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진설계기준의 지반분류체계 및 설계응답스펙트럼 개선을 위한 연구 - (I) 데이터베이스 및 지반응답해석
Site Classification and Design Response Spectra for Seismic Code Provisions - (I) Database and Site Response Analyses 원문보기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20 no.4, 2016년, pp.235 - 243  

조형익 (KAIST 건설 및 환경공학과) ,  (KAIST 건설 및 환경공학과) ,  김동수 (KAIST 건설 및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is part of a region of low to moderate seismicity located inside the Eurasian plate with bedrock located at depths less than 30 m. However, the spectral acceleration obtained from site response analyses based on the geologic conditions of inland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are significant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초까지 적용하는 적분구간은 국내 지반의 증폭특성에 비해 과소한 Fv를 산정하게 하고, 이는 설계응답스펙트럼 작성 시 장주기 대역에서 지반응답해석의 평균을 포괄하지 못하는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Fv 산정식의 적분구간 개선에 대한 지적은 국내 선행연구에서도 지적된 바 있는데[7, 30], 이에 대한 개선 방안에 대해 동반논문(II)에서 자세히 다루고자 하였다. SE지반은 기준에서 과대하게 산정하고 있는 스펙트럴 가속도를 재 작성된 설계응답스펙트럼이 해석 결과를 적절히 포괄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국내 지반을 대표할 수 있는 대규모 지반조사자료 데이터베이스와 다양한 입력지진파를 확보하여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였다. 국내 지반의 전단파속도 주상도 획득 방법, 국내 대표 지반의 정규화 전단탄성계수 곡선 및 감쇠비 곡선 결정, 입력지진파 선정 등 대규모 자료 획득 과정 및 이 과정에서 고려되어야 될 사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반응답해석 결과를 현행 내진설계기준과 비교하여 현행 기준의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수행된 대규모 국내 지반에 대한 지반응답해석의 결과를 활용하여 국내 지반의 지진 시 증폭특성에 적합한 지반분류체계 및 이에 대응하는 설계응답스펙트럼을 동반한 논문(II)에서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그간의 국내·외 연구 흐름 분석과 국내 지반에 대한 대규모 지반응답해석을 통해 국내 지반의 증폭특성을 면밀히 반영하는 지반분류체계 및 설계응답스펙트럼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앞서 언급한 두 연구에 활용된 지반은 지반 종류 별 개수가 적고, 일부 지반 종류에 편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현행 SC, SD, SE 지반으로 분류되는 각 100개의 지반, 총300개 지반에 대한 전단파속도 주상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Table 1에 각 연구에서 활용된 지반의 데이터베이스를 현행 기준의 지반분류체계에 기초하여 비교하였다.
  • 지반지진공학적 간편 활용을 위해 국내 지반의 토사와 암반층은 매립토, 퇴적토, 풍화토, 풍화암 및 기반암의 총5 종류로 대표될 수 있고[10], 이렇게 분류된 지반지층들은 여러 지반지진공학 응용 연구에 도입 적용되어 왔다[9]. 본 연구에서는 언급한 지반지층 구분 개념에 점토지반을 추가 도입하여 지반조사 자료들의 지층 구성을6 종류의 지층으로 분류하였고, 각 지층 별 대표 비선형 동적 변형특성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국내 대표적인 지반 종류에 대한 비선형 동적 물성치가 보고된 문헌[22-24]을 참고하였으며, 문헌을 참고하지 않은 지반은 공진주 시험(Resonant Column Test)을 통해 획득하였다.
  • 설계기준과 본 연구의 지반응답해석 결과로 도출된 스펙트럴 가속도의 정량적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단주기, 장주기 증폭계수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입력 지진파의 기반암 응답스펙트럼과 지반응답해석으로 도출된 자유장 응답스펙트럼의 비(Ratio of Response Spectra, RRS)를 결정하고, 식 (2)와 식 (3)을 통해 단주기 증폭계수(Short-period Site Coefficient, Fa), 장주기 증폭계수(Long-period Site Coefficient, Fv)를 산정하였다.

가설 설정

  • 표준관입시험 시 단단한 암질에 도달하여 항타수가 50에 이르러도 30 cm 깊이를 관입하지 못할 경우 50타수 이상의 N값은 선형적인 비례관계를 토대로 30 cm 두께 관입 시 N값으로 환산하여 사용하였고, 이때 환산 N치는 300까지 적용하였다. 또한 표준관입시험 N치가 존재하지 않는 연암은 전단파속도 760 m/s를 가정하였고, 표준관입시험이 기반암까지 수행되지 않고 풍화토 또는 풍화암에서 종료된 지층에 대해서는 시추 종료 하부 지반의 전단파속도를 연암의 전단파속도인 760 m/s 부여하였다. 전단파속도가 획득되지 못한 시추조사 부지에 대한 지반응답해석 시 풍화암 하부, 연암 상부를 기반암 선으로 고려할 수 있다[21].
  • 여기서, Rrock과 Rsoil은 각각 진원(Fault)에서 암반노두와 지표면까지의 거리(Hypocentral Distance)를 의미하는데 본 연구에서 Rsoil/Rrock는 진원과의 거리가 충분히 멀다고 가정하여 1.0으로 계산하였다. RSrock과 RSsoil은 주기가 T인 구조물에 대한 지표면과 기반암에서의 스펙트럴 가속도 값을 각각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반 인자의 예는 무엇이 있는가? 지진파는 부지 효과로 인하여 기반암 상부의 토사 지반을 통해 전달되는 과정 중에 특정 진동수(Frequency) 범위에서 대개 증폭되며, 증폭의 정량적 크기는 주로 지반 특성에 따라 좌우된다[9]. 증폭특성을 좌우하는 지반 인자로는 기반암 위에 놓인 토사 지반의 두께, 전단파속도로 표현되는 기반암과 토사지반의 강성 등이 있다. 국내 지반의 토사층 두께, 즉 기반암 깊이는 앞서 언급한 미국 서부 지역과 달리 매우 얕은 깊이에 분포하고 있다.
내진설계기준연구(II)의 제정 배경은 무엇인가? 1997년 건설교통부에서는 내진설계 상위 개념인 내진설계기준연구(II)를 제정하였다[1]. 국내는 지진 중약진대에 속해 있어[2] 상대적으로 내진설계에 대한 필요성 인지와 지진피해에 대한 경각심이 미미했으나, 1995년 일본 고베(Kobe)시와 한신 지역에서 발생한 대지진의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에 대한 간접경험에서 비롯된 우려로 내진설계기준이 조속히 제정되었다. 내진설계기준(II)에 명시되어 있는 지반분류체계, 지반증폭계수 등 설계응답스펙트럼 작성법은 기반암 깊이가 100∼300 m로 매우 깊고, 장주기 특성을 보이는 미국 서부 해안지역의 지반 특성에 적합하도록 작성된 NEHRP 1997[3]을 준용하여 작성되었다[4-8].
부지 고유의 지반응답해석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신뢰성 있는 부지 고유의 지반응답해석(Site-specific Response Analysis)을 위해서는 해당 부지의 지반조사자료 획득 및 적절한 입력지진파의 결정이 필수적이다. 기반암 상부 지반의 층상구조, 지반의 강성을 대변하는 전단파속도 주상도(Shear Wave Velocity Profile, VS-profile), 지진으로 인한 지반의 전단 변형 시 그 특성을 표현하는 정규화 전단탄성계수 곡선(G/Gmax Curve) 및 감쇠비 곡선(Damping Curve), 고려 대상이 되는 입력지진파(Input Motion) 등의 정보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 Study on Site-Specific Seismic Design Response Spectrum.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c1997. 

  2. Hwang KR, Lee HS, Kim SJ. Evaluation of Seismic Load Level in Korea based on Global Recorded Earthquake Ground Motions. EESK J. Earthq Eng. 2015; 19(5):247-256. 

  3. Recommended Provisions for Seismic Regulations for New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Part 1-Provisions. Washington. D.C., Building Seismic Safety Council. c1997. 

  4. Kim DS, Chung CK, Sun CG, Bang ES. Site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Spatial Earthquake Ground Motion of Kyeongju. Soil Dyn Earthq Eng. 2002; 22(5):371-387. 

  5. Sun CG, Chung CK, Kim DS. A Proposition of Site Coefficients and Site Classification System for Design Ground Motions at Inland of the Korean Peninsula. J. Korean Geotech Soc. 2005; 21(6):101-115. 

  6. Yoon JK, Kim DS, Bang ES. Development of Site Classification and Modification of Design Response Spectra considering Geotechnical Site Characteristics in Korea (I) - Problem Statements of the Current Seismic Desing Code. EESK J. Earthq Eng. 2006; 10(2):39-50. 

  7. Kim DS, Lee SH, Yoon JK. Development of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Modification of Site Coefficients in Korea Based on Mean Shear Wave Velocity of Soil and Depth to Bedrock. J Korean Soc Civ Engineers. 2008; 28(1C):63-74. 

  8. Lee SH, Sun CG, Ha JG, Kim DS. Verification of 2-Parameters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Site Coefficients (I) - Comparisons with Well-known Seismic Code and Site Response Characteristics. J Korean Geotech Soc. 2012; 28(3):25-34. 

  9. Sun CG, Han JT, Cho WJ. Representative Shear Wave Velocity of Geotechnical Layers by Synthesizing In-situ Seismic Test Data in Korea. J Eng Geology. 2012; 22(3):293-307. 

  10. Sun CG, Yang DS, Chung CK. Evaluation of Site-Specific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in Plains of Seoul Metropolitan Area. EESK J. Earthq Eng. 2005; 9(4):29-42. 

  11. Nikolaou S, Go J, Beyzaei CZ, Moss C, Deming PW. Geo-Seismic Design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State of Practice. Keynote Lecture, GeoCongress. c2012. p. 25-29. 

  12. Recommended Provisions for the Development of Seismic Regulations for New Buildings, Washington. D.C., Building Seismic Safety Council. c1994. 

  13. Dobry R, Ramos R, Power M. Site Factors and Site Categories in Seismic Codes. c1999. 

  14. Kim DS, Yoon JK. Development of New Site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Regions of Shallow Bedrock in Korea. J Earthq Eng. 2006;10(3):331-358. 

  15. Lee SH, Sun CG, Yoon JK, Kim DS.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New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Site Coefficients for Regions of Shallow Bedrock in Korea. J. Earthq Eng. 2012; 16(6):795-819. 

  16. Manandhar S, Cho HI, Kim DS. Effect of Bedrock Stiffness and Thickness of Weathered Rock on Response Spectrum in Korea. KSCE J Civ Eng. 2016:1-15. 

  17. Nikolaou S, Pehlivan M, Richins R, Lincoln L, Deming PW. Seismic response of shallow sites in eastern US: Implications to the state of practice. Proceeding of the 10th National Conference in Earthquake Engineering.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Anchorage. c2014. 

  18. Geotechnical Information DB System. Available from: www.geoinfo.or.kr 

  19. Sun CG, Kim HJ, Chung CK. Deduction of Correlations between Shear Wave Velocity and Geotechnical In-situ Penetration Test Data. EESK J. Earthq Eng. 2008; 12(4):1-10. 

  20. Guidelines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s of Soils and Foundations Supporting Existing Structures. Korea Infrastructure Safety & Technology Corporation. c2012. 

  21. Sun CG. Earthquake Engineering Bedrock based on the Shear Wave Velocities of Rock Stara in Korea. J Eng Geology. 2014; 24(2):273-281. 

  22. Kim DS, Choo YW.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Hydraulic-Filled Cohesionless Soils in Korea. Proceeding of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cent Advances in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and Soil Dynamics. c2001. p. 1-6. 

  23. Kim DS, Choo YW. Dynamic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Cohesionless Soils using Resonant Column Tests. J Korean Geotech Soc. 2001; 17(5):115-128. 

  24. Schnabel PB. Effects of local geology and distance from source on earthquake ground motion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1973. 

  25. Seed HB, Idriss IM. Soil Moduli and Damping Factors for Dynamic Response Analyses. Report No. EERC 70-10.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Center. c1970. 

  26. Vucetic M, Dobry R. Effect of Soil Plasticity on Cyclic Response. J Geotech Eng. 1991; 117(1):89-107. 

  27. Minimum Design Loads for Building and Other Structures. Reston.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2010. 

  28. National Seismic hazard Maps. Public Announcement of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0. 2013-179. c2013. 

  29. User's Manual for SHAKE 91. Center for Geotechnical Modeling.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c1992. 

  30. Yoon JK, Kim DS, Bang ES. Development of Site Classification and Modification of Design Response Spectra considering Geotechnical Site Characteristics in Korea (III) - Modification of Design Response Spectra. EESK J. Earthq Eng. 2006; 10(2):63-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