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딕소설 속에 나타난 숭고미의 표현 - 윌리엄 포크너의 『에밀리를 위한 장미』를 중심으로
The Expression of Sublime in Gothic Novel - William Faulkner's A Rose for Emil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5, 2016년, pp.137 - 145  

류다영 (중원대학교 교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는 무엇인가를 보고 아름답다고 말하는 것은 익숙하지만 숭고하다는 표현은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 사실 아름답다는 것과 숭고하다는 것은 다른 의미이며 숭고의 대상은 따로 존재한다. 숭고론은 롱기누스를 시작으로 버크, 칸트에 이르기 까지 개념과 대상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이들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는 공포의 대상으로부터 숭고미를 느낄 수 있는데 그것은 공포감 속에 숭고함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딕소설로 분류되는 "에밀리를 위한 장미"에 표현된 숭고미를 고찰해보았다. 작품 속에 묘사된 에밀리의 칙칙한 철회색 머리카락과 붉은 피를 상징하는 빨간 장미, 그리고 그녀의 검은 옷은 어둡고 엄숙한 분위기의 숭고미를 표현하며, 떠난 호머를 기다리고 그리워하는 에밀리의 모습, 마지막으로 숨진 채 누워있는 호머의 모습 자체는 공포의 분위기를 일으킴과 동시에 비극적 숭고함을 보여준다. 고딕소설 뿐 아니라 모든 문학 장르에서 숭고함의 표현은 찾아볼 수 있으므로, 앞으로 여러 문학 분야에서 숭고미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이루어질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re accustomed to using the word 'beautiful' when we see something, but we don't use the word 'sublime' very often. In fact, these two words have totally different meanings and we can say 'sublime' only for special objects. The notions and objects of sublime have been studied by numerous philos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 작품은 단순한 공포 이야기 그 이상이고, 공포와 사랑이 맞물려 나타나며 결국에는 숭고의 경지까지 이르게 되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선 숭고에 대한 개념에 대해서 정확하게 파악한 뒤, 이 개념을 바탕으로 『에밀리를 위한 장미』에서 숭고미가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 하지만 숭고론이 본격적인 담론으로 부상하기 시작한 1990년대 이후로 아직까지 숭고에 대한 문학적 논의는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숭고미가 문학작품을 새롭게 조명하는 하나의 해석틀일 될 수 있다는 제시를 함과 동시에 고딕소설에서 숭고미를 찾아볼 수 있음을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논의하였다. 작품에 나타난 숭고미를 분석하기 전에 숭고미의 개념에 대해서 정리하였는데, 숭고미의 개념에 대해서는 롱기누스, 버크, 칸트가 말하는 숭고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하지만 이렇게 공포스러운 상황과 기이한 사랑 관계에서도 숭고함이 깃들어 있다. 이에 다른 소설에서 찾아볼 수 없는 기이하고 특이한 사랑에 관한 『에밀리를 위한 장미』에서 숭고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설 <에밀리를 위한 장미>에 관한 초기 비평가들의 견해는 왜 작품을 단순화한 해석이 많았는가? 그의 작품 중 『에밀리를 위한 장미』에 대한 초기 비평가들의 견해는 공포나, 탐정 이야기, 고딕소설 등으로 단순화시킨 해석이 지배적이었다. 에밀리가 저지른 살인과 시체성애(necrophilia)의 장면이 너무나 충격적이어서 이 부분에만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작품은 단순한 공포 이야기 그 이상이고, 공포와 사랑이 맞물려 나타나며 결국에는 숭고의 경지까지 이르게 되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롱기누스에 의하면 숭고란 무엇인가? 숭고론이 독립적인 개념을 가지게 된 것은 롱기누스(Cassius Longinus, 217-273)에 의해서인데 그에 따르면 숭고는 ‘매우 고매한 진실이 전달되는 정신’이다[1]. 이후 숭고는 서구미학의 한 부분으로 오랫동안 종속되었는데, 근대의 사상가 에드먼드 버크(Edmund Burke, 1729- 1797)에 의해 개념이 좀 더 명료해졌다.
윌리엄 포크너의 작품은 어떻게 평가받고 있는가? 기이하고 공포스러운 감정과 상황 속에서 숭고미와 감정을 찾아 볼 수 있는 짧지만 강렬한 작품으로 윌리엄 포크너(William Faulkner, 1897-1962)의 『에밀리를 위한 장미』(A Rose for Emily)[3]을 들 수 있다. 윌리엄 포크너는 남부와 남북전쟁 전후라는 공간적이고 시간적인 배경을 넘어서 인간의 보편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다고 인정받아왔는데, 이러한 평가는 포크너 작품의 주제가 현존과 부재, 시간, 삶과 죽음, 개인과 사회, 인간 소외, 정체성 탐구, 성과 인종 문제와 같이 인간이 직면할 수 있는 모든 실존적 문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작품 중 『에밀리를 위한 장미』에 대한 초기 비평가들의 견해는 공포나, 탐정 이야기, 고딕소설 등으로 단순화시킨 해석이 지배적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assius Longinus.(translated by Myung Bok, Kim) On the Sublime. Yonsei University Press, 2002. 

  2. Me Ryong Choi. "A Study of Sublime in works of Bill Viola", Cultural Contents Studies, Vol.- No.5, pp.7-44, 2015. 

  3. William Faulkner. A Rose for Emily. Tale Blazers, 2007. 

  4.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 Grand Dictionary of the Korean Language. Eomungak, 1992. 

  5. Ji Yeon Park. "The Concept of 'the Sublime' in Kant and its adaptation in art", Mater D.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ogang University, 2001. 

  6. Sang Bong Kim. "Der Begriff des Erhabenen bei Longinus", The Journal of Greco-Roman Studies, Vol.9 No.-, pp.201-228, 1995. 

  7. Edmund Burke. A Philosophical E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8. Immanuel Kant. Critique of Judg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9. Yuan Zhao Gong. "A Research on the Pleasure of Horror Movies", Master D.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2010. 

  10. Jae Bok Lee. "The Sublime in Park Kyoung-Ni's Toji",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59, pp.363-396, 2013. 

  11. Yun Seung Lee. "A Study on the Sublime of aesthetics on the Yu-Chi Hwan's poetry", The Studies o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Vol.56 No.-, pp.235-263, 2013. 

  12. Jeom Yong Kim. " Sublime in Yi Yook Sa's Poems", The Korean Poetics Studies Association 10, pp.1-14, 2006. 

  13. Dae Joong Kim. "Understanding of the Satan's Sublimity Revealed in Milton's Paradise Lost", The Journal of English Cultural Studies, Vol.3 No.2, pp.267-294, 2010. 

  14. Ah Reum Joo. "Edgar Allan Poe: Sublime and Otherness", Masters D.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5. 

  15. Sang Seop Lee. A Dictionary of Literary Criticism. Minumsa, 1995. 

  16. Yong Hwan Han. Dictionary of Novels. Moonye Publishing, 1999. 

  17. Gwang Yo Kim, Jin Gwon Park, Seong Geun Hwang, Yong Sang Ryu, Jong Dae Kim. Drama Dictionary. Moonyelim, 2010. 

  18. Young Long Kim. "Analysis of the Horror Novels: Factors that Cause Fear", Masters D.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Inha University, 2012. 

  19. Jong Moon Lee. "An Initiation into the Yoknapatawpha World A Study of A Rose for Emily", American Cultural Studies, Vol.6 No.2, pp.263-285, 2006. 

  20. Soo Yong Kim. The aesthetics of beauty and essay on art of sublime. Akanet, 2009. 

  21. Chan Haeng Lee. "A Study on 'sublimity' of Lee Dong-Ju's Poetry", Masters D.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Myongji University, 2012. 

  22. Terry Egleton(translated by Daewon Bang). Aesthetic Ideology. Hansin Munhwasa, 1994. 

  23. Jerome Schiller. "An Alterantive to 'Aesthetic Disinterestedness'".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Vol.22 No.3, pp.295-302, 1964. DOI: http://dx.doi.org/10.2307/427233 

  24. Seong Chan Ahn. Aesthetics of the Sublime. Euro Publication, 2004. 

  25. Jean Francois Lyotard(translated by Hyunbok Lee). The Postmodern Condition. Seogwang-sa,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