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에서 흡연과 우울증상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adult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3 no.2, 2016년, pp.57 - 66  

성한나 (유성 선병원 가정의학과) ,  김종성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statu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adults. Methods: We used the data of 17,871 adults aged 19 years or older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2).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인을 대표할 수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성별에 따라 흡연 상태를 비흡연, 과거 흡연, 현재 흡연으로 나눠 우울증, 우울 증상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그리고, 금연한 경우에 흡연한 경우와 비교하여 우울증, 우울 증상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 Cho(2014)에 따르면 한국의 금연과 관련 정책은 담배 가격 인상, 금연 지역 지정 등의 규제와 금연 교육 등으로 이뤄지고 있는데 금연 프로그램을 만들 때에는 흡연자의 정신적인 면인 우울증, 우울 증상 또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인을 대표할 수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성별에 따라 흡연 상태를 비흡연, 과거 흡연, 현재 흡연으로 나눠 우울증, 우울 증상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그리고, 금연한 경우에 흡연한 경우와 비교하여 우울증, 우울 증상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 모델 2에서는 성별에 따라 흡연 상태에 따른 나이, 가구 소득, 교육, 결혼상태, 직업, 고위험 음주, 규칙적인 운동, 비만, 만성 질환의 수, 주요 암 여부, 폐경 여부(여성의 경우), 스트레스를 보정하여 종속 변수에 대한 교차비와 95% 신뢰구간을 구하였다. 우울 증상에 대해서는 우울증 치료 여부가 증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추가로 보정하여 분석하였다. 모델 3에서는 과거 흡연자를 기준으로 현재 흡연자의 우울 증상과 우울증 진단에 대한 교차비와 95% 신뢰구간을 구하였는데, 모델 2에서 보정한변수에 흡연 관련 변수를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한국인을 대표할 만한 자료를 이용하여 성별에 따라 흡연 상태에 따른 우울증, 우울 증상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 일반적으로 우울증은 주요 우울 장애라고 할 수 있는데,이는 진단 기준에 따라 의사에 의해 진단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우울 증상을 간단한 설문으로 조사하고 의사에 의해 진단받은 우울증 여부도 같이 조사하였다. 지난 1년 동안 연속적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 등을 느낀 적이 있느냐는 질문은 주요 우울 장애에 대해 성인에서 96%의 민감도와 57%의 특이도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Whooley, Avins,Miranda, & Browner,199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은 넓은 의미에서 어떻게 분류됩니까? 우울증은 넓은 의미에서 주요 우울 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경도 우울 장애(minor depressive disorder), 아증후군적 우울증(subsyndromal depression), 우울 증상(depressive symptoms)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Park & Kim, 2011). 기존의 연구에서는 흡연과 주요 우울 장애와의 연관성을 주로 연구 하였는데 흡연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요 우울 장애 여부 뿐 아니라 흔히 현실에서 마주할 수 있는 넓은 의미의 우울 증상까지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금연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입니까? 금연이 어려운 이유는 흡연이 환경적, 유전적인 요인이함께 작용하는 만성적인 행동장애이며 니코틴 중독이기 때문이다(Dani & Heinemann, 1996; Kim et al., 2009).
흡연을 지속하게 되는 원인은 무엇입니까? 흡연을 지속하게 하는 것은 신경생물학적으로는 니코틴이라는 물질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흡연을 하게 되면 혈액 내 니코틴 용량이 늘어나 도파민계 활성에 의해 뇌 보상 회로를 자극하여 쾌감을 느끼게 하고 이후 혈중 니코틴이 떨어지면서 금단 증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금단 증상을 없애기 위해 다시 흡연하게 된다(Dani et al.,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nda, R. F., Williamson, D. F., Escobedo, L. G., Mast, E. E., Giovino, G. A., & Remington, P. L. (1990). Depression and the dynamics of smoking. A national perspective. The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64(12):1541-1545. 

  2. Awtry T. L. & Werling L. L.(2003). Acute and chronic effects of nicotine on serotonin uptake in prefrontal cortex and hippocampus of rats. Synapse, 50(3),206-211 

  3. Benwell, M. E., & Balfour, D. J. (1979). Effects of nicotine administration and its withdrawal on plasma corticosterone and brain 5-hydroxyindoles. Psychopharmacology, 63,7-11. 

  4. Bhatia, S. C., & Bhatia, S. K. (1999) Depression in women: diagnostic and treatment considerations. American Family Physician, 60(1):225-234. 

  5. Bromet E., Andrade L. H., Hwang I, Sampson N. A., Alonso J.de Girolamo G.,...Kessler R. C.(2011). Cross-national epidemiology of DSM-IV major depressive episode. BMC Medicine, 9, 90. 

  6. Chang, S. M., Hahm, B. J., Lee, J. Y., Shin, M. S., Jeon, H. J., Hong, J. P.,..., & Cho, M.J. (2008). Cross-national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caused by the diagnostic threshold.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06(1-2),159-167. 

  7. Cho, H.J. (2014). The status and future challenges of tabacco control policy in Korea. Journal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7(3),129-135. 

  8. Dani, J. A., & Heinemann, S. (1996). Molecular and cellular aspects of nicotine abuse. Neuron, 16, 905-908. 

  9. Escobedo, L.G., Reddy, M., & Giovino, G.A.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cigarette smoking in US adolescents. Addiction, 93(3):433-440. 

  10. Fowler J. S., Volkow N. D., Wang G. J., Pappas N., Logan J., MacGregor R.,..., Cilento R.(1996). Inhibition of monoamine oxidase B in the brains of smokers. Nature, 379(6567),733-736. 

  11. Hall S. M., Munoz R. F., Reus V. I., & Sees K. L. (1993). Nicotine, negative affect, and depression. Journal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1(5), 761-767. 

  12. Haskell, W. L., Lee, I. M., Pate, R. R., Powell, K. E., Blair, S. N., Franklin, B. A.,..., & Bauman A. (2007).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updated recommendation for adults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16(9),1081-1093. 

  13. Hatsukami, D. K., Le, C. T., Zhang, Y., Joseph, A. M., Mooney, M. E., Carmella, S. G., & Hecht S. S. (2006). Toxicant exposure in cigarette reducers versus light smokers.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and Prevention 15(12),2355-2358. 

  14. Husky, M. M., Mazure, C. M., Paliwal, P., & McKee, S. A. (2008). Gender differences in the comorbidity of smoking behavior and major depression. Drug and Alcohol Dependence, 93(1-2), 176-179. 

  15. Imperato, A., Mulas, A., & Di Chiara, G. (1986). Nicotine preferentially stimulates dopamine release in the limbic system of freely moving rats.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132, 337-338. 

  16. Jung-Choi, K. H., Khang, Y. H., & Cho, H. J. (2012). Hidden female smokers in Asia: a comparison of self-reported with cotinine-verified smoking prevalence rates in representative national data from an Asian population. Tobacco Control 21(6), 536-542. 

  17. Kendler K. S., Neale M. C., MacLean C. J., Heath A. C., Eaves L. J., & Kessler R. C.(1993). Smoking and major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0, 36-43. 

  18. Killen, J. D., Fortmann, S. P., Schatzberg, A., Hayward, C., & Varady, A. (2003). Onset of major depression during treatment for nicotine dependence. Addictive Behaviors 28(3), 461-470. 

  19. Kim, D. H., & Suh, Y. S. (2009). Smoking as a diseas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0(7), 494-502. 

  20. Kim, T. S., & Kim, D. J. (2007).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18(6), 393-398. 

  21.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2011). 2010 National Health Statistic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1. Seoul: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2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KOSIS). (2014).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KSCO). Retrieved from http://kssc.kostat.go.kr 

  23. Lee, E. H., Park, S. K., Ko, K. P., Cho, I. H., Chang, S. H., Shin, H. R.,..., Yoo, K. Y. (2010). Cigarette smoking and mortality in the Korean Multi-Center Cancer Cohort(KMCC) study.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 Public Health, 43(2),151-158. 

  24. Lee, H. K., & Lee, B. H. (2012). The epidemiology of alcohol use disorders.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13, 69-75. 

  25. Lerman C., Caporaso N., Main D., Audrain J., Boyd N. R., Bowman E. D., & Shields P. G.(1998). Depression and self-medication with nicotine: the modifying influence of the dopamine D4 receptor gene. Health Psychology, 17(1),56-62. 

  26. Maurer, D. M. (2012). Screening for depression. American Family Physician 85(2),139-144. 

  27.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2013). OECD factbook 2013: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tatistics. Paris, France: OECD Publishing. 

  28. Park, H. S., Park, C. Y., Oh, S. W., & Yoo, H. J. (2008) Prevalence of obesiy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Obesity Reviews, 9(2), 104-107. 

  29. Park J. H. & Kim K. W.(2011). A review of the epidemiology of depress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4), 362-369. 

  30. Park, S., Romer, D., & Lim, S. (2013). Does smoking initiation in adolescence increase risk for depression across the lifespan? Evidence from the Sou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Addictions Nursing 24(3), 142-148. 

  31.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012).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2011.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2. Taylor, G., McNeill, A., Girling, A., Farley, A., Lindson-Hawley, N., & Aveyard, P. (2014). Change in mental health after smoking cessat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ritish Medical Journal, 13;348:g1151. 

  33. Whooley, M. A., Avins, A. L., Miranda, J., & Browner, W. S. (1997) Case-finding instruments for depression. Two questions are as good as many.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2(7):439-445. 

  3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2013. Retrieved from http://www.who.int/tobacco/global_report/2013/en/. 

  35. Yun, W. J., Shin, M. H., Kweon, S. S., Ryu, S. Y., & Rhee, J. A. (2012). Association of smoking status, cumulative smoking, duration of smoking cessation, age of starting smoking,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Biomed Central Public Health, 12, 724-73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