105 

  36. Szwagrzyk, J. and A. Gazda (2007) Above-ground standing biomass and tree species diversity in natural stands of Central Europe.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18: 555-562 

  37. Ter-Mikaelian M. T. and M. D. Korzukhin (1997) Biomass equations for sixty-five North American tree species. For. Ecol. Manage 97: 1-24 

  38. Tilman, D., D. Woding and J. Knops (1996) Productivity and sustainability influenced by biodiversity in grassland ecosystem. Nature 379: 718-720 

  39. Vance-Chalcraft, H. D., M. R. Willing, S. B. Cox, A. E. Lugo and F. N. Scatena (2010) Relationship between aboveground biomass and multiple measures of biodiversity in subtropical forest of Puerto Rico. Biotropica 42: 290-299 

  40. Wang C. (2006) Biomass allometric equations for 10 co-occurring tree species in Chinese temperate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22: 9-16 

  41. Wang, W., X. Lei, Z. Ma, D. D. Kneeshaw and C. Peng (2011)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boveground carbon stocks and structural diversity in spruce-dominated forest stands in New Brunswick, Canada. Forestry Science 57: 506-515 

  42. Whittaker, R. H. and G. E. Likens (1973) Primary production: The bioosphere and Man. Human Ecology 1: 357-369 

  43. Wilsey, B. J. and C. Potvin (2000) Biodiversity and ecosystem functioning: Importance of species evenness in an old field. Ecology 81: 887-892 

  44. Yuste, J. C., B. Konopka, I. A. Janssens, K. Coenen, C. W. Xiao and R. Ceulemans (2005) Contrasting net primary productivity and carbon distribution between neighboring stands of Quercus robur and Pinus sylvestris. Tree physiology 25: 701-7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