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카시아 수피를 이용한 카드뮴 이온의 제거
Removal of Cadmium Ions Using Robina pseudoacacie Bark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7 no.3, 2016년, pp.330 - 334  

최석순 (세명대학교 바이오환경공학과) ,  김민지 (세명대학교 바이오환경공학과) ,  차형준 (포항공과대학교 시스템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충북 지역 산림에서는 여러 가지 나무 수피들의 대량 생산으로 인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종류(아카시아, 소나무, 밤나무) 수피들을 이용한 회분식 실험에 의하여, 수중에 용해된 10, 20, 50, 100 mg/L 카드뮴 이온의 제거효율이 가장 우수한 생물흡착제로서 아카시아 수피를 선별하였다. 그리고, 아카시아 수피를 사용하여 100 mg/L 카드뮴 이온의 제거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산과 염기 처리가 수행되었다. 0.5 M 수산화칼륨(KOH)으로 아카시아 수피가 개질되었을 때, 비교적 높은 카드뮴 이온 제거효율과 흡착량을 얻었다. 또한, 9 M KOH로 개질된 아카시아 수피를 사용하여 30 min 반응이 이루어졌을 때, 100 mg/L 카드뮴 이온의 최대 제거효율은 84.3%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들은 수계와 토양에 다양한 농도로 존재하는 카드뮴 이온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생물복원(bioremediation) 기술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several wood barks are massively produced in the forest area of Chungbuk province, it is required to develop technologies for their effective utilization. In this study, three kinds of barks from Robina pseudoacacie, Pinus densiflora, and Castanea crenata were used to remove water-soluble 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현재까지 여러가지 나무 수피를 이용하여 수중에 함유된 다양한 농도의 카드뮴 이온 제거효율과 흡착량에 관한 비교 고찰이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중에 고농도로 존재하는 카드뮴 이온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고자, 아카시아 수피에 수산화칼륨의 화학적 개질에 의한 새로운 생물흡착제를 제조하였으며, 이 흡착제를 사용하여 수계와 토양에 다양한 농도로 존재하는 카드뮴 이온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생물복원(bioremediation) 기술로 적용 및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의 풍부한 산림자원으로서 나무 수피를 활용하고자, 수중에 함유된 카드뮴 이온의 제거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 실험에서 카드뮴 이온 제거능력을 증가시키고자, 다양한 산과 염기 처리에 의한 흡착제 개질 반응을 통하여 카드뮴 이온의 제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의 산림지역에서 생산되는 생물 자원 중 하나인 수피(아카시아, 소나무, 밤나무)를 이용하여 다양한 농도로 수중에 존재하는 카드뮴 이온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이 실험에 사용한 수피들은 목재 표면으로부터 약 5 mm에 존재하는 부분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의 풍부한 산림자원으로서 나무 수피를 활용하고자, 수중에 함유된 카드뮴 이온의 제거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 실험에서 카드뮴 이온 제거능력을 증가시키고자, 다양한 산과 염기 처리에 의한 흡착제 개질 반응을 통하여 카드뮴 이온의 제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금속에 의한 수질오염의 문제점은?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납, 구리, 카드뮴, 수은 니켈 등 다양한 중금속이 함유된 폐수 발생량이 급속히 증가하여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있다[1]. 또한, 중금속에 의한 수질오염은 수생태계에 대한 직접적인 피해 이외에도 자연 순환과정에 의하여 토양과 농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며 먹이사슬을 통해 인체에 중금속이 축적되어 장기적인 피해를 유발한다고 보고되었다[2]. 특히, 카드뮴의 주요 오염원은 전기도금, 제련, 합금제조, 도료, 태양전지 제조와 같은 산업 공정에서 배출된다고 알려졌다[3].
카드뮴 이온 제거 공정의 문제점은? 카드뮴 이온 제거하는 처리 공정들에는 화학적 침전, 막여과, 전기화학적 처리, 이온교환, 역삼투 및 흡착이 알려졌다[4,6,7]. 그러나, 이러한 처리공정들은 저농도 중금속 제거에는 비효율적이거나 비경제적이라고 보고되었다[8]. 한편 최근들어 중금속 제거를 위한 생물흡착(biosorption) 기술은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면서 효과적이라고 알려졌다[7].
카드뮴의 주요 오염원은 무엇인가? 또한, 중금속에 의한 수질오염은 수생태계에 대한 직접적인 피해 이외에도 자연 순환과정에 의하여 토양과 농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며 먹이사슬을 통해 인체에 중금속이 축적되어 장기적인 피해를 유발한다고 보고되었다[2]. 특히, 카드뮴의 주요 오염원은 전기도금, 제련, 합금제조, 도료, 태양전지 제조와 같은 산업 공정에서 배출된다고 알려졌다[3]. 그리고 카드뮴은 미국 환경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서 잠재적 발암물질로 분류되었으며[4], 또한, 카드뮴은 인간 건강에 심한 손상을 나타내고 만성적 노출은 신장 기능 장애를 유발시키며, 긴 반감기를 갖는다고 알려졌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H. Baek and D.-S. Kim, Adsorption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cadmium ion containing wastewater using waste tire as an adsorbent, J. Kor. Soc. Water Qual., 22(3), 498-503 (2006). 

  2. H.-S. Shin, C.-H. Lee, Y.-S. Lee, and K.-H. Kang, Removal of Heavy Metal from aqueous solution by a column packed with peat-humin, J. Kor. Soc. Environ. Eng., 27(5), 535-541 (2005). 

  3. Y.-H. Li, S. Wang, Z. Luan, J. Ding, C. Xu, and D. Wu, Adsorption of cadmium(II) from aqueous solution, Carbon, 41, 1057-1062 (2003). 

  4. F. Fu and Q. Wang, Removal of heavy metal ions from wastewater: A review, J. Environ. Manage., 92, 407-418 (2011). 

  5. J. Fu, Q. Zhou, J. Liu, W. Liu, T. Wang, Q. Zhang, and G. Jiang, High levels of heavy metals in rice (Oryza sativa L.) from a typical E-waste recycling area in southest China and its potential risk to human health, Chemosphere, 71, 1269-1275 (2008). 

  6. A. Rathinam, B. Maharshi, S. K. Janardhanan, R. R. Jonnalagadda, and B. U. Nair, Biosorption of cadmium metal ion from simulated wastewaters using Hypnea valentiae biomass: A kinetic and theromodynamic study, Bioresour. Technol., 101, 1466-1470 (2010). 

  7. X. Xiao, S. Luo, G. Zeng, W. Wei, Y. Wan, L. Chen, H. Guo, Z. Cao, L. Yang, J. Chen, and Q. Xi, Biosorption of cadmium by endophytic fungus (EF) Microsphaeropsis sp. LSE10 isolated from cadmium hyperaccumulator Solanum nigrum L., Bioresour. Technol., 101, 1668-1674 (2010). 

  8. M. F. Ahmad, S. Haydar, A. A. Bhatti, and A. J. Bari,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the prediction of biosorption capacity of immobilized Bacillus subtilis for the removal of cadmium ions from aqueous solution, Biochem. Eng. J., 84, 83-90 (2014). 

  9. P. Arivalagan, D. Singaraj, V. Haridass, and T. Kaliannan, Removal of cadmium from aqueous solution by batch studies using Bacillus cereus, Ecol. Eng., 71, 728-735 (2014). 

  10. W.-B. Lu, J.-J. Shi, C.-H. Wang, and J.-S. Chang, Biosorption of lead, copper and cadmium by an indigenous isolate Enterobacter sp. J1 possessing high heavy-metal resistance, J. Hazard. Mater. B, 134, 80-86 (2006). 

  11. K. Tsekova, D. Todorova, V. Dencheva, and S. Ganeva, Biosorption of copper(II) and cadmium(II) from aqueous solutions by free and immobilized biomass of Aspergillus niger, Bioresour. Thechnol., 101, 1727-1731 (2010). 

  12. R. Vimala, and N. Das, Biosorption of Cadmium (II), and lead (II)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mushrooms: A comparative study, J. Hazard. Mater., 168, 376-382 (2009). 

  13. P. Vasudevan, V. Padmavathy, and S. C. Dhingra, Kinetics of biosorption of cadmium on baker's yeast, Bioresour. Thechnol., 89, 281-287 (2003). 

  14. Y. Goksungur, S. Uren, and U. Guvenc, Biosorption of cadmium and lead ions by ethanol treated waste baker's yeast biomass, Bioresour. Thechnol., 96, 103-109 (2005). 

  15. L. S. Ferreira, M. S. Rodrigues, J. C. M. D. Carvalho, A. Lodi, E. Finocchio, P. Perego, and A. Converti, Adsorption of $Ni^{2+}$ , $Zn^{2+}$ , and $Pb^{2+}$ onto dry biomass of Arthrospira (Spirulina) platensis and Chlorella vulgaris. I. single metal systems, Chem. Eng. J., 173, 326-333 (2011). 

  16. D. Bulgariu and L. Bulgariu, Equilibrium and kinetics studies of heavy metal ions biosorption on green algae waste biomass, Bioresour. Technol., 103, 489-493 (2012). 

  17. P. Lodeiro, B. Cordero, J. L. Barriada, R. Herrero, and M. E. S. D. Vicente, Biosorption of cadmium by biomass of brown marine macroalgae, Bioresour. Technol., 96, 1796-1803 (2005). 

  18. U. Kumar and M. Bandyopadhay, Sorption of cadmium from aqueous solution using pretreated rice husk, Bioresour. Technol., 97, 104-109 (2006). 

  19. C. Jeon, Removal of copper ion using rice hulls, J. Ind. Eng. Chem., 17, 517-520 (2011). 

  20. S.-K. Park, H.-N. Kim, and Y.-K. Kim, Efficacy of Cu(II) adsorption by chemical modification of pine bark, J. Kor. Soc. Environ. Eng., 29(8), 930-937 (2007). 

  21. I. Gaballah, D. Goy, E. Allain, G. Kilbertus, and J. Thauront, Recovery of copper through decontamination of synthetic solutions using modified barks, Metall. Mater. Trans. B, 28, 13-23 (1997). 

  22. I. Gaballah and G. Kilbertus, Recovery of heavy metal ions through decontamination of synthetic solutions and industrial effluents using modified barks, J. Geochem. Explor., 62, 241-286 (1998). 

  23. T. G. Ammari, Utilization of a natural ecosystem bio-waste; leves of Arundo donax reed, as a raw material of low-cost eco-biosorbent for cadmium removal from aqueous phase, Ecol. Eng., 71, 466-473 (2014). 

  24. Y. H. Kim, J. Y. Park, Y. J. Yoo, and J. W. Kwak, Removal of lesd using xanthated marine brown alga, Undaria pinnatifida, Process Biochem., 34, 647-652 (1999). 

  25. S. H. Min, J. S. Han, E. W. Shin, and J. K. Park, Improvement of cadmium ion removal by base treatment of juniper fiber, Water Res., 38, 1289-1295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