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유아용 Burks 행동평정척도(K-BBRS-2) 타당화를 위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Validation Study on the K-BBRS-2 for Young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3, 2016년, pp.159 - 176  

이경옥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오새니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심혜진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이상희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itial information about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BRS-2(Burks Behaviors Rating Scales, Second Edition). Data were collected for 217 children aged 3-5. K-BBRS-2 consists of a total of 93 questions in 7 factors. The result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Burks 행동평정척도 2판(BBRS-2)의 한국형 표준화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로 BBRS-2가 한국의 유아를 대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척도인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아동․청소년기 부적응행동과 관련한 지적문제척도의 학업문제 구성요소 문항 전체와 신체문제척도의 협응문제 구성요소 1문항을 제외하여 7개 척도와 18개 구성요소로 구성된 유아용 Burks 행동평정척도 2판(BBRS-2)을 번안하여 한국 유아를 대상으로 부적응 행동을 진단함으로서 문항의 적절성과 유아 부적응행동 특성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Burks 행동평정척도 2판(BBRS-2)이 한국 유아를 대상으로 부적응행동을 진단하고 유아기 부적응행동의 양상을 이해하는데 적절한 도구인지 검토하기 위하여 K-BBRS-2를 개발하여 문항의 적절성과 유아 부적응행동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된 예비연구이다. 이에 만 3-5세 유아 217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고 연령과 성별에 따른 한국 유아의 부적응행동 특성을 살펴보았다.
  • 즉 K-BBRS-2로 측정된 유아의 부적응행동 특성을 통해 각 척도의 구성요소가 강력하게 서로 관련되어 있음과 동시에 서로 독립적인 척도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Burks & Gruber, 2013).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원도구에서 제시한 7요인 모델이 통계적으로 K-BBRS-2에 적절한지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넷째, K-BBRS-2로 측정한 한국 유아의 부적응행동 특성을 살펴본 결과, 연령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성별에 따라서는 남아가 여아보다 더 많은 부적응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국 BBRS-2 표준화 연구에서 제시한 취학 전 아동의 연령(만 4-6세)을 만 3-5세로 확대하여 연령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만 3세 유아를 포함시킨 이유는우리나라의 유치원 입학 기준 연령이 만 3세인 점과 영아기를 만 0-2세, 유아기를 만 3-5세로 구분한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 본 연구는 한국 유아용 K-BBRS-2의 표준화 연구를 위한 예비연구로 번안한 문항의 적절성을 살펴보았다. 한국 유아용 K-BBRS-2의 신뢰도 및 타당도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 유아의 부적응행동을 측정하는데 적절한 도구로 유아의 부적응행동 특성과 정도를 평가하는데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평가되었다.
  • 본 연구는 Burks 행동평정척도 2판(BBRS-2)이 한국 유아를 대상으로 부적응행동을 진단하고 유아기 부적응행동의 양상을 이해하는데 적절한 도구인지 검토하기 위하여 K-BBRS-2를 개발하여 문항의 적절성과 유아 부적응행동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된 예비연구이다. 이에 만 3-5세 유아 217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고 연령과 성별에 따른 한국 유아의 부적응행동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이를 위하여 아동․청소년기 부적응행동과 관련한 지적문제척도의 학업문제 구성요소 문항 전체와 신체문제척도의 협응문제 구성요소 1문항을 제외하여 7개 척도와 18개 구성요소로 구성된 유아용 Burks 행동평정척도 2판(BBRS-2)을 번안하여 한국 유아를 대상으로 부적응 행동을 진단함으로서 문항의 적절성과 유아 부적응행동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BBRS-2의 문항 적절성과 유아 부적응행동 특성을 보다 구조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내적합치도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은 18개의 구성요소를 7개의 척도로 구분하는 것이 적절한가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이론에 근거하여 유아기 부적응행동에 대한 다양한 모형을 설정하고 비교하여 K-BBRS-2의 특성에 가장 부합하는 모형을 도출하고자 실시하였다.
  • K-BBRS-2와 같이 유아의 행동을 측정하는 도구는 임상에서 집단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유아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점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연령, 성별에 따라 K-BBRS-2로 측정한 유아의 부적응행동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 부적응행동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유아기에 나타나는 부적응행동은 공격적인 행동, 거친 언어, 훼손, 방해, 소리 지르기, 괴롭히기 등과 같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고 교실운영에 어려움을 주는 행동과 산만함, 집단 활동 불참, 이해력과 표현력 부족, 감정조절 부족 등과 같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유아 자신의 성장발달을 방해하는 행동이 있다(김태인, 2007; 신혜원, 송혜린 2014; 염선희, 2015).대체로 유아기 부적응행동은 유아가 각 상황에서 기대되는 행동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기대되는 행동을 이해하더라도 행동을 조절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신혜원, 송혜린, 2014).
유아기 시절 유아에게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 시기 대부분의 유아는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의 한 구성원으로서 다른 사람과 조화를 이루고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건강하게 성장해 나간다. 반면, 일부 유아는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개인적 및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부적응을 보이기도 한다.유아기에 나타나는 부적응행동은 공격적인 행동, 거친 언어, 훼손, 방해, 소리 지르기, 괴롭히기 등과 같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고 교실운영에 어려움을 주는 행동과 산만함, 집단 활동 불참, 이해력과 표현력 부족, 감정조절 부족 등과 같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유아 자신의 성장발달을 방해하는 행동이 있다(김태인, 2007; 신혜원, 송혜린 2014; 염선희, 2015).
유아기란? 유아기는 영아기에 비해 대인관계의 폭이 넓어지고 다양해지는 시기이다. 이 시기 대부분의 유아는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의 한 구성원으로서 다른 사람과 조화를 이루고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건강하게 성장해 나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고윤주, 김영신, 노주선 (2000). 학령기 아동의 행동문제, 또래의 수용, 친구의 지원과 사회적 자신감간의 구조 모델. 한국심리학회: 발달, 13(2), 65-78. 

  2. 고인숙, 이정숙 (2008).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정서지능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3(1), 93-111. 

  3. 고현 (2008). 3-5세 유아용 문제행동 평정척도 개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4), 121-152. 

  4. 권화숙 (2014).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6), 185-200. 

  5. 김영아, 이진, 김유진, 김민영, 오경자 (2011). 미국형 유아행동평가 척도 교사용(C-TRF)의 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발달, 24(2), 65-86. 

  6. 김영아, 이진, 문수종, 김유진, 오경자 (2009). 한국판 CBCL 1.5-5의 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28(1), 117-136. 

  7. 김태인 (2007). Mentoring을 통한 부적응 유아지도에 대한 교사의 및 교수 실제 변화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431-458. 

  8. 김태인 (2013). 유아교사가 인식한 부적응 행동과 교사-부적응 유아관계가 또래 간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론집, 17(5), 489-504. 

  9. 보건복지부 (2012). 한국 영유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태 조사 및 서비스 요구도 조사. 소울: 보건복지부. 

  10. 보건복지부 (2013). 영유아 지역정신건강증진 사업 모델 개발. 서울: 보건복지부. 

  11. 서현아, 강경희 (2008).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행동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지도방법. 아동교육, 17(3), 15-28. 

  12. 송진영, 송진숙 (2015). 학령전환기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3), 85-102. 

  13. 신혜원, 송혜린 (2014). 부적응행동 유아를 위한 정서중재 프로그램 개발 예비연구. 아동학회지, 35(1), 77-93. 

  14. 오경자, 김영아 (2009). CBCL 1.5-5 매뉴얼 개정판. 서울: 휴노컨설팅. 

  15. 염미애, 문혁준 (2008). 유아기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에 따른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에 관한 종단연구. 유아교육연구, 28(6), 91-119. 

  16. 염선희 (2015). 유아의 작업 기억과 처리속도 및 부적응 행동 간의 관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유수옥, 이기성, 하승민, 박수경 (2014). 한국판 유아 행동 척도-2(Korean Preschool Kindergarten Behavior Scale-2; PKBS-2)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35(4), 79-101. 

  18. 이숙, 김수미 (2009).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부적응행동: 유아의 개인적 변인과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변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7(1), 1-12. 

  19. 이숙희, 고인숙, 김미정 (2009).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3(1), 163-183. 

  20. 장영희 (2000). 유아 스트레스와 대처행동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조영란, 김희화, 공유경 (2009).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대한 개인적 변인과 대인관계 변인의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3), 437-448. 

  22. 지성애, 김성현 (2014). 유아의 행동문제와 인지능력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4(3), 197-219. 

  23. 지성애, 김승희 (2010).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놀이성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5(4), 111-127. 

  24. 천희영 (2003). 3-6세 조기중재 아동의 발견을 위한 PKBS(Preschool Kindergarten Behavior Scale)의 표준화 기초 연구. 아동학회지, 24(3), 151-164. 

  25. 최혜영 (2004).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및 교사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27. 황혜정 (2005). 유아의 문제행동 진단을 위한 부모용.교사용 검사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5(2), 235-257. 

  28. Achenbach, T. M. (1991).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4-18 and 1991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29. Achenbach, T. M., & Rescorla, L. A. (2000). Manual for the ASEBA preschool forms & profiles.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Research Center for Children, Youth, & Families. 

  30. Anthony, B., Anthiny, L. G., Morrel, T. M., & Acosta, M. (2005). Evidence for social and behavior problems in low-income, urban preschoolers: Effects of site, classroom and teacher.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4(1), 31-39. 

  31.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136-162. 

  32. Burks, H. F. (1996). Burks behavior rating scales. Los Angeles, CA: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33. Burks, H. F., & Gruber, C, P. (2013). Burks behavior rating scales, second edition manual. California, CA: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34. Campbell, S. B. (2002). 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 children. NY; The Guilford Press. 

  35. Cote, S. M., Vaillancourt, T., LeBlanc, J. C., Nagin, D. S., & Tremblay, R. E. (2006). The joint development of physical and indirect aggression: Predictors of continuity and change during childhood.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9(1), 37-55. 

  36. Fantuzzo, J., Coolahan, K., Mendez, J., McDermott, P., & Sutton-Smith, B. (1998). Contextually -relevant validation of peer play constructs with African American Head Start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3), 411-431. 

  37. Friederike, S. J., & Ulrich, O. (2013). Does low self-esteem predict depression and anxiety?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Psychological Bulletin, 139(1), 213-240. 

  38. Hinshaw, S. P., Han, S. S., Erhardt, D., & Huber, A. (1992).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 children: Correspondence among parent and teacher ratings and. behavior observation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2), 143-150. 

  39. Kaiser, B., & Rasminsky, J. S. (2003). Challeng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 Understanding, preventing, and responding effectively. Boston, MA: Pearson Education. 

  40. Leary, M. R., & McDonald, G.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self-esteem: A review and theoretical integration. In M. Leary & J. P. Tangney (Eds.), Handbook of self and identity (pp. 401-418). NY: The Guilford press. 

  41. Merrell, K. W. (2002).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s (PKBS-2). Austin, TX: PRO-ED. 

  42. Miller, G. E., Brehm, K., & Whitehouse, S. (1998). Reconceptualizing school-based prevention for antisocial behavior within a resilience framework. School Psychology Review, 27(3), 364-379. 

  43. Tuker-Drob, E. M., & Harden, K. P. (2013). Gene-by-preschool interaction on the development of early externalizing problem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4(1), 77-85. 

  44. Ybrandt, H., & Armelius, K. (2010). Peer aggression and mental health problems: Self-esteem as a mediator.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31(2), 146-1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