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5G 망에서의 Network Slicing 요구사항 및 제공 구조 원문보기

정보와 통신 : 한국통신학회지 = Information & communications magazine, v.33 no.6, 2016년, pp.9 - 17  

김상훈 (KT)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고에서는 5G 망에서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한 구조로서 Network Slicing 구조를 제안하고 세부 적용방안을 기술한다. 이를 위해 5G 서비스를 우선 정의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요구사항을 도출한 후, 이러한 요구사항과 관련해 현재 망의 문제점에 대해 기술하고 망 개선을 위한 기술 요구사항을 정립한다. 특히, 5G에서의 중요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Network Slicing'의 필요성 및 개념에 대해 서술한다. Network Slicing에 대한 제조사들의 솔루션 동향, 3GPP 등 단체의 표준화 동향, APN 방식의 P-LTE/DECOR/RAN Slicing 등 관련 기술의 발전 동향을 포함한 5G Network Slicing 주요 기술 동향에 대해서 알아본다. 또한, Slice의 관리 및 BSS/OSS등과의 연계를 위한 통신사업자 입장에서의 플랫폼 요구사항을 정리한다. 5G Network Slicing을 충족하기 위한 주요 기술로 C/U plane 분리구조, 범용 서버를 활용한 NFV/SDN, Edge 기반의 분산된 수평적 네트워크, 데이터 오프로딩지연시간 절감을 위한 Edge Computing 등을 들 수 있고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위한 Orchestration 등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사업자 입장에서 5G Core Network 기술을 선도함은 물론이고 향후, 조기 상용화를 위한 진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고에서는 이를 위한 5G Core Network의 핵심기술인 ‘Network Slicing’에 대해 알아본다. Network Slicing의 개념 및 필요성, 관련 기술 개발 및 표준화 동향, 통신사업자 입장에서의 Network Slicing 플랫폼 요구사항, 마지막으로 SDN/NFV 기반으로 한 Network Slicing 구조를 기술하여 향후 네트워크 진화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고에서는 이를 위한 5G Core Network의 핵심기술인 ‘Network Slicing’에 대해 알아본다.
  • 이를 위해서 본고에서는 5G Core Network의 핵심기술인 ‘Network Slicing’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5G 서비스 무엇으로 나뉘는가? 5G 서비스는 크게 eMBB, Mission Critical, Massive IoT 서비스로 나뉠 수 있고, 부가적으로 Network Operation 관점에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셀당 20Gbps 이상의 대역폭을 요구하는 eMBB서비스의 경우, 망의 백홀을 많이 필요로 하고 다양한 접속 방식의 수용이 필요하게 된다.
스마트폰 혁명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뀌게 하였는가? 스마트폰 혁명은 우리의 삶을 획기적으로 바꾸었다.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통해 뉴스와 영화를 보고, 친구와 게임을 하고, 쇼핑을 하며, SNS와 메신저로 자신의 경험을 다른 사람들과 실시간으로 공유한다. 언제 어디서든 모바일뱅킹을 하고, 자료를 주고 받고, 실시간 길안내 서비스를 이용하는 등 일상적인 모든 일들이 스마트 기기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삶의 대변혁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5G 네트워크에서 필수 불가결한 요소 3가지는 무엇인가? 이러한 모바일 환경의 급속한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속성이 5G 네트워크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첫째, 폭발적인 트래픽 증가를 감당할 수 있는 대용량 파이프라인을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수많은 모바일 기기들과 IoT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원활히 접속할 수 있는 대용량의 수용성(Massive Connectivity)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초실감형 서비스와 Mission-critical M2M을 원활하게 서비스할 수 있는 초저지연 E2E 연결성(Near-zero Latency)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 하나 고려할 점은 5G는 단순히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의 진화만이 아니라, 신규 서비스를 신속하게 최적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모바일 Cloud Infra로의 진화를 포함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NGMN, "5G white paper", Feb. 2015 

  2. NGMN Alliance: "Description of Network Slicing Concept", 2015 (http://www.ngmn.org/publications/technical.html) 

  3. http://www.3gpp.org 

  4. 3GPP TR 23.799: "Study on Architecture for Next Generation System" 

  5. 3GPP TR 22.864 "Feasibility Study on New Services and Markets Technology Enablers - Network Operation" 

  6. Report on Standards Gap Analysis, ITU, Focus groups on IMT-2020, Oct. 2015 

  7. ETSI,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 Architectural framework" GS NFV 002 V1.2.1, Dec. 2014 

  8. 5G Forum, "5G vision, requirements, and enabling technologies (ver. 1.0)," Mar. 2015. 

  9. https://www.wikipedia.org 

  10. http://www.netmanias.com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