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기 부모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양육효능감의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n the Actor and Partner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on the Parenting Stress of Parents with Infant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3, 2016년, pp.1 - 19  

김민정 (가천대학교 세살마을연구원) ,  이방실 (오산대학교 아동보육과) ,  정미라 (가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measured at 6 months of infancy, and on parenting stress at 9-months of infancy through a short-term longitudinal approach. Participants were 116 couple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whose first born children were in inf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6개월 시점에 측정된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9개월 시점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자기효과 및 상대방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초기 양육 효능감이 갖는 양육스트레스를 가족체계 내에서 이해하고, 추후 출산 후 영아를 양육하는 부모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12개월 미만인 6개월과 9개월에 각각 측정된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를 통해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검증하는 한편, 단기종단적으로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양육효능감의 영향력을 살펴본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공동양육자로서 부모는 자신의 부모역할에 따른 양육효능감을 높일 때 양육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으며 이는 추후 긍정적인 양육태도와 양육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APIM모형을 활용하여 12개월 미만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 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검증하였다. 상호의존성이 높은 부부의 양육변인을 개인 내와 개인 간 차원으로 분석하여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 간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쌍방향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활용하고자 한다. 본래 APIM모형은 부모 쌍을 분석의 단위로 쓰는 다면적 가족 체계 접근으로서(Fincham & Beach, 2010) 아버지와 어머니 간 상호 영향력을 검증하기에 적합하다.
  • APIM모형에서 자기효과(actor-effect)는 부부 자신의 양육효능감이나 양육스트레스가 스스로에게 주는 영향을 의미하며, 상대방효과(partner-effect)는 부부의 양육효능감이나 양육스트레스가 상대방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한다. 초기 영아기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양육스트레스가 낮은 시기인(이희정, 2014) 6개월 시점의 양육효능감이 이후 9개월 시점의 양육스트레스를 예측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설문 실시 전에 부모에게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경우에만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고, 설문지 응답에는 15분 정도 소요되었다. 각 시점마다 설문지는 각 가정으로 회수용 봉투를 동봉하여 우편 발송하고 일주일 간 작성기간을 두고 우편으로 회수하거나, 연구원이 직접 가정을 방문하여 수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걸음마기 이전 부모의 스트레스에 대한 지원과 개입이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이유는? , 2002). 일반적으로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출생 직후 상대적으로 높으며(Crnic & Booth, 1991; Mulsow et al., 2002), 자녀가 걸음마기에서 유아기로 성장하면서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Williford, Calkins, & Keane, 2007). 따라서 자녀의 발달단계에서 양육스트레스를 상대적으로 높게 경험하는 걸음마기 이전 부모의 스트레스에 대한 지원과 개입이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양육스트레스란? 자녀양육과 관련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효능감을 높이고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켰다는 주장(Gross, Fogg, & Tucker, 1995)과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가 교류적 관계에 있다는 주장(Scheel & Rieckmann, 1998)에 기초해 볼 때 이들 간의 관계에 대한 단기종단적 탐색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양육효능감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양육스트레스는 양육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부모에게 발생하는 특정한 스트레스를 의미한다(Coplan, Bowker, & Cooper, 2003; Deater-Deckard, 1998).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부정적인 양육행동 및 양육태도와 관련이 높고(이인학, 박지은, 최성열, 2010; Belsky, Woodworth & Crnic, 1996) 자녀의 문제행동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져 (정윤주, 김윤주, 2014; Crnic, Gaze, & Hoffman, 2005; Kazdin & Whitley, 2003) 자녀발달과 관련 깊은 변인으로 알려져 있다.
자녀양육에 관하여 과거와 달리 현대에서의 특징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는 양육 과정에서 어머니들만큼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최근 양육참여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격차가 줄어들고 있다(Amato, Meyers, & Emery, 2009; Lamb, 2010; Woodworth, Belsky, & Crnic, 1996). 자녀양육의 역할이 어머니에 집중되어 있었던 과거와는 달리현대에는 자녀양육을 부부 공동의 일로서 이해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가족 체계 접근에서는 가족을 복합적이고 통합된 전체로 보고 있기 때문에 부부는 필연적으로 상호의존적일 수밖에 없다(Cox & Paley,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6)

  1. 강수경, 정미라, 김민정 (2015).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부모역할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열린유아교육연구, 20(4), 271-291. 

  2. 곽금주, 성현란, 장유경, 심희옥, 이지연 (2005). 한국영아발달연구. 서울: 학지사. 

  3. 권정윤, 정미라, 박수경, 이방실 (2013). 만 2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영육아보육학, 77, 179-201. 

  4. 김근혜, 김혜순 (2013). 만 5세 자녀를 둔 부모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22(4), 111-129. 

  5. 김낙흥, 백인경 (2015).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유아 교육기관 생활적응, 사회적 능력,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9(1), 365-384. 

  6. 김미옥 (2007). 영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관한 단기 종단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정원, 장석경 (2010).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자녀가 인식한 아버지양육참여에 대한 이미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4(3), 29-48. 

  8. 노성향 (2014). 아버지의 자기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4(3), 45-59. 

  9. 류기자, 김영주, 송연숙 (2009). 보육시설 영아반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양육 효능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5(1), 1-23. 

  10. 박미숙 (2012).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유아교육기관만족도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서영민 (2014). 부 양육참여와 모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 미치는 모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의 조절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서주현, 김진경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 73, 101-121. 

  13. 성수현 (1996).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와 아동의 성취동기와의 관계. 아동교육, 5(2), 54-72. 

  14. 손수민 (2010). 영아기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가정 및 사회적 지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14(4), 267-288. 

  15. 손원혁 (2016. 4. 6). [일사일언] 남편들의 육아수다. 조선일보, p. A21. 

  16. 송미혜 (2006).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신숙재 (1997).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 효능감이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 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안지연 (1999). 아동의 정서인식능력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략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안지영 (2000).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양진희 (2009). 유치원의 아버지 참여프로그램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역할수행 및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0(6), 417-442. 

  21. 연은모, 최효식 (2015). 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정서적 자녀가치,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 간관계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90, 79-108. 

  22. 연은모, 최효식, 윤해옥 (2015).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유아교육연구, 35(3), 171-195. 

  23. 오미연 (2005).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양육지식 및 민감성의 비교연구-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경옥 (2008). 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및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수미, 민하영 (2007). 유아의 기질 및 아버지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219-225. 

  26. 이순응 (2010). 취업모의 취업관련 특성, 남편의 양육참여, 부모-교사 협력행동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영환 (2008).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부모 공동양육의 관점에서. 아동과 권리, 12(2), 189-210. 

  28. 이윤정 (2014). 아동 기질과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취업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85, 117-136. 

  29. 이인정 (2015). 남편의 양육참여가 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46(1), 343-370. 

  30. 이인정, 김미영 (2014).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5(3), 127-149. 

  31. 이인학, 박지은, 최성열 (2010). 영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19(4), 81-91. 

  32. 이진희 (2011). 취업모의 직업만족도,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희정 (201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종단적 변화와 예측 변인.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3(2), 87-115. 

  34. 정미라, 김민정, 이방실 (2015). 어머니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행동 간의 관계: 부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355-373. 

  35. 정옥분 (2012). 영아발달, 서울: 학지사. 

  36. 정윤주, 김윤주 (2014). NLP 상담 프로그램이 유아기 및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2). 485-511. 

  37. 정인영 (2008). 영아에 대한 어머니 민감성이 영아-어머니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정혜인 (2003). 어머니의 양육 신념 및 양육 효능감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조준오, 탁정화 (2015). 유아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기능성, 어머니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4), 443-468. 

  40. 최정신 (2009). 육아가치관, 부부관계만족도가 36개월 미만의 첫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5), 13-24. 

  41. 최항준, 조수경 (2015).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심리특성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아버지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효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2), 8157-8164. 

  42. 최항준, 조수경, 김미정 (2015).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특성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어머니 심리특성을 매개효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383-402. 

  43. 최효식, 연은모 (2014). 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심리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긍정적 양육태도 간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6), 5-30. 

  44. 한누리, 문혁준 (2014). 유아의 문제행동, 아버지의 양육참여, 가정환경이 유아의 학습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9(3), 25-49. 

  45. 한유미 (2003). 어머니의 사회성 양육 효능감 지각과 귀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51-59. 

  46.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47. Abidin, R. P. (1990). Parenting stress index. Charlottesville, Virginia: Pediatric Psychology Press. 

  48. Allen, S. M., & Hawkins, A. J. (1999). Maternal Gatekeeping: Mothers' beliefs and behaviors that inhibit greater father involvement in family work.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1(1), 199-212. 

  49. Amato, P. R., Meyers, C. E., & Emery, R. E. (2009). Changes in nonresident father-child contact from 1976 to 2002. Family Relations, 58(1), 41-53. 

  50.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51. Belsky, J., Gilstrap, B., & Rovine, M. (1984). The Pennsylvania infant and Family Development Project, I: Stability and change in mother-infant and father-infant interaction in a family setting at one, three, and nine months. Child Development, 55(3), 692-705. 

  52. Belsky, J., Woodworth, S., & Crnic, K. (1996). Trouble in the second year: Three questions about family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67(2), 556-578. 

  53. Cook, W. L., & Kenny, D. A. (2005).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 model of bidirectional effects in developmental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9(2), 101-109. 

  54. Coleman, P. K., & Karraker, K. H. (1997).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18(1), 47-85. 

  55. Coplan, R. J., Bowker, A., & Cooper, S. M. (2003). Parenting daily hassles, child temperament, and social adjustment in pre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8(3), 376-395. 

  56. Cox, M. J., & Paley, B. (1997). Families as system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8(1), 243-267. 

  57. Crnic, K. A., & Booth, C. L. (1991).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daily hassles of parenting across early child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4), 1042-1050. 

  58. Crnic, K., Gaze, C., & Hoffman, C. (2005). Cumulative parenting stress across the preschool period:Relations to maternal parenting and child behavior at age 5.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2), 117-132. 

  59.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60. Cummings, M. E., Goeke-Morey, M. C., & Raymond, J. (2004). Fathers in family context: Effects of marital quality and marital conflict. In M. E. Lamb (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4th ed, pp. 196-221). Hoboken, NJ: John Wiley. 

  61. Deater-Deckard, K. (1998). Parenting stress and child adjustment: Some old hypotheses and new questions.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5(3), 314-332. 

  62. Fincham, F. D., & Beach, S. R. (2010). Marriage in the new millennium: A decade in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72(3), 630-649. 

  63. Floyd, F., Gilliom, L. A., & Costigan, C. L. (1998). Marriage and the parenting alliance; Longitudinal prediction of change in parenting perceptions an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69(5), 1461-1479. 

  64. Gross, D., Fogg, L,. & Tucker, S. (1995). The efficacy of parent training for promoting positive parent-toddler relationship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8(6), 489-499. 

  65.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 (1992).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 (3nd ed.).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66. Hoyle, R. H., & Panter, A. T. (1995). Writing about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R. H. Hoyle (Ed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158-176). Newbury Park, CA: Sage. 

  67. Hu, L.,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68. Jackson, A. P. (1998).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parenting for low-income, single, black mothers. Social Service Review, 72(3), 365-378. 

  69. Johnston, C., & Mash, E. J. (1989).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2), 167-175. 

  70. Jones, T. L., & Prinz, R. J. (2005). Potential roles of parental self-efficacy in parent and child adjustment: A review. Clinical Psycolocy Review, 25(3), 341-363. 

  71. Junttila, N., Aromaa, M., Rautava, P., Piha, J., & Raiha, H. (2015). Measuring multidimensional parental self-efficacy of mothers and fathers of children ages 1.5 and 3 Years. Family Relations, 64(5), 665-680. 

  72. Kazdin, A. E., & Whitley, M. K. (2003). Treatment of parental stress to enhance therapeutic change among children referred for aggressive and antisocial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1(3), 504-515. 

  73. Kitzman-Ulrich, H., Wilson, D. K., George, S. M. S., Lawman, H., Segal, M., & Fairchild, A. (2010). The integration of a family systems approach for understanding youth obesity,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programs.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13(3), 231-253. 

  74. La Rossa, R. (1997). The modernization of fatherhood: A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5. Lamb, M. E. (2010).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5th ed). Hoboken, NJ: Wiley. 

  76. Mondell, S., & Tyler, F. B. (1981). Parental competence and styles of problem-solving play behavior with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17(1), 73-78. 

  77. Mulsow, M., Caldera, Y. M., Pursley, M., Reifman, A., & Huston, A. C. (2002). Multilevel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stress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4(4), 944-956. 

  78. Murkoff, H., Eisenberg, A., & Hathaway, S. (2009). What to expect the first year. NY: Workman Publishing. 

  79. Ponnet, K., Mortelmans, D., Wouters, E., Van Leeuwen, K., Bastaits, K., & Pasteels, I. (2013).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relationship as determinants of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Personal Relationships, 20(2), 259-276. 

  80. Sander, L. W. (1964). Adaptive relationships in early mother-child intera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Psychiatry, 3(2), 231-264. 

  81. Scheel, M. J., & Rieckmann, T. (1998). An empirically derived description of self-efficacy and empowerment for parents of children identified as psychologically disordered.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6(1), 15-27. 

  82.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83. Williford, A. P., Calkins, S. D., & Keane, S. P. (2007). Predicting change in parenting stress across early childhood: child and maternal factor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5(2), 251-263. 

  84. Woodworth, S., Belsky, J., & Crnic, K. (1996). The determinants of fathering during the child's second and third years of life: A developmental 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8(3), 679-692. 

  85. Zero-to-three (2008). Your baby's development(3 to 6 months). Retrieved October 15, 2013 from http://main.zerotothree.org/site/DocServer/3-6Handout.pdf?docID6041 

  86. Zero-to-three (2008). Your baby's development(9 to 12 months). Retrieved October 15, 2013 http://main.zerotothree.org/site/DocServer/9-12Handout.pdf?docID606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