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감정코칭 의사소통과 이에 대한 자녀의 지각 차이 및 부적응문제
A Study on Perceptional Discrepancy of Emotional Coaching between Mother and Child and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0 no.2, 2016년, pp.1 - 17  

김서영 (순천대학교 대학원 소비자가족아동학과) ,  김성희 (순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emotional coaching communication and to contribute to the mental health of youth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al discrepancy of emotional coaching between a mother and her child related to the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Two hundred junior high school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청소년기 중학생 자녀와 부모 간의 감정코칭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기 위해 모-자녀 쌍의 의사소통 유형을 분류하고 자녀가 모에 대해 지각하는 감정코칭 의사소통과 모 자신이 자신에 대해 지각하는 감정코칭 의사소통의 차이가 자녀의 부적응문제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 하였다. 조사대상은 전남 동부지역 중학교 2학년과 3학년 학생과 그들의 어머니였고 200쌍을 유의표집하여 설문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부적응행동이라는 개념이 학교라는 현장에서의 문제를 조사할 때 사용되고 있는 것을 준거로 하여 학교생활과 가정생활에서의 정신적인 문제 및 행동적인 측면의 문제를 포괄적으로 부적응문제라 정의하고 이의 실태와 감정 코칭 의사소통과의 관련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 어머니를 대상으로 감정코칭 의사소통 교육을 할 때 어떤 대화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모가 어떤 대화를 할 때 집단 간의 차이를 보이는지를 조사하였다 <표 5>. 거의 모든 대화에서 군집 1의 어머니는 군집 2와 군집 3의 어머니보다 감정코칭 의사소통을 낮게 지각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모-자녀 간 공감적 의사소통의 실태와 지각의 불일치 여부를 파악하고 이러한 공감적 의사소통의 불일치가 행동 및 정서의 부적응문제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조사해 보고자 한다. 연구문제로 첫째, 자녀와 모가 지각한 감정코칭 의사소통의 실태와 지각 차이는 어떠한지 조사하고 둘째, 모-자녀 쌍의 감정코칭 의사소통의 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는지 셋째, 유형에 따라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자녀의 부적응문제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넷째, 모의 어떤 대화에서 유형의 차이를 보이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성애와 조벽(2012)이 주장하는 감정코칭 의사소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청소년과 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감정코칭 의사소통의 실태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자녀와의 지각 차이를 조사하며 이러한 감정코칭이 청소년의 부적응행동과 어떤 관련을 보이는지 조사해보고자 한다.
  • 그리고 어머니와 아버지가 모두 개방형 의사소통으로 일치한 경우 자녀의 문제행동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청소년의 문제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청소년의 부적응행동과 모의 감정코칭 의사소통과의 관련성을 조사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의 의사소통은 언제 처음 시작되는가? 의사소통이란 서로의 생각이나 느낌, 감정 등의 의미를 전달하는 상호 교환적인 과정이다. 인간의 의사소통은 최초로 어머니와의 관계를 통해 시작되고,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녀는 안정감을 얻고 사회적인 인간으로 발달해간다(이지미, 2010). 청소년기 자녀에게 있어 가정 내에서 일어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은 자녀의 안정적인 정서나 인성, 사회나 학교적응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
의사소통이란? 의사소통이란 서로의 생각이나 느낌, 감정 등의 의미를 전달하는 상호 교환적인 과정이다. 인간의 의사소통은 최초로 어머니와의 관계를 통해 시작되고,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녀는 안정감을 얻고 사회적인 인간으로 발달해간다(이지미, 2010).
도미향과 정은미는 코칭을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코칭이란 용어는 다양하게 정의되는데 상호적 의사소통과 수평적 파트너쉽을 통해 잠재역량을 극대화해서 가치를 실현하고 문제를 해결하도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관계를 맺는 과정이라 정의된다(김진수, 2012; 최정혜, 2013). 도미향과 정은미(2012)는 자신의 잠재능력을 발견하고 스스로 성장하게 하여 바라는 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지지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라 정의하고 있다. 코칭은 각 개인이 스스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삶을 격려하고 동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급변하는 사회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여 학습, 상담 등 여러 영역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강민희 (2007). 부모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관계.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순미 (201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지은 (2013).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유형과 또래 관계에서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진수 (2012).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기업관리자의 코칭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진주, 조규판 (2012). 청소년의 스트레스, 부모-자녀 의사소통, 우울 및 자살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20(2), 251-270. 

  6. 김현주, 손정희 (2009). 부-모 및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일치유형과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2, 315-342. 

  7. 김호정, 허전 (2008). 한글 SPSS WIN 14.0. 서울 : 삼영사. 

  8. 나탈리 르비살 (Natalie Levisalles) 지음. 배영란 옮김 (2011). 청소년, 코끼리에 맞서다. 서울: 한울림. 

  9. 도미향, 정은미 (2012). 대학에서의 코칭학의 교육과정안. 2012년도 한국코칭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0. 류성진 (2007). 어머니와 자녀간의 의사소통 행위와 어머니의 감정지도에 대한 지각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그리고 어머니의 감정지도에 대한 지각과 자녀의 감정조절능력에 대한 지각과의 관계에 대한 추가분석. 언론과학연구, 7(3), 116-150. 

  11. 박진희 (2014). 부모와 자녀의 지각차이 연구: 가족사정척도(FAD)와 부모-자녀 의사소통 척도(PASC)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9(1), 103-124. 

  12. 박지은 (2012). 감정코칭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보건복지부 (2009). 2008년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 

  14. 서숙경, 김은경 (2012). 감정코칭 부모교육이 어머니의 정서반응 태도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6(1), 95-109. 

  15. 서윤정 (2010). 중학생의 자아상태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및 학교부적응행동 간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서주연, 정남운 (2011).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대상 신뢰가 자녀와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문제형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신연희 (2001). 자아존중감, 청소년 비행, 그리고 어머니의 역할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13(1), 107-132. 

  18. 안혜원 (200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부모애착 및 부모감독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2013). [동상이몽] 10대 자녀 vs 10대부모: 상호간 의사소통 및 양육방식 관련 인식평가. 서울 : embraintrendm onitor. 

  20. 유천기 (2013).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과 친구관계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정서지능을 매개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동훈 (2010). 중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학교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논단, 9(1), 185-205. 

  22. 이명순, 김종운 (2014).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2(1), 335-356. 

  23. 이영경 (2008). 부모-자녀의 의사소통에 대한 지각일치도와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용숙, 김영화, 최상근 (1988). 어머니의 취업과 학교교육 및 자녀의 성취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5. 이요나 (2007).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지미 (2010). 청소년이 지각한 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지현, 최정임 (2011).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이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찬주 (2009). 부모의 부부갈등과 아동기 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조붕환, 임경희 (2003).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자기보고형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15(4), 729- 746. 

  30. 조수철, 남민 (1994). 소아와 청소년의 행동장애와 우울, 불안증상과의 상호관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33(6), 1273-1283. 

  31. 조주연 (2013). 가족 적응력 및 결속력과 청소년의 문제 행동과의 관계: 순환모델의 곡선성대 선형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존 가트맨(John Gattman), 남은영 (2007). 내 아이를 위한 사랑의 기술 : 감정코칭. 서울 : 한국경제신문사. 

  33. 차은정 (1993). 청소년 스트레스와 가족체계 및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최성애, 조벽 (2012). 청소년 감정코칭: 교사와 부모들을 위한 사랑의 기술. 서울 : 해냄출판사. 

  35. 최인재, 김혜인 (2012).아동 청소년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II:조사 결과 자료집.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6. 최인재, 모상현, 이선영, 김혜인, 이재연 (2012).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II :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7. 최정혜 (2013). 코칭철학을 적용한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증등교육연구, 25, 199-214. 

  38. 한국일보 (2015.05.29.). "중2병 퇴치법? 자녀와 놀이부터 해보세요". http://www.hankookilbo.com. 

  3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1). 전국 청소년 문제행동 실태조사 연구: 기초실태조사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40. Achenbach, T. M. (1991).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4-18, and 1991 profile. Burlington, VT :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41. Barens, H. L. & Olson, D. H. (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cale. In D. H. Olson, H. I. McCubbin, H. Barnes, A. Larsen, M. Muxen & M. Wilson(eds) Family Inventorries. St Paul, MN :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asota. 

  42. Barens, H. L. & Olson, D. H., (1985).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Home Economics, 62(5), 344-345. 

  43. Guilamno-Ramos, V., Jaccard, J., Dittus, P. & Bouris, A. M.(2006). Parental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accessibility :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dolescent risk be havior.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8(5), 1229-1246. 

  44. Hartos, J. L., & Power, T. G. (2000). Association between mother and adolescent reports for assessing relations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dolescent adjustment.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 441-450. 

  45. Hock, E., Eberly, M., Bartle-Haring, S., Ellwanger, P. & Widaman, K. F. (2001). Separation anxiety in parents of adolescents: theoretical significance and scal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2(1), 284-298. 

  46. Noller, P., Seth-Smith, M., Bouma, R. & Schweitzer, R. (1994). Parent and adolescent perceptions of family functioning : A comparison of clinic and non-clinic families. Journal of Adolescence, 15(2), 101-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