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ing in Jeju Island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2 no.2, 2016년, pp.369 - 382  

이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을 지붕 형태, 지붕 재료, 외벽 재료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경남 촌락 가옥의 유형과 비교하면서 그 특성을 논의한다. 이러한 촌락 가옥에 대한 연구는 오늘날의 촌락 경관을 이해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연구라고 본다. 제주도 촌락 가옥에서는 우진각지붕이나 우진각지붕/평지붕의 지붕 형태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단순평지붕 맞배지붕 눈썹평지붕 등의 지붕 형태가 다수를 차지한다. 그리고 컬러강판, 인조슬레이트, 시멘트, 기와/시멘트, 슬레이트/시멘트 등의 지붕 재료 사용 빈도가 높다. 외벽 재료에서는 시멘트를 단일 재료로 사용한 가옥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현무암석재/시멘트, 타일/시멘트, 타일, 사이딩 등을 사용한 가옥이 많다. 제주도 촌락 가옥은 지붕 형태와 외벽 재료의 특성이라는 측면에서 경남 촌락 가옥과 사뭇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제주도 촌락 가옥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성으로는 우진각지붕 가옥이 매우 많다는 점, 팔작지붕 가옥이 매우 희귀하다는 점, 현무암석재를 외벽 재료로 사용한 가옥이 많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ies on the rural housing have focused on folk housing,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emporary rural housing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oof types/materials and the outer wall materials. The research area of this study is the fourteen rural settlements in Jeju Island. The hip roof ty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제주도의 촌락 가옥을 반도부(육지부)의 촌락 가옥과 비교해서 논하는 것도 제주도 촌락 가옥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할 것이다. 그런데 지붕 형태, 지붕 재료, 외벽 재료를 중심으로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가 반도부(육지부) 전체를 대상으로 수행된 바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촌락 가옥을 경남 촌락 가옥과 비교해서 고찰하려고 한다. 즉, 경남 고성군(이전・채민수, 2015), 경남 남해도서(이전・성화룡, 2015),경남 함양군(이전・이호욱, 2015; 이호욱, 2016)의촌락 가옥 특성과 비교하면서 제주도 촌락 가옥의 특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촌락 가옥의 지붕 형태, 지붕 재료, 외벽 재료를 촌락 가옥 경관의 가장 주요한 형태적 요소로 보면서, 이 세 요소에 초점을 두고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지붕 형태, 지붕 재료,외벽 재료를 중심으로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 그렇지만 지붕 형태, 지붕 재료, 외벽 재료 등에 초점을 두고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을 밝히는 논문이 극히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제주도 촌락 가옥을 반도부(육지부) 전체의 촌락 가옥과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가 가능하지 않다. 다행하게도 경남 고성군(이전・채민수, 2015), 경남 남해도서(이전・성화룡, 2015), 경남 함양군(이전・이호욱,2015; 이호욱, 2016)의 촌락 가옥에 관한 연구가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촌락 가옥을 경남촌락의 가옥과 비교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즉, 경남 고성군 촌락, 경남 남해도서 촌락, 경남 함양군 촌락 등의 가옥과 비교해보면서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제주도 촌락에서 전통가옥이 사라지고 다양한 유형의 가옥이 들어섰기 때문에 오늘날의 제주도 촌락 가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제주도 촌락의 전통가옥이나 민가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오늘날의 제주도 촌락 가옥에 대한 연구이다.
  •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에서 다루는 전통가옥은 과거의 촌락 가옥일 뿐 오늘날의 촌락 가옥이 아니라는 점에서도 오늘날의 촌락 가옥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지붕 형태, 지붕 재료, 외벽 재료를 중심으로 해서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 1>, <표 1>과 같이 14개 촌락을 연구지역 촌락으로 선정하였고, 각 촌락에서 30개 가옥씩 총 420개 가옥을 연구대상 가옥으로 선정하였다.
  • 이제부터는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에서 오늘날의 한국 촌락 경관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촌락 가옥 유형과 특성에 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촌락 가옥의 지붕 형태, 지붕 재료, 외벽 재료를 촌락 가옥 경관의 가장 주요한 형태적 요소로 보면서, 이 세 요소에 초점을 두고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지붕 형태, 지붕 재료,외벽 재료를 중심으로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 앞에서 오늘날의 한국 촌락 가옥에 대한 연구가 촌락지리학적 입장에서나 지리교육학적 입장에서 절실하게 필요함을 논의하였는데,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필요성에서 출발한다. 이제부터는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에서 오늘날의 한국 촌락 경관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촌락 가옥 유형과 특성에 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다행하게도 경남 고성군(이전・채민수, 2015), 경남 남해도서(이전・성화룡, 2015), 경남 함양군(이전・이호욱,2015; 이호욱, 2016)의 촌락 가옥에 관한 연구가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촌락 가옥을 경남촌락의 가옥과 비교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즉, 경남 고성군 촌락, 경남 남해도서 촌락, 경남 함양군 촌락 등의 가옥과 비교해보면서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그런데 지붕 형태, 지붕 재료, 외벽 재료를 중심으로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가 반도부(육지부) 전체를 대상으로 수행된 바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촌락 가옥을 경남 촌락 가옥과 비교해서 고찰하려고 한다. 즉, 경남 고성군(이전・채민수, 2015), 경남 남해도서(이전・성화룡, 2015),경남 함양군(이전・이호욱, 2015; 이호욱, 2016)의촌락 가옥 특성과 비교하면서 제주도 촌락 가옥의 특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를 전통가옥 지붕의 재료로 사용했던 이유는? 제주도에는 벼농사를 짓지 않아 볏짚이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보통 ‘새’를 가지고 전통가옥의 지붕을 이었다. ‘새’는 경량의 식물성 재료로서 잎줄기에 각피가 발달하고 기름 성분이 많아 수분을 덜 흡수하기 때문에 지붕 재료로 매우 유리하였다. 일반적으로 볼 때, 지붕 물매를 급하게 하면 빗물 처리가 쉽지만 바람을 타기 쉽고, 지붕 물매를 밋밋하게 하면 빗물 처리가 어려워 지붕이 썩기 쉽다.
제주도 전통가옥은 2칸집・3칸집・4칸집으로 분류되는데, 이들의 공통점은? 제주도 전통가옥은 평면형에 따라 2칸집・3칸집・4칸집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뉘었다. 이들의 공통점은 전부 겹집이었고, 전통가옥 평면의 기본요소는 정지・상방・구둘・고팡 등이었다. 제주도 전통가옥의 기본형이라고 할 수 있는 3칸집은 전면으로 3칸이고 측면으로 2칸인 겹3칸집이었다.
‘새’로 이은 전통가옥 지붕은 바람의 피해를 막기 위해 어떻게 건설되었는가? 제주도 전통가옥의 지붕 물매는 비보다는 바람을 더 고려하여 매우 완만하였다. ‘새’로 이은 전통가옥 지붕은 바람의 피해를 막기 위해 촘촘한 격자형으로 지붕 누름 줄을 얽어매었다(조성기, 2006, 359; 송성대, 1993, 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김기덕.이승호, 2001, 기후 특성과 관련된 제주도의 민가 경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7(3), 29-43. 

  2. 김윤학, 2013, 농촌마을 지붕경관 특성에 관한 조사 연구: 가로변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5(3), 17-24. 

  3. 김종혁, 2002, 문화권 구분단위로서의 하천유역권에 대한 시론, 문화역사지리 14(2), 9-20. 

  4. 김향숙, 1991, 강원도의 겹집 유형과 그 분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5. 김홍식, 1985, 가족구조와 민가크기(잠자리) 변천에 관한 연구, 제주도연구 2, 253-277. 

  6. 문현숙, 1989, 제주와 서귀포의 기후 비교연구, 지리학연구 14, 51-73. 

  7. 박병석, 2000, 중부형 민가 평면 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과 지리전공 석사학위논문. 

  8. 박태화, 1998(a), 맞배지붕 민가의 발달과 구조, 국토지리학회지 32(2), 59-86. 

  9. 박태화, 1998(b), 맞배지붕 민가의 사진에 의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7, 105-115. 

  10. 박태화, 2002, 한국.중국.일본 3국 지붕의 변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5(1), 35-47. 

  11. 박태화, 2008, 동족촌락의 전통민가: 지리학적 고찰, 경북대학교출판부. 

  12. 송성대, 1993, 제주도의 풍토주가: 초옥민가를 중심으로, 제주도연구 10, 99-174. 

  13. 신화경, 1996, 제주도 민가의 형태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9, 335-356. 

  14. 이승호, 2002, 한국 다설지역의 가옥 특성: 민가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7(1), 1-14. 

  15. 이전, 2011, 촌락지리학, 푸른길. 

  16. 이전.성화룡, 2015, 경남 도서지역 촌락의 가옥 유형에 관한 연구: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1(4), 660-672. 

  17. 이전.이호욱, 2015, 경남 함양군 촌락 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7(3), 70-83. 

  18. 이전.채민수, 2015, 경남 고성군 촌락 가옥의 유형에 대한 연구: 지붕 형태, 지붕 재료, 외벽 재료를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5(3), 51-61. 

  19. 이찬, 1975, 중부지방의 민가형태 연구 개요, 지리학과 지리교육(서울대 지리교육과) 4(1), 27-40. 

  20. 이호욱, 2016, 경남 함양군 촌락 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리전공 석사학위논문. 

  21. 임화영, 2009, 전통가옥의 유형별 분포 권역에 관한 연구: 논산시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지리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2. 장보웅, 1974, 제주도 민가의 연구, 지리학(대한지리학회) 10, 13-31. 

  23. 장보웅, 1977, 울릉도 나리동의 투방집 연구, 지리학(대한지리학회) 16, 25-34. 

  24. 장보웅, 1978, 청산도 민가의 문화지리학적 연구, 지리학(대한지리학회) 18, 34-45. 

  25. 장보웅, 1980, 한국의 민가형 분류와 문화지역구분, 지리학(대한지리학회) 22, 41-58. 

  26. 장보웅, 1996, 한국민가의 지역적 전개, 보진재. 

  27. 조성기, 2006, 한국의 민가, 한울. 

  28. 조준현, 2014, 현대건축재료, 기문당. 

  29. 최영준, 1997, 국토와 민족생활사: 한국역사지리학 논고, 한길사. 

  30. 홍경희, 1985, 촌락지리학, 법문사. 

  31. 홍종수.양택훈, 1991, 제주도 민가의 주거환경에 관한 연구: 오조마을의 공간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19(3), 16-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