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적 편안함을 위한 입체적 삼차원 영상 편집 방법
Stereoscopic 3D Video Editing Method for Visual Comfort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19 no.4, 2016년, pp.706 - 716  

김정언 (Dept. of media Engineering,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강행봉 (Dept. of media Engineering,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ach year, significant amounts of Stereoscopic 3D(S3D) contents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viewers who enjoy the contents readily experience a sense of fatigue on account of various factors. Consequently, many improvemen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ith the domain of disparity by, for examp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은 색상 유사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연결된 테이크 간의 색상 유사도를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사도를 높여 줄 색상 변형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사용자의 집중도가 낮은 비중요 영역에 대한 설정 방법을 함께 제시한다.이를 실제 영상에 적용하여 원 영상과의 비교 평가를 통해 실제 환경에서 변환모델이 시각적 피로도 감소에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고 제안된 기법이 적용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고찰을 통해 실제로 쓰일 수 있는 기술로의 가능성을 검증한다.
  • 모델을 제안한다.본 모델은 연결된 두 테이크의 색상 및 밝기 유사도를 높여주어 분할 지점에서의 급격한 시각적 변화를 줄여 눈의 적응력을 높이고 안구 운동을 안정시켜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이를 위해 연결되는 두 테이크의 디스 패리티를 분석하여 두 영상의 유사도 색상을 결정한다.
  • 본 실험은 빠르게 진화하는 3D콘텐츠 제작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인 시청자 피로도를 감소시키는데 목적이 있고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 테이크의 분할 영역에서의 색상 및 밝기를 변형하고 디스 패리티를 이동시켜 영상을 감상하는 시청자의 안구 부담을 개선하고 안구 반응 속도를 향상시켜 시청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본 실험을 통해 얻어낸 결과를 토대로 기존에 출시된 S3D 영상을 재구성할 수 있고, 애초 콘텐츠 제작 단계에서 영상을 구성할 때 색상 변화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테이크들을 구성한다면 시청자를 더욱 고려한 쾌적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주목했다.색상과 밝기 정보는 영상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특징(Low-LevelFeature)이며 동공의 움직임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지니기 때문에 빠르게 변화하는 테이크 사이에서 순응 과정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즉, 디스패리티 변화에 따라 안구 운동이 발생할 때 두 테이크 간의 색상 및 밝기 유사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동공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이것이 안구 운동의 반응 속도에 영향을 준다면 결과적으로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게 될 것이다.
  • 하지만 디스패리티라는 한 가지 측면에서의 개선방법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시각적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다른 도메인을 찾아 연구를 확장해야 한다.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테이크에서의 급변하는 색상과 밝기는 동공 움직임에 대한 부담감을 주게 되고 이는 곧 안구의 피로도를 누적시켜 안구 운동의 반응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그리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테이크간의 색상과 밝기를 변형한 실험 영상을 만들어 원본을 시청할 때와의 안구 움직임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Y. Kim and H. Kang, “An Analysis of Recovery Rate and a Change of Depth Recognition After Watching 3D Videos,”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8.1, pp. 88-96, 2015. 

  2. M.F. Bradshaw and B.J. Rogers, Sensitivity to Horizontal and Vertical Corrugations Defined by Binocular Disparity, Vision Res. 39.18.304956, 1999. 

  3. A. Brookes and K. Stevens, "The Analogy Between Stereo Depth and Brightness", Perception. 18.5, pp. 601-614. 1989. 

  4. J. CUTTING and P. VISHTON, Perceiving layout and knowing distances: The integration, relative potency, and contextual use of different information about depth. In Perception of Space and Motion (Handbook of Perception and Cognition). Academic Press, 1995. 

  5. Erkelens, C. J., R. M. Steinman, and H. Collewijn., “Ocular vergence under natural conditions II. Gaze- shifts between real targets differing in distance and direction.”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B: Biological Sciences, 236.1285, pp. 441-465, 1989. 

  6. Hoffman, David M., et al. "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s hinder visual performance and cause visual fatigue." Journal of vision 8.3 pp. 33-33, 2008. 

  7. Palmer, Stephen E. Vision science: Photons to phenomenology. Vol. 1. Cambridge, MA: MIT press, 1999. 

  8. Hung, George K., et al. "Vergence eye movements under natural viewing conditions."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35.9 pp. 3486-3492, 1994. 

  9. Hung, George K. "Adaptation model of accommodation and vergence." Ophthalmic and Physiological Optics 12.3 pp. 319-326, 1992. 

  10. Hung, George K. "Dynamic model of the vergence eye movement system: simulations using MATLAB/SIMULINK." Computer methods and programs in biomedicine 55.1, pp. 59-68, 1998. 

  11. Hung, George K. Models of oculomotor control. Hackensack: World Scientific, 2001. 

  12. Krishnan, V. V., Faramarz Farazian, and Lawrence Stark. "AN ANALYSIS OF LATENCIES AND PREDICTION IN THE FUSIONAL VERGENCE SYSTEM*." Optometry & Vision Science 50.12, pp. 933-939, 1973. 

  13. Krishnan, V. V., DOUGLAS SHIRACHI, and LAWRENCE STARK. "Dynamic measures of vergence accommodation." Optometry & Vision Science 54.7, pp. 470-473, 1977. 

  14. Templin, Krzysztof, et al. "Modeling and optimizing eye vergence response to stereoscopic cuts." ACM Transactions on Graphics (TOG) Vol. 33.4, 2014. 

  15. Lambooij, Marc, Wijnand A. IJsselsteijn, and Ingrid Heynderickx. "Visual discomfort of 3D TV: Assessment methods and modeling." Displays 32.4, pp. 209-218, 2011. 

  16. Lang, Manuel, et al. "Nonlinear disparity mapping for stereoscopic 3D." ACM Transactions on Graphics (TOG). Vol. 29. No. 4. ACM, 2010. 

  17. Lunn, Peter D., and Michael J. Morgan. "“The analogy between stereo depth and brightness”: A reexamination." Perception 24.8, pp. 901-904, 1995. 

  18. Meesters, Lydia MJ, Wijnand A. IJsselsteijn, and Pieter JH Seuntiëns. "A survey of perceptual evaluations and requirements of threedimensional TV."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IEEE Transactions on 14.3, pp. 381-391, 2004. 

  19. Mendiburu, Bernard. 3D movie making: stereoscopic digital cinema from script to screen. CRC Press, 2012. 

  20. Palmer, Stephen E. Vision science: Photons to phenomenology. Vol. 1. Cambridge, MA: MIT press, 1999. 

  21. Didyk, Piotr, et al. "A luminance-contrastaware disparity model and applications." ACM Transactions on Graphics (TOG) 31.6, pp. 184, 2012. 

  22. Zwietering, M. H., et al. "Modeling of the bacterial growth curve."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56.6, pp. 1875-1881, 1990. 

  23. Marĉelja, S. "Mathematical description of the responses of simple cortical cells*." JOSA 70.11, pp. 1297-1300, 1980. 

  24. Burt, Peter J. "Fast filter transform for image processing." Computer graphics and image processing 16.1, pp. 20-51, 19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