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민 정보요구 범주화 연구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Citizens' Information Need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0 no.2, 2016년, pp.245 - 269  

이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김기영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박영숙 (느티나무도서관재단)

초록

본 연구는 시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마주하는 문제들을 그 탐색행위의 특성에 기반하여 범주화함으로써 시민들의 정보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보 서비스를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우선, 심층면담을 통해 시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직면한 문제에 대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키워드는 정보탐색행위의 특성에 따라 6가지 문제 영역(취미, 법률, 시사, 교육, 건강, 경제)으로 범주화하였으며, 범주화 결과의 타당성을 위해 설문을 통해 각 범주의 선호 정보원의 차이에 대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제 영역 간에 선호 정보원의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이를 통해 취미, 법률, 시사, 교육, 건강, 경제로 구분한 6가지 문제 영역 구분이 어느 정도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기존의 주제별 정보 서비스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을 제기하며, 문제 중심 정보 서비스로의 전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develop a categorization of citizens' information problems in their everyday lif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in their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for developing information services which support to solve the problems practically. First of all, we extracted keywords related to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시민 정보요구를 범주화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나? 본 연구는 시민 정보요구를 범주화하기 위해 우선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심층면담을 통해 추출된 정보 요구 영역을 최소한의 수로 범주화한 후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공공도서관의 6가지 목적은 무엇인가?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정보센터로서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정보요구를 충족시키며, 나아가 교육 및 학습 활동을 지원한다. 오늘날 공공도서관은 국제도서관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 IFLA)이 밝힌 공공도서관의 6가지 목적인 교육, 정보, 자기계발, 아동 및 청년, 문화, 사회적 역할에 따라, 정보제공, 교육 및 학습 지원, 독서진흥, 문화 활동 기회 증진이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Koontz and Gubbin 2010). 지식정보사회로 접어들면서 지식정보 기관으로서 도서관의 역할은 중요해지고 있으며, 정보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도 적극성이 요구 되고 있다.
심층면담을 통해 시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직면한 문제에 대한 핵심 키워드 6가지는? 추출된 키워드는 정보탐색행위의 특성에 따라 6가지 문제 영역(취미, 법률, 시사, 교육, 건강, 경제)으로 범주화하였으며, 범주화 결과의 타당성을 위해 설문을 통해 각 범주의 선호 정보원의 차이에 대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제 영역 간에 선호 정보원의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이를 통해 취미, 법률, 시사, 교육, 건강, 경제로 구분한 6가지 문제 영역 구분이 어느 정도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기존의 주제별 정보 서비스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을 제기하며, 문제 중심 정보 서비스로의 전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국립국어원. 2015. 국립국어원 표준어대사전. 서울: 국립국어원. [online] [cited 2016. 4. 29.]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15.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Seoul: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online] [cited 2016. 4. 29.] ) 

  2. 권나현. 2015. 공공도서관 서비스 성과 평가: 일상생활에서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혜택에 대한 전국 성인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2): 169-194. (Kwon, Nahyun. 2015. "A National Study of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y Services: Measuring the Perceived Benefits of Public Library Services among Korean Adult Library Us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2): 169-194.) 

  3. 김용근. 2008. 공공도서관 웹사이트에 나타난 이용자들의 정보요구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355-373. (Kim, Yong-Gun. 2008. "Analysis of User's Information Needs in Public Libraries based on Websit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2): 355-373.) 

  4.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발전종합계획 2014-2018.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4. The Secon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2014-2018. Seoul: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5. 이제환, 구정화. 1999. 수요자 중심의 '정보요구' 분석을 위한 실험적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2): 93-121. (Lee, Jae-Whoan and Koo, Joung-Hwa. 1999. "An Experimental Model for 'Information Needs Assessment': From the User's Perspectiv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0(2): 93-121.) 

  6. 이진경, 이지연. 2011. 이용자 장서이용행태 분석을 통한 공공도서관의 장서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151-171. (Lee, Adrianne and Lee, Jee-Yeon. 2011. "A Study of Collection Development by Analyzing Users' Collection-Use Behaviors in Public Libraries." The Journal of Korean Biblio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3): 151-171.) 

  7. Belkin, N. J., Oddy, R. N. and Brooks, H. M. 1982a. "Ask for Information Retrieval: Part I. Background and Theory." Journal of Documentation, 38(2): 61-71. 

  8. Belkin, N. J., Oddy, R. N. and Brooks, H. M. 1982b. "Ask for Information Retrieval: Part II. Results of a Design Study." Journal of Documentation, 38(3): 145-164. 

  9. Case, D. O. 2012. Looking for Information: A Survey of Research on Information Seeking, Needs, and Behavior. 3rd ed. Bingley, WY: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10. Creswell, J. W. 2009.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1. Dervin, B. and Nilan, M. 1986. "Information Needs and Uses." Annual Review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1: 3-33. 

  12. Fontana, A. and James H. F. 2000. "The Interview: From Structured Questions to Negotiated Text." In Norman K. D. and Yvonna S. L. ed.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645-672. 

  13. Gill, P. 2001. The Public Library Service: The IFLA/UNESCO Guidelines for Development. Munchen: K. G. Saur. 

  14. Johnson, J. D. et al. 2006. "Fields and Pathways: Contrasting or Complementary View of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26(2): 569-582. 

  15. Koontz, C. and Gubbin, B. 2010. IFLA Public Library Service Guidelines. 2nd ed. Berlin: De Gruyter Saur. [online] [cited 2016. 4. 17.] 

  16. Taylor, R. S. 1968. "Question-Negotiation and Information Seeking in Libraries." College & Research Libraries, 29(3): 178-194. 

  17. Savolainen, R. 1995. "Everyday Life Information Seeking: Approaching Information Seeking in the Context of Way of Lif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7(3): 259-94. 

  18. Savolainen, R. 2008. "Source Preferences in the Context of Seeking Problem-Specific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44(1): 274-293. 

  19. Savolainen, R. and Kari, J. 2004. "Placing the Internet in Information Source Horizons: A Study of Information Seeking by Internet Users in the Context of Self-Development."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6(4): 415-433. 

  20. Sonnenwald, D. H., Wildemuth, B. M. and Harmon, G. T. 2001. "A Research Method to Investigate Information Seeking Using the Concept of Information Horizons: An Example from a Study of Lower Socio-Economic Student'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The New Review of Information Behavior Research, 2: 65-86. 

  21. Warner, E. S., Murray, A. D. and Palmour, V. E. 1973. Information Needs of Urban Residents.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Office of Education and Bureau of Libraries and Learning Resource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