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체역학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융합을 통한 연료전지의 분석
Convergence of Fluid Dynamics and Computer Simulation for the Internal Investigation of Fuel Cell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6, 2016년, pp.245 - 251  

김세현 (상지대학교 신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3차원 모델링을 이용하여 연료전지의 유로형상과 유체의 흐름 방향에 따른 연료전지의 성능에의 영향성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료전지 내부의 각 유로형상과 유동장의 변화에 전류밀도와 온도의 분포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분석하였고, 연료전지 단위셀의 전체적인 성능을 분석하였다.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Navier-Stokes 방정식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풀었다. 전산유체역학에 전기화학반응의 모델을 융합하여 계산을 수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직선유로와 실제 사용되는 형태인 직사각형 모양의 유로형태를 모사하여 유로구조의 영향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유체의 유동장을 변형시켜 그 영향성과 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본 전산모사 연구를 통하여 연료가 풍부한 부분보다는 산소가 풍부한 부분에서 전류밀도가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전류밀도가 높은 곳에서 온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온도의 분포와 유로형상과 유동장 그리고 전류밀도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numerical model is developed to predict distributions of current density and temperature. Also the complete fuel cell performances were compar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flow field design and flow direction on current density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as well as full cell performance. Th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실험적으로 국부적인 각종 분포를 알아보기는 매우 어렵고 또한 고가의 장비와 번거롭고 복잡한 실험을 수반하여 비용과 노력의 낭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큰 비용과 노력이 들지않는 전산모사를 이용한 예측을 통하여 실험의 횟수를 줄일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려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의 모델링을 위하여 기존의 Navier-Stock 방정식을 풀이에 전기화학적 서브루틴을 융합하여 전산모사를 진행하도록 한다.
  • 그 예로서 전류밀도와 온도 분포에 관한 여러 가지 분석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록 많은 경우에 수를 다루어 보지는 못했으나 실험이 아닌 전산모사만으로 보다 정밀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 했다고 자부할 수 있다. 향후에는 앞에서 주었던 가정들을 좀 더 줄이고 더 많은 변수를 고려할 수 있는 보다 정밀한 모델링을 수행할 계획이다.
  • 첫 번째 설정으로서 모든 유로는 직선이라고 가정하고 계산을 수행했다. 직선 유로는 현실적으로 힘든 형상이며 본 연구에 있어서는 가장 단순한 형태로서 모델링의 적합성 판별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모양인 직사각형 모델을 유동장에 변형을 가한 직사각형 플립구조유로의 세 가지의 경우를 비교해 보았다.
  • 과거에는 3차원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i-V곡선만을 모사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의 성능 및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국부적인 온도변화에 관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여 보았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수행에 있어서 질량보존의 법칙, 에너지보존의 법칙 등으로 지배방정식을 설명하는데, 그 방정식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를 위한 모델링의 가정은 정상상태, 기체만의 단일상계, 단열 그리고 3차원 물질전달 모델이다. [Fig.
  • 여기서 양론비란 수소의 경우 20%과잉으로 공급하고 공기의 경우 100%과잉으로 공급함을 의미한다. 단위전지 내부에서의 전기적 접촉저항은 없다고 가정하고 계산을 수행하였다.
  • 앞서 설명한 지배방정식을 3차원으로 설정하고 유체의 유동, 유량 온도 등의 경계조건을 설정하여 방정식을 풀었다. 첫 번째 설정으로서 모든 유로는 직선이라고 가정하고 계산을 수행했다. 직선 유로는 현실적으로 힘든 형상이며 본 연구에 있어서는 가장 단순한 형태로서 모델링의 적합성 판별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60년대 미국의 NASA 우주선 내의 동력원으로 연료전지가 선택된 이유는? 하지만 기존의 에너지원이었던 내연기관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인해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 그러던 중, 1960년대 미국의 NASA는 우주개발 프로그램을 추진하면서 우주선 내의 동력원으로 연료전지를 선택하게 되는데 작은 크기로 설계상의 잇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전기효율도 높고, 여타의 부속장치가 적은 장점으로 인하여 연료전지가 우주선의 보조전원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NASA의 계획에 의해 연료전지에 관련된 연구가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연료전지는 무엇인가?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산화반응을 전기화학적으로 유도하여 전기를 생산해내는 장치이다. 연료전지의 원리는 이미 1839년에 영국의 William Grove 경에 의하여 물이 전기 분해되는 현상의 역반응이 가능함을 알게 되면서 최초로 알려졌다.
연료전지 자동차가 무공해 규제의 실용화 방안으로 주목받는 이유는? 연료전지를 자동차의 동력원으로 사용하고자 한 시도는 80년대 말부터 시작되었으며 선진 자동차업체 들은 2003년 미국 California주의 Zero Emission 규제의 실용화를 배경으로 가장 현실성 있는 대처 방안을 연료전지 자동차에서 찾고 있다. 연료전지는 연소를 기반으로 하는 내연기관과는 달리 무연소 에너지 발생장치 이므로 연소 시 발생하는 유해한 배기가스가 없이 순수한 물만을 부산물로 배출 한다. 따라서 연료전지는 환경 친화적인 동력 발생장치이며 효율도 내연기관에 비해 월등히 높다. 미국, 캐나다, 독일, 일본 등에서는 이러한 무공해 연료전지 자동차개발의 실용화를 위해 엄청난 국가적인 지원 하에 수준 높은 연구를 진행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W. K. Lee, C. Ho, J. W. Van Zee and M. Murthy, "The effects of compression and gas diffusion layers on the performance of a PEM fuel cell", J. of Power Sources, Vol. 84, pp. 45-51, 1999. 

  2. S-h. Kim, S. Shimpalee and J. W. Van Zee, "The effect of stoichiometry on dynamic behavior of a PEM fuel cell during load change", J. of Power Sources, Vol. 135, pp. 110-121, 2004. 

  3. S-h. Kim, S. Shimpalee and J. W. Van Zee, "The effect of reservoir and fuel dilution on the dynamic behavior of a PEM fuel cell", J. of Power Sources, Vol. 137, pp. 43-52, 2004. 

  4. S-h. Kim, S. Shimpalee and J. W. Van Zee, "The effect of flow field design and coltage range on the dynamic behavior of a PEMFC", J. of Electrochem. Soc., Vol. 152, pp. A1265-A1271, 2005. 

  5. S. Kiattamrong, Angkee Sripakagorn, "Effects of the Geometry of the Air Flowfield on the Performance of an Open-Cathode PEMFC - Transient Load Operation", Energy Procedia, Vol. 79, pp. 612-619, 2015. 

  6. B. Kim, D. Cha and Y. Kim, "The effects of air stoichiometry and air excess ratio on the transient response of a PEMFC under load change conditions", Applied Energy, Vol. 138, pp. 143-149, 2015. 

  7. J. Shan, R. Lin, S. Xia, D. Liu and Q. Zhang, "Local resolved investigation of PEMFC performance degradation mechanism during dynamic driving cycle", Int. J Hyd. Energy, Vol. 41, No. 7, pp. 4239-4250, 2016. 

  8. J. Shan, R. Lin, S. Xia, D. Liu and Q. Zhang, "Local resolved investigation of PEMFC performance degradation mechanism during dynamic driving cycle", Int. J Hyd. Energy, Vol. 41, No. 7, pp. 4239-4250, 2016. 

  9. S. M. Chang and H. S. Chu, "Transient behavior of a PEMFC", J. of Power Sources, Vol. 161, No 2, pp. 1161-1168, 2006. 

  10. Q. S., M. Hou, X. Yan, D. Liang, Z. Zang, L. Hao, Z. Shao, Z. Hou, P. Ming, B. Yi, "The voltage characteristics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 under steady and transient states", J. of Power Sources, Vol. 179, No 1, pp. 292-296, 2008. 

  11. T. V. Reshetenkoa, G. Bender, K. Bethunea, R. Rocheleau, "A segmented cell approach for studying the effects of serpentine flow field parameters on PEMFC current distribution", Electrochim. Acta, Vol. 88, pp. 571-579, 2013. 

  12. T.V. Nguyen, R.E. White, "A water and heat management models for PEMFC", J. Electrochem. Soc. Vol. 140, pp. 2178-2186, 1993. 

  13. T. F. Fuller, J. Newman, "Water and thermal management in soli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J. Electrochem. Soc., Vol. 140 pp. 1218-1225, 1993. 

  14. S. Shimpalee, D. Dutta, W. K. Lee and J. W. Van Zee, "Effect of humidity on PEM fuel cell performance Part II: Numerical Simulation", Proc. of ASME IMECE, Nashville, TN HTD 364-1, pp. 367-364, 1999. 

  15. S. Dutta, S. Shimpalee and J. W. Van Zee, "Thre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of straight channel PEM fuel cells", J. Appl. Electrochem., Vol.135 pp. 30-46. 2000. 

  16. K.-Y. Chung and S. Kim, "Optimization of fuel processing unit of fuel cell system using six-sigma technique", J.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0, No. 2, pp. 225-229. 2012. 

  17. S. Kim, "Performance Analysis of PEMFC Using Computational Flow Dynamics (CFD)", J.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11 No. 8, pp. 199-204.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