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성분 분석을 활용한 자연가뭄지수 산정 및 평가
Estimation and assessment of natural drought index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6, 2016년, pp.565 - 577  

김선호 (세종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이문환 (세종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배덕효 (세종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 수공시설물을 고려하지 않는 자연상태의 가뭄해석을 위해 자연가뭄지수(NDI)를 산정하고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자연가뭄지수는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입력자료는 3개월 누적강수량, 자연유량, 토양수분량 자료이다. 강수량은 ASOS 59개 지점 자료이고, 자연유량 및 토양수분량은 지표수문해석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였다. 가뭄지수의 평가기간은 1977~2012년이며, 활용성 평가를 위해 시계열 분석, 지역별 분석 및 가뭄특성인자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계열 분석결과, 자연가뭄지수는 가뭄의 시작과 끝에 대한 평균절대오차는 0.85로 가장 정확하게 나타났다. 과거 가뭄사례와 가뭄특성인자를 분석한 결과, 자연가뭄지수의 지속기간과 발생간격의 평균절대오차는 각각 1.3, 1.0으로 가뭄의 지속기간 및 발생간격을 적절히 반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역별 분석결과, 자연가뭄지수는 단일변량 가뭄지수의 지역별 가뭄상황을 적절히 반영하여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뭄의 시작, 끝, 지속기간, 발생간격에 대한 자연가뭄지수, 표준강수지수, 표준유출지수, 표준토양수분지수의 순위를 분석한 결과 자연가뭄지수가 가장 높은 순위로 산정되었다. 자연가뭄지수는 기존 단일변량 가뭄지수의 상이한 가뭄상황을 종합적으로 반영하며, 가뭄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활용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for computing the Natural Drought Index (NDI) that does not consider man-made drought faciliti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used to estimate the NDI. Three monthly moving cumulative runoff, soil moisture and precipitation were sele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주성분 분석을 통해 산정된 표준화된 주성분 점수(PC)는 NDI 산정에 활용됨에 따라 가뭄심도는 주성분 점수와 연관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NDI의 시계열 값을 산정하여 과거 가뭄사상에 대한 지속기간 및 발생간격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분석, 가뭄특성인자 분석, 지역별 분석을 수행하여 가뭄지수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시계열 분석을 통해 가뭄지수 시계열과 과거가뭄사례를 비교하여 가뭄의 시작과 끝의 재현성을 비교하였으며, 가뭄특성인자를 산정하여 지속기간 및 발생간격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연상태의 기상학적, 수문학적, 농업적 가뭄상황을 반영할 수 있는 강수량, 자연유량, 토양수분량을 결합하여 자연가뭄지수(Natural Drought Index, NDI) 를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산정된 자연가뭄지수의 국내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을 이용하여 NDI를 산정 및 평가하고자 하며, 주요 산정절차는 Fig. 1과 같다. 먼저 기상 및 수문자료를 수집하여 NDI의 입력자료인 3개월 누적 강수량, 자연유량, 토양수분량을 구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CA를 이용하여 NDI를 산정하고 평가하기 위한 주요 산정절차는 어떠한가? 1과 같다. 먼저 기상 및 수문자료를 수집하여 NDI의 입력자료인 3개월 누적 강수량, 자연유량, 토양수분량을 구축한다. 이때 강수량은 관측자료를 사용하고, 자연유량 및 토양수분은 모형기반의 자료를 활용한다. 구축된 입력자료의 차원을 하나로 축소하기 위해 주성분 산정, 주성분 점수 산정, 비계절화 등의 주성분 분석을 수행한다. 월별로 산정된 주성분 점수의 경험적 누가확률값을 표준화하여 NDI를 산정한다. 산정된 NDI 값의 시계열 분석, 지역별 분석, 가뭄특성인자를 분석하여 가뭄지수의 활용성을 평가한다.
가뭄이란? 가뭄은 강수량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일시적인 물순환의 불균형 현상으로 자연현상이다. 가뭄은 물부족과 다르며, 물의 이용 측면에서 볼 때 몇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국내에서 가뭄극복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는가? , 2013). 그동안 국내에서는 가뭄극복을 위해 관개용수 확보, 비상관정 개발 등의 구조적인 대책과 가뭄정보 제공 등의 비구조적인 대책을 마련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가뭄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실례로 2014∼2015 가뭄으로 소양강 댐은 역대 최저수위를 기록하였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제한급수, 농업용수 부족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bramowitz, M., and Stegun, I.A.E. (1964). Handbook of Mathematical Functions,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2. Bae, D.H., Son, K.H., Ahn, J.B., Hong, J.Y., Kim, G.S.,Chung, J.S., Jung, U.S., and Kim, J.H. (2011). "Development of real-time drought monitoring and prediction system on Korea & East Asia region.", Atmosphere. KOMES, Vol. 22, No. 2, pp. 267-277. 

  3. Bae, D.H., Son, K.H., and Kim, H.E. (2013). "Derivation & evaluation of drought threshold level considering hydro-meteorological data o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6, No. 3, pp. 287-299. 

  4. Barnes, S. (1964). "A technique for maximizing details in numerical map analysi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MS, Vol. 3, No. 4, pp. 395-409. 

  5. Hao, Z., and AghaKouchak, A. (2013). "Multivariate standardized drought Index: A parametric multi-index model",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57, pp. 12-18. 

  6. Jeon, C.H. (2012). Data Mining Techniques and Application, Hannarae Publishing Co. 

  7. Keyantash, J.A., and Dracup, J.A. (2004). "An aggregate drought index: Assessing drought severity based on fluctuations in the hydrologic cycle and surface water storage.", Water Resources Research, AGU, Vol. 40, No. 9, W09304. 

  8. Kim, G.S., and Lee, J.W. (2011). "Evaluation of Drought Indices using the Drought Record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4, No.8, pp. 639-652. 

  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Development of Hydro-meteorological Early Warning System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0. Kwon, H.J., and Kim, S.J. (2006) "Evaluation of Semi-Distributed Hydrological Drought using SWSI (Surfacte Water Supply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KSAE, Vol. 48, No. 2, pp. 37-43. 

  11. Liang, X., Lettenmainer, D.P., Wood, E.F., and Burges, S.J. (1994). "A simple hydrologically based model of land surface water and energy fluxes for General Circulation Model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GU, Vol. 99, pp.14415-14428. 

  12.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No. 17-2. 

  13.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1995). Survey Report of drought history,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14.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2002). Survey Report of drought history.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15.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 (NDMC) (2002). Three Years and Counting: What's New with the Drought Monitor,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 

  16.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2013). Establishment of National Drought Disaster Information System,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17. Palmer, W.C. (1965) "Meteorologic drought. U.S. Department of Commerce", Weather Bureau, Research Paper, pp. 45-58. 

  18. Rajekhar, D., Singh, V.P., and Mishra, A.K., (2015) "Multivariate drought index: An information theory based approach for integrated drought assessment" Journal of Hydrology, Vol. 526, pp. 164-182. 

  19. Sepulcre-Canto, G., Horion, S., Singleton., A., Carrao, H., and Vogt J. (2012) "Development of a Combined Drought Indicator to detect agricultural drought in Europe"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s, EGU, Vol. 12, pp. 3519-3531. 

  20. Sheffield, J., and Wood, E.F. (2008). "Global trends and variability in soil moisture and drought characteristics, 1950-2000, from observation-driven simulations of the terrestrial hydrologic cycle." Journal of Climate, Vol. 21, No. 3, pp. 432-458. 

  21. Shukla, S., and Wood, A. W. (2008). "Use of a standardized runoff index for characterizing hydrologic drough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35, No. L2045, doi:10.1029/2007GL032487. 

  22. So, J.M., Son, K.H., and Bae, D.H. (2014), "Estimation and Assessment of Bivariate joint Drought Index based on Copula Function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7, No. 2, pp. 171-182. 

  23. Son, K.H., Bae, D.H. and Chung, J.S. (2011). "Drought Analysis and Assessment Using Land Surface Model o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4, No. 8, pp. 667-681. 

  24. Yevjevich, V. (1967). "An objective approach to definitions and investigations of continental hydrologic droughts", Hydrology Paper, No. 23,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CO. 

  25. Yoo, J.Y., Choi, M.H., and Kim, T.W. (2009) "Regional Characterization Analysis of Drought in Korea using Multivariate Analyse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pp. 1462-14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