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용 위험기계·기구 의무 및 임의 안전인증의 효과 및 균형
Effectiveness and Balance of Compulsory and Voluntary Safety Certification of Industrial Machines and Device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1 no.1, 2016년, pp.7 - 12  

최기흥 (한성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irst focuses o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both compulsory and voluntary safety certification of industrial machines and devices. Based on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effectiveness of those safety certifications were confirmed. In order to reduce both the frequency and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우선 산업용 위험기계⋅기구의 의무 안전인증과 S마크 안전인증과 같은 임의 안전인증의 효과를 객관적 자료에 기초하여 검토한다. 또한, 우리나라에 비해 임의 안전인증이 활성화되어 있는 유럽내 임의 안전인증의 주요 이해당사자(Stakeholder)가 요구하는 미래 임의 안전인증의 성공요인을 제시한다. 이를 토대로 임의 안전인증의 개념 재정립을 제안하고 의무 안전인증과 임의 안전인증 간 균형있는 관계와 역할을 논의한다.
  • 본 논문에서는 산업용 위험기계⋅기구의 의무 안전인증과 S마크 안전인증과 같은 임의 안전인증의 실효성을 객관적인 재해통계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우선 산업용 위험기계⋅기구의 의무 안전인증과 S마크 안전인증과 같은 임의 안전인증의 효과를 객관적 자료에 기초하여 검토한다.
  • 우리나라에 비해 임의 안전인증이 활성화되어 있는 유럽 내 임의 안전인증의 주요 이해당사자가 요구하는 미래 임의 안전인증의 성공요인을 토대로 의무 안전인증과 임의 안전인증 간 균형있는 관계와 역할을 논의하였다. S마크 안전인증과 같은 임의 안전인증의 제도적 개선방안으로 현재 임의 안전인증이 의무 안전인증의 하위개념으로 인식되고 적용 인증기준의 범위가 좁고 강도가 낮은 점을 고려하여 임의 안전인증이 의무 안전인증을 포괄하는 상위개념으로 전환하고 적용 인증기준의 범위 및 강도를 상향조정해야 한다.
  • 또한, 우리나라에 비해 임의 안전인증이 활성화되어 있는 유럽내 임의 안전인증의 주요 이해당사자(Stakeholder)가 요구하는 미래 임의 안전인증의 성공요인을 제시한다. 이를 토대로 임의 안전인증의 개념 재정립을 제안하고 의무 안전인증과 임의 안전인증 간 균형있는 관계와 역할을 논의한다. 특히, 높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안전보건법 또는 타법에 의한 의무 안전인증에서 제외된 다양한 위험기계⋅기구에 대한 임의 안전인증의 적용 및 인증기준 강화의 필요성 등도 논의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용 위험기계⋅기구를 위한 안전인증은 크게 어떠한 종류가 있습니까? 마찬가지로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위험도가 높은 위험기계⋅기구의 경우 사용자(대부분 근로자 또는 작업자)의 안전과 직결된 요소인 안전인증 제도의 효과 점검과 개선방안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산업용 위험기계⋅기구를 위한 안전인증은 크게 보아 의무 안전인증(이하 자율안전확인 포함)과 S마크 안전인증과 같은 임의 안전인증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G. H. Choi, "Enhancement of Safety Certification of Industrial Machines and De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28, No.6 pp.1-6, 2013. 

  2. G. H. Choi, "Enhancement of S-Mark Safety Certification", Research Repor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015. 

  3. Consumer Research Associate Ltd, "Certification and Marks in Europe", 2009. 

  4. G. H. Choi, "Balance and Effectiveness of Direct Regulations on Manufacturers and Users of Industrial Machin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30, No.1 pp.1-7, 2015. 

  5. G. H. Choi, "Effectiveness of Direct Safety Regulations on Manufacturers and Users of Industrial Machines: Its Implications on Industrial Safety Policies in Korea" for Publication in", Safety Science (In Review) 2015. 

  6. J. Y. Lee, G. H. Choi and J. C. Kim, "A Study on Risk Assessment of Industrial Machines" Research Repor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