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년 2월 22일 인천광역시 덕적도에서 포집된 황사의 광물학적 특성
Mineralogical Properties of Asian Dust Sampled at Deokjeok Island, Incheon, Korea in February 22, 2015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9 no.2, 2016년, pp.79 - 87  

박미연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정기영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사는 태양광, 대기 가스, 에어로졸, 해양생태계와 상호작용하여 지구 기후에 영향을 미치며, 광물특성은 이와 같은 황사와 환경의 상호작용 이해에 필수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2015년 2월 22일 인천광역시 덕적도에서 포집된 황사시료의 광물특성을 분석하였다. X선회절분석(XRD) 결과, 층상규산염광물이 총 62 wt%이었는데, 일라이트류 점토광물(일라이트 및 일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이 55%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외 녹니석이 5%, 캐올리나이트가 2% 정도 함유되어 있었다. 비층상규산염 광물로서 석영 18%, 사장석 10%, K-장석 4%, 방해석 5%, 석고 1%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주사전자현미경(SEM)과 에너지분산분광분석(EDS)에 의한 황사 개별 입자의 광물학적 분석에서도 유사한 조성이 얻어졌다. 황사의 주성분인 극미립 층상규산염광물입자에 대하여 투과전자현미경(TEM) 및 EDS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양한 성분비율과 혼합양상을 보이는 일라이트류 점토광물이 주요 광물로 확인되었다. SEM 형태 관찰에 의하면 황사입자들은 점토광물이 주성분인 덩어리, 혹은 점토광물로 피복된 석영, 장석, 운모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석고가 점토와 함께 황사입자표면에서 자주 관찰된 반면, 이전에 황사입자에 흔히 수반되는 것으로 보고된 섬유상 방해석은 드물어서, 황사 이동 중에 방해석이 산성대기오염물과의 반응에 의하여 석고로 변한 것으로 추정된다. 2015년 분석 결과는 황사와 환경의 상호작용 모델링을 위한 광물의 대표 특성 수립에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ian dust (Hwangsa) interacts with light, atmospheric gas, aerosol, and marine ecosystem, affecting Earth climate. Mineralogical properties are essential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ust and environment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mineralogical properties of Asian dust colle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하라 먼지 등의 타지역 광물먼지와 비교하여, 황사의 경우, 최근 체계적인 광물학적 자료가 축적되고 있으나, 연도별 광물조성 변화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좀 더 많은 황사 사례에 대한 광물학적 자료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2015년 2월 22-23일 포집된 황사 시료에 XRD, SEM, TEM 분석을 실시하여 규명한 황사의 광물학적 특성을 보고한다.
  • 본 연구는 2015년 2월 22-23일 사이에 관측된 황사의 광물학적 특성을 전시료 XRD, 개별 황사 입자의 SEM-EDS, 점토입자의 TEM-EDS 분석을 실시하여 규명하였다. XRD 분석에 의하면 층상규산염광물 총량이 62%이었으며, 일라이트류(일라이트 및 일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 점토광물이 55%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그 외 녹니석 5%, 캐올리나이트 2% 정도 함유되어 있었고, 비층상규산염광물로서 석영 18%, 사장석 10%, K-장석 4%, 방해석 5%, 석고 1%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vila, A., Queralt-Mitjans, I., and Alacon, M. (1997) Mineralogical composition of African dust delivered by red rains over northeastern Spain. J. Geophys. Res., 102, D18, 21977-21996. 

  2. Brindley, G.W. (1980) Order-disorder in clay mineral structures. In: Brindley, G.W., Brown, G. (eds.), Crystal Structures of Clay Minerals and Their X-ray Identification, Monograph 5, Mineralogical Society, London, 125-195. 

  3. Chun, Y., Boo, K.-O., Kim, J., Park, S.-U., and Lee, M. (2001) Synopsis, transport,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sian dust in Korea. J. Geophys. Res., 106, D16, 18461-18469. 

  4. Dentener, F.J., Carmichael, G.R., Zhang, Y., Lelieveld, J., and Crutzen, P.J. (1996) Role of mineral aerosol as a reactive surface in the global troposphere. J. Geophys. Res., 101, 22869-22889. 

  5. Formenti, P., Schutz, L., Balkanski, Y., Desboeufs, K., Ebert, M., Kandler, K., Petzold, A., Scheuvens, D., Weinbruch, S., and Zhang, D. (2011) Recent progress in understanding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African and Asian mineral dust. Atmos. Chem. Phys., 11, 8231-8256, doi:10.5194/acp-11-8231-2011. 

  6. Freedman, M.A. (2015) Potential sites for ice nucleation on aluminosilicate clay minerals and related materials. J. Phys. Chem. Lett., 6, 3850-3858. 

  7. Glaccum, R.A. and Prospero, J.M. (1980) Saharan aerosols over the tropical north Atlantic-Mineralogy. Mar. Geol., 37, 295-321. 

  8. Jeong, G.Y. (2007) Nanosized calcite in the Chinese loess. J. Miner. Soc. Korea, 20, 255-260. 

  9. Jeong, G.Y. (2008) Bulk and single-particle mineralogy of Asian dust and a comparison with its source soils. J. Geophys. Res.-Atmos., 113, D02208, doi: 10.1029/2007JD008606. 

  10. Jeong, G.Y. and Achterberg, E.P. (2014) Chemistry and mineralogy of clay minerals in Asian and Saharan dusts and the implications for iron supply to the oceans. Atmos. Chem. Phys., 14, 12415-12428. 

  11. Jeong, G.Y. and Chun, Y. (2006) Nanofiber calcite in Asian dust and its atmospheric roles. Geophys. Res. Lett., 33, L24802. 

  12. Jeong, G.Y. and Nousiainen, T. (2014) TEM analysis of the internal structures and mineralogy of Asian dust particles and the implications for optical modeling. Atmos. Chem. Phys., 14, 7233-7254. 

  13. Jeong, G.Y., Choi, H.-J., and Kwon, S.-K. (2011) Single-Particle Mineralogy and Mixing State of Asian Dust, Spring, 2009. J. Miner. Soc. Korea, 24, 225-234. 

  14. Jeong, G.Y., Kim, J.Y., Seo, J., Kim, G.M., Jin, H.C., and Chun, Y. (2014) Long-range transport of giant particles in Asian dust identified by physical, mineralogical, and meteorological analysis. Atmos. Chem. Phys., 14, 505-521. 

  15. Johnson, M.S. and Meskhidze, N. (2013) Atmospheric dissolved iron deposition to the global oceans: effects of oxalate-promoted Fe dissolution, photochemical redox cycling, and dust mineralogy, Geosci. Model Dev., 6, 1137-1155. 

  16. Kemppinen, O., Nousiainen, T., and Jeong, G.Y. (2015) Effects of dust particle internal structure on light scattering. Atmos. Chem. Phys., 15, 12011-12027. 

  17. Klaver, A., Formenti, P., Caquineau, S., Chevaillier, S., Ausset, P., Calzolai, G., Osborne, S., Johnson, B., Harrison, M., and Dubovik, O. (2011) Physicochem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Sahelian and Saharan mineral dust: in situ measurements during the GERBILS campaign. Quart. J. Royal Meteor. Soc., 137, 1193-1210. 

  18. Kulkarni, G. and Dobbie, S. (2010) Ice nucleation properties of mineral dust particles: determination of onset RHi, IN active fraction, nucleation time-lag, and the effect of active sites on contact angles. Atoms. Chem. Phys., 10, 95-105. 

  19. Mahowald, N.M., Engelstaedter, S., Luo, C., Sealy, A., Artaxo, P., Benitez-Nelson, C., Bonnet, S., Chen, Y., Chuang, P.Y., Cohen, D.D., Dulac, F., Herut, B., Johansen, A.M., Kubilay, N., Losno, R., Maenhaut, W., Paytan, A., Prospero, J.M., Shank, L.M., and Siefert, R.L. (2009) Atmospheric iron deposition: global distribution, variability, and human perturbations. Annu. Rev. Mar. Sci., 1, 245-278. 

  20. Matsumoto, J., Takahashi, K., Matsumi, Y., Yabushita, A., Shimizhu, A., Matsui, I., and Sugimoto, N. (2006) Scavenging of pollutant acid substances by Asian mineral dust particles. Geophys. Res. Lett., 33, L07816. 

  21. Meunier, A. and Velde, B. (2004) Illite, Springer, Berlin. 

  22. Moore, D.M. and Reynolds Jr., R.C. (1997) X-ray Diffraction and the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Clay Mineral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332pp. 

  23. Okada, K., Naruse, H., Tanaka, T., Nemoto, O., Iwasaka, Y., Wu, P.-M., Ono, A., Duce, R.A., Uematsu, M., Merrill, J.T., and Arao, K. (1990) X-ray spectrometry of individual Asian dust-strom particles over the Japanese islands and the north Pacific Ocean. Atmos. Environ., 24A, 1369-1378. 

  24. Reid, J.S., Jonsson, H.H., Maring, H.B., Smirnov, A., Savoie, D.L., Cliff, S.S., Reid, E.A., Livingston, J.M., Meier, M.M., Dubovik, O., and Tsay, S.C. (2003) Comparison of size and morphological measurements of coarse mode dust particles from Africa, J. Geophys. Res., 108, doi:10.1029/2002JD002485. 

  25. Ro, C.-U., Hwang, H., Kim, H., Chun, Y., and Van Grieken, R. (2005) Single-particle characterization of four Asian dust samples collected in Korea, using low-Z particle electron probe X-ray microanalysis. Environ. Sci. Technol., 39, 1409-1419. 

  26. Seinfeld, J.H. and 24 authors (2004) ACE-ASIA regional climatic and atmospheric chemical effects of Asian dust and pollution, Bull. Am. Meteorol. Soc., 85, 367-380. 

  27. Shi, Z., Shao, L., Jones, T.P., and Lu, S. (20050 Microscopy and mineralogy of airborne particles collected during severe dust storm episodes in Beijing, China. J. Geophys. Res., 110, D01303, doi:10.1029/2004JD005073. 

  28. Sokolik, I.N. and Toon, O.B. (1999) Incorporation of mineralogical composition into models of the radiative properties of mineral aerosol from UV to IR wavelengths. J. Geophys. Res., 104, D8, 9423-9444. 

  29. Sun, J.M., Zhang, M.Y., and Liu, T.S. (2001),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dust storms in China and its surrounding regions, 1960-1999: relations to source area and climate. J. Geophys. Res., 106, 10325-10334. 

  30. Swap, R., Garstang, M., Greco, S., Talbot, R., and Kollberg, P. (1992) Saharan dust in the Amazon Basin. Tellus, 44B, 133-149. 

  31. Uematsu, M., Duce, R.A., Prospero, J.M., Chen, J.Q., Merill, J.T., and McDonald, R.L. (1983) Transport of mineral aerosol from Asia over the North Pacific Ocean. J. Geophys. Res. 88, 5343-5352. 

  32. Weaver, C.E. and Pollard, L.D. (1975) The chemistry of clay minerals, Elsevier, Amsterdam. 

  33. Yoon, S.-C., Kim, S.-W., Kim, J., Sohn, B.-J., Jefferson, A., Choi, S.-J., Cha, D.-H., Lee, D.-K., Anderson, T.L., Doherty, S.J., and Weber, R.J. (2006) Enhanced water vapor in Asian dust layer: Entrainment processes and implication for aerosol optical properties. Atmos. Environ., 40, 2409-24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