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자가 응답식 자료에 근거한 유병률 및 건강기대수명 연구의 신뢰도 분석: 건강보험 표본코호트 DB와의 비교
Reliability of self-reported data for prevalence and health life expectancy studies: comparison with sample cohort DB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9 no.7, 2016년, pp.1329 - 1346  

권태연 (고려대학교 경제연구소) ,  박유성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의료패널 데이터와 국민건강 영양조사는 추출된 표본의 자가 진단에 따른 건강상태(self-assessed health)와 그들의 의료기관 이용에 대한 자가응답식 자료(self-reported data)이다. 이러한 자료에 근거한 유병률 연구 및 그에 따른 건강기대수명 연구에 관하여 유병률의 신뢰도에 대한 검증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이미 여러 연구에서 제기되었다. 반면 최근 공개된 건강보험공단의 표본코호트 DB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의료기관 이용에 관련된 모든 자료가 저장된 자료인 국민건강정보 DB로부터 추출된 객관적인 자료이다. 또한 추정된 질병별 유병률에 대하여 그 대표성 및 신뢰도가 확보되어 있음이 검증된 자료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국민의 유병률에 대한 대표성 및 신뢰도가 확보되어 있는 표본코호트 DB와의 비교를 통하여 이들 응답식 데이터에서 도출된 유병률의 신뢰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자가응답식 자료를 통한 유병률은 표본코호트 DB를 통한 유병률에 비교하여 보았을 때 과소추정되어 있고 이러한 과소추정은 건강기대수명의 과대추정 문제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본코호트 DB를 제외한 우리나라 건강자료의 안정적이지 못한 표본의 문제는 추정된 건강기대수명의 트렌드를 왜곡하는 문제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Health Panel (KHP) data an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are collected by self-assess and self-report for individual's health status and medical use. Previous studies have claimed that the reliability for prevalence rates and health life expectancies ob...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병률 연구는 무엇에 기본이 되는가? 유병률 연구(prevalence study)는 각종 의학, 보건학 등의 학술연구에 기본이 된다. 각 질병에 대한 유병률은 한국인 고유의 질병에 관한 위험 요인 및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와 관련하여 이미 여러 분야에서 의학적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Kim 등, 2005; Hur 등, 2008; Kim 등, 2013).
유병률 연구는 무엇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 유병률 연구는 건강기대수명(health life expectancy) 연구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단순 생존기간에 대한 지표인 기대수명에서 나아가 질병이나 부상으로 고통받는 기간을 제외한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기간에 대해 나타내는 건강기대수명(health life expectancy)은 현대사회에서 삶의 질을 나타내는 주요한 지표로 역할을 하고 있다 (Lee 등, 2006).
우리나라의 건강보험제도에서의 자료들은 어떤 형식의 자료로 구축되어있는가? 우리나라의 건강보험제도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법에 의해 강제되기 때문에 전국민의 의료기관 및 약국사용에 관련된 모든 자료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저장 및 관리되고 있다. 자가보고형식(self-reported)이 아닌 측정형식(examination-based)의 자료로 구축된 국민건강정보 DB로부터 개체의 대표성이 확보되는 표본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된 표본코호트 DB는 개인건강상태에 대한 자료의 대표성 및 신뢰도가 보장됨이 알려져 있다 (Lee 등, 2012; Lee 등,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ilar, B. A. (1989). Information needs, surveys, and measurement errors. In D. Kasprzyk et al. (Eds.), Panel Surveys (pp. 1-24), Wiley-Interscience, New York. 

  2. Buratta, V. and Egidi, V. (2003). Data collection methods and comparability issues. In J. M. Robine et al. (Eds.), Determining Health Expectancies (pp. 187-202), John Wiley & Sons, New York. 

  3. Cambois, E., Robine, J. M., and Ormiche, P. (2007). Did the prevalence of disability in France really fall in the 1990s? A discussion of questions asked in the French health survey, Population, 62, 315-337. 

  4. Crossley, T. F. and Kennedy, S. (2002). The reliability of self-assessed health status,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1, 643-658. 

  5. Davis, B. A., Heathcote, C. R., and O'Neill, T. J. (2001). Estimating cohort health expectancies from crosssectional surveys of disability, Statistics in Medicine, 20, 1097-1111. 

  6. Groves, R. M. (1989). Survey Errors and Survey Costs, John Wiley & Sons, New York. 

  7. Groves, R. M., Fowler, F. J., Couper, J. M., Lepkowski, E., Singer, R., and Tourangeau, R. (2004). Survey Methodology, Wiley-Interscience, New York. 

  8. Hur, N. W., Choi, C. B., Uhm, W. S., and Bae, S. C. (2008). The prevalence and trend of arthritis in Korea: results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Journal of the Korean Rheumatism Association, 15, 11-26. 

  9. Jagger, C. and Robine, J. M. (2011). Healthy life expectancy. In R. G. Rogers & E. M. Crimmins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Adult Mortality (pp. 551-568), Springer, Dordrecht. 

  10. Jung, Y. (2007). The criteria and models of prioritization on health related research program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28, 105-113. 

  11. Jung, Y. (2012). The life expectancy and health-adjusted life expectancy of Korea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93, 5-18. 

  12. Kalton, G., Kasprzyk, D., and McMillen, D. B. (1989). Nonsampling Errors in Panel Survey. In: Panel Surveys. In D. Kasprzyk et al. (Eds.), Panel Surveys (pp. 249-270), Wiley-Interscience, Wiley, New York. 

  13. Kim, H. and Kim, E. (2013).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and its affecting factors among a Korean population aged 50 and over,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 27-39. 

  14. Kim, S. A., Park, W. S., Ohrr, H. C., Kang, H. Y., Lee, D. H., Yi, S. W., Kwak, Y. H., and Song, J. S. (2005). Prevalence and management status of diabetes mellitus in Korea, Korean Journal of Medicine, 68, 10-17. 

  15.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2013). Hypertension treatment guidelines, Available from: www.koreanhypertension.org/download/13110701.pdf 

  16. Laslett, L. J., Alagona, P., Clark, B. A., Drozda, J. P., Saldivar, F., Wilson, S. R., Poe, C., and Hart, M. (2012). The worldwide environ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prevalence, diagnosis, therapy, and policy issue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60, S1-S49. 

  17. Lee, J., Kim, K., and Lee, J. (2012). Construction of an appropriate sampling design and a sample database using the National Health Information Databas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vailable from: https://nhiss.nhis.or.kr/ 

  18. Lee, J., Lee, J. S., Park, S. H., Shin, S. A., and Kim, K. (2016). Cohort Profile: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Sample Cohort (NHIS-NSC),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Available from: : http://doi.org/10.1093/ije/dyv319 

  19. Lee, S. (2010). Understanding sample survey with the total survey error paradigm, Journal of the Korean Official Statistics, 15, 44-74. 

  20. Lee, T. W., Ko, I. S., and Lee, K. J. (2006).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Korea: a cross-sectio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3, 293-300. 

  21. Mathers, C. D., Sadana, R., Salomon, J. A., Murray, C. J., and Lopez, A. D. (2001). Healthy life expectancy in 191 countries, 1999, The Lancet, 357, 1685-1691. 

  2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aw data user guide,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 

  2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and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2014). User guide for Korea Health Panel data, Available from: https://www.khp.re.kr:444/ 

  24. Newman, S. C. (1988). A Markov process interpretation of Sullivan's index of morbidity and mortality, Statistics in Medicine, 7,787-794. 

  25. Park, I. and Lee, D. (2010). Study on Health Insurance Financial Outlook,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menu/retriveMenuSet.xx?menuIdG9200 

  26. Park, Y. S., Choi, J. W., and Kim, K. W. (2007). A balanced multi-level rotation sampling design and its efficient composite estimators, Journal of Statistical Planning and Inference, 137, 594-610. 

  27. Park, Y., Kim, K., and Kim, S.(2010). Unreliability of official popul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11, 71-95. 

  28. Park, Y. S. and Kim, S. Y. (2011). A method for construction of life table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4, 769-789. 

  29. Park, Y., Park, H., and Kwon, T. Y. (2015). Financial projection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using NHIS sample cohort data base,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8, 663-683. 

  30. Rogers, A., Rogers, R. G., and Branch, L. G. (1989). A multistate analysis of active life expectancy, Public Health Reports, 104, 222-226. 

  31. Salomon, J. A., Wang, H., Freeman, M. K., Vos, T., Flaxman, A. D., Lopez, A. D., and Murray, C. J. (2013). Healthy life expectancy for 187 countries, 1990-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Disease Study 2010, The Lancet, 380, 2144-2162. 

  32. Sarndal, C., Swensson, B., and Wretman, J. (2003). Model Assisted Survey Sampling, Springer, New York. 

  33. Shenker, N., Raghunathan, T. E., and Bondarenko, I. (2010). Improving on analyses of self-reported data in a large-scale health survey by using information from an examination-based survey, Statistics in Medicine, 29, 533-545. 

  34. Sullivan, D. F. (1971). A single index of mortality and morbidity, HSMHA Health Reports, 86, 347-354. 

  35.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4).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ample design, 2011-2014,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nchs/data/series/sr02/sr02162.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