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전원과 자원 = Rural resource, v.58 no.2, 2016년, pp.2 - 10
초록이 없습니다.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유역관리란? | 유역관리는 “유역내의 물, 토지피복, 식생, 기타 자연자원의 균형적인 이용과 보전을 통해 자원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통합적이고 반복적인 의사결정 절차 및 활동방법”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하천은 유역관리의 주요 관심사로 유역생태계의 구성요소이며, 토지이용 및 식생 등 생태적 연결고리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유역 구성요소간의 통합적인 구조에서 유역관리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전병성, 2003). | |
유역건전성 평가에 이용되는 필수적인 기본요소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는 유역건전성 체계를 “수문, 수질, 토지이용, 수생태, 생물학적 조건 등의 주요 특성에 대하여 동적으로 발생하는 상호작용의 평가를 통해 이해될 수 있는 통합시스템”으로 정의하고 있다. 특히, 유역건전성 평가에 이용되는 필수적인 기본요소들을 landscape, geomorphology, hydrology, water quality, habitat, biological condition의 6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PA(2012)의 유역건전성 분석 사례를 개선하여 우리나라에 유역특성에 맞는 통합 유역건전성 평가기법을 개발하였다. | |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서 생물지수 기준값들은 어떻게 정규화하였는가? | 각 생물지수는 4단계(최상, 양호, 보통, 불량)의 등급범위를 가지며, 본 연구에서는 환경상태 “보통”을 기준조건으로 설정하였다. TDI, BMI, FAI의 기준조건에 대한 해당 표준유역별 관측하여 계산된 TDI, BMI, FAI의 값을 정규화 하였다. 그림 6은 수생태(biological condition)관련 평가요소에 대한 유역건전성지수를 계산한 결과이다. |
U.S. EPA, 2012, Identifying and Protecting Healthy Watersheds: Concepts, Assessments, and Management Approaches. EPA 841-B-11-002.
전병성, 2003, 한강유역관리시스템의 도입과 추진 현황, 환경정보지, 25(5). p.10-16.
환경부,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VI) - 총괄-. 국립환경과학원 연구보고서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http://water.nier.go.kr/)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