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의학교과서 연구
Review on Medical Texts in Joseon Dynasty 원문보기

한국의사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v.29 no.2, 2016년, pp.1 - 16  

박훈평 (화순마루요양병원 한방 6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edical texts in Joseon Dynasty have changed in time and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Medical texts that reflect the medical standards of the time were enable us to look into how medical bureaucrats were trained and education policies related to 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에 일반적으로 의관으로 임용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었는가? 조선시대에 의관으로 임용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의과에 등제하거나 兩醫司(전의감, 혜민서)의 취재에 입격하여야 했다.
연산조 이전, 의관이 되기 위해 의과 응시하는 것이 아닌 관리가 되기 위한 통로로 활용된 이유는 무엇인가? 조선 개국 초에는 제도가 정비되지 않아 기존 왕실과 관련 있는 의원들이 왕실 진료를 담당했다. 의과가 실시된 이후로 연산조 이전의 경우 잡과는 서얼허통의 대상이 아니었고, 문과처럼 적자만 응시가 가능하였다. 그리하여 의과가 의관이 되려는 목적이 아닌, 양반 자제가 관리가되기 위한 통로로 활용되었다.
조선 의학에 미친 중국 의학의 영향은 무엇인가? 조선 의학에 미친 중국 의학의 영향은 시기별로 다르다. 임진왜란 이전은 송대 의학 영향 하에 있었는데, 침구학은 원대 의학의 영향도 있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금원사대가학파의 영향이 강해지며 명대 의학의 도입도 있었다. 청대 의학은 공식적인 교육 체계 안으로 포함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정선. 조선시대 왕들의 질병치료를 통해 본 의학의 변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87-97. 

  2. 김진. 조선시대 의관선발 : 영조 정조 시대 의과방목 분석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999;104: 1-93. 

  3. 박훈평. 족보를 통한 조선 중기 삼의사 의관 가계배경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3;26(2): 161-174. 

  4. 박훈평. 조본 황제내경소문 판본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2014;27(2): 78-79. 

  5. 박훈평. 새로 발견된 조선전기 의학서 태산집요 연구. 장서각. 2016;36: 9-27. 

  6. 정면, 홍원식. 금원사대가의학이 조선조의학 형성에 미친 영향. 한국의사학회지. 1996;9: 496-499, 513-524 

  7. 고시 쓰네에몬 저, 신은영 역. 약재질정기사.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12: 147. 

  8. 김기욱, 김남일, 김도훈, 김용진, 김홍균, 김훈, 등. 한의학통사. 고양: 대성의학사. 2006: 183-186. 

  9. 김두종. 한국의학사전. 서울: 탐구당. 1966: 200-201. 

  10. 김치우. 고사촬요 책판목록과 그 수록 간본연구. 서울: 아세아문화사. 2007: 33, 53. 

  11. 동양학 연구소. 경국대전주해.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1979: 219-222. 

  12. 박훈평. 역주 내의원식례. 서울: 퍼플. 2015: 13,15 

  13. 박훈평. 역주 혜국지. 서울: 퍼플. 2015: 47-48, 56, 58-59. 

  14. 三 木榮. 訂補 朝鮮醫學史及疾病史. 京都: 思文閣. 1991: 123-124, 146-147, 171. 

  15. 蕭國鋼. 儒門事親硏究. 北京: 中醫古籍出版社. 1998: 26-27. 

  16. 손홍렬. 한국 중세의 의료제도 연구. 서울: 수서원. 1988: 222-230, 246-261 

  17. 신동원. 동의보감 탕액편의 역사적 의의: 김남일. 동의보감으로 이루어진 동아시아 의과학 문명의 교류. 초판.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190. 

  18. 劉時覺. 宋元明淸醫籍年表.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05: 2. 

  19. 이경록. 고려시대 의료의 형성과 발전. 서울: 혜안. 2010: 305-307. 

  20. 崔秀漢. 朝鮮醫籍通考.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6: 22-24. 

  21. 編纂委員會. 中國醫籍大辭典.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2002: 392, 395, 397, 596. 1141, 1142, 1489. 

  22. 허준 저, 안상우, 권오민 역, 국역 언해두창집요, 대전: 한국한의학연구원. 2011: 178. 

  23. 홍원식. 중국의학사. 서울: 일중사. 1984: 95, 118, 128, 141, 147-149, 152, 166, 167, 176, 174, 177, 183, 226, 259. 

  24.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http://sjw.history.go.kr) 

  25.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http://sillok.history.go.kr) 

  26. 국립중앙도서관 고전운영실. 한국 고전적 종합목록시스템(https://www.nl.go.kr/korcis/) 

  27.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문자료검색(http://e-kyujanggak.snu.ac.kr) 

  28.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http://db.itkc.or.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