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기 중 모노테르펜 (α-피넨, 3-카렌, R-리모넨, 1,8-시네올) 측정을 위한 혼합표준가스개발
Development of Primary Standard Gas Mixtures for Monitoring Monoterpenes (α-pinene, 3-carene, R-(+)-limonene, 1,8-cineole) Ambient Levels (at 2 nmol/mol)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32 no.3, 2016년, pp.320 - 328  

강지환 (충남대학교 바이오응용화학과 화학공학) ,  김미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김용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이영우 (충남대학교 바이오응용화학과 화학공학) ,  이상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ong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BVOCs) in the natural ecosystem, monoterpenes, along with isoprene, play important roles in atmospheric chemistry and make significant impacts on air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especially due to their contribution to secondary organic aerosol produc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중량법으로 제조된 표준가스는 GC-FID를 사용하여 내부일치성을 확인하였다. 150 nmol/mol 모노테르펜과 2 nmol/mol 모노테르펜의 경우 농도가 낮기 때문에 저온농축장치(7200, Entech, USA)를 사용하여 표준가스를 농축 후 GC-FID에서 분석이 진행되었다. 저온농축장치의 농축 트랩은 glass beads trap(Entech, USA)을 사용하였다.
  • 불확도 평가는 ISO 가이드(ISO, 2008)에 따라 수행하였다. 2 nmol/mol 모노테르펜의 제조불확도는 GUM Workbench Pro (version 2.3.6.141, Metrodata GmbH, Germany)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 2 nmol/mol 수준의 모노테르펜 표준가스가 실린더 내면에서의 흡착에 의하여 농도 변화가 일어나는 지를 평가하기 위해 Experis, Electro, Aculife의 서로 다른 실린더에서 분배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노테르펜 표준 가스인 기준 실린더(mother cylinder)와 새로 진공 배기한 분배 실린더(daughter cylinder)를 “T”자 형의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 SS) 관으로 연결하였다.
  • 각 성분 별 원료시약의 순도 분석을 위하여 GC auto injector(7683B series, Agilent, USA)를 사용하여 0.2 μL 의 원료시약을 gas chromatography/flame-ionization detection(GC-FID : 6890, Aglient, USA)에 주입하였다.
  • 고정밀 전자저울(XP-26003L, Mettler-Toledo, Switzerland)로 실린더 질량을 측정하였고, 측정 전 10 kg의 표준분동으로 전자저울의 영점 보정을 하였다. 전자저울 용량은 26.
  • 이후 기준 실린더 (mother cylinder) 가스로 관의 퍼지를 진행하고, 두 실린더의 압력이 같게 되도록 분배하였다. 기준 실린더와 분배 실린더로써 분배 완료된 실린더들은 혼합 장치에서 충분히 혼합 시켰고 실험실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안정시킨 후 GC-FID로 분석하여 흡착에 의한 농도변화를 확인한다. 흡착성 확인을 위한 모든 실린더의 기준 실린더는 Experis로부터 분배하였다.
  • 10 μmol/mol을 시작으로 150 nmol/mol로 희석 후 2 nmol/mol의 표준가스를 제조 완료하였다. 따라서 모노테르펜의 정확한 측정을 위한 1차 표준가스를 개발 및 실린더 내부표면특성 별 단기안정성과 실린더 내 성분의 농도변화를 알기 위해 장기안정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대기 중 농도에 가까운 2 nmol/mol 수준의 모노테르펜 표준가스를 개발하였다.
  • 모노테르펜 2 nmol/mol 표준가스의 최종 불확도는 중량법 제조불확도, 내부일치성 불확도, 그리고 흡착손실에 의한 단기안정도 불확도 및 장기안정도 불확도를 합성하여 평가하였다. 이로부터 상대확장불확도 4% 미만의 모노테르펜 2 nmol/mol 표준가스를 개발하였다.
  • 모노테르펜 4종(α-피넨, 3-카렌, R-리모넨, 1,8-시네올)의 2 nmol/mol 혼합 표준가스를 중량법을 이용해 고압실린더에 개발하였으며, 중량법 제조에 대한 상대 확장불확도는 성분 별로 차이가 있으나 4%(k=2) 미만이였다.
  • 모노테르펜 표준 가스인 기준 실린더(mother cylinder)와 새로 진공 배기한 분배 실린더(daughter cylinder)를 “T”자 형의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 SS) 관으로 연결하였다.
  • 트랩 관리를 위해 1회 분석이 끝날 때마다 230℃로 5분 동안 시스템 베이크아웃(bakeout)을 진행하였다. 모노테르펜의 흡착손실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6회 분석 동안 노르말 헥산을 기준으로 모노테르펜과의 ratio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일정한 ratio를 보여 모노테르펜의 흡착손실이 없다고 판단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량법(ISO, 2015)으로 모노테르펜 중 α-피넨, 3-카렌, R-리모넨, 1,8-시네올과 노르말 헥산(실린더 내 모노테르펜의 농도변화를 추적하기 위한 내부기준물질)을 포함하여 표준가스를 제조하였다.
  • 제조 완료된 2 nmol/mol 모노테르펜 표준가스 성분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린더 내에서 농도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실린더 내 안정성이 확인된 물질인 노르말 헥산을 기준물질로 하여 모노테르펜과 노르말 헥산의 비를 추적하여 Experis, Electro, Aculife 실린더 별 장기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실린더는 단기안정성을 평가한 실린더로 D386582(Experis)을 A로 D417702(Electro)을 B, D249387(Aculife)을 C라 했을 때 A-B-A-C 순으로 분석을 진행했으며, A를 2회 분석을 함으로써 기기 드리프트(drift) 불확도로 활용하였다. 분석 회수와 분석 방법은 제조 후 약 2달 동안 7일 간격으로 제조일치성 분석 방법과 동일한 조건에서 진행되었다.
  • 분석방법은 제조된 표준가스 중 D254233(A)을 기준으로 나머지 표준가스(D254240(B), D386640(C))와 비교 분석하였다(분석순서: A-B-C-A-B-C-A). 중량법으로 제조된 표준가스는 GC-FID를 사용하여 내부일치성을 확인하였다.
  • 실린더 내면처리에 따른 흡착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법으로 내면처리 한 3가지 종류의 실린더를 사용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각 실린더를 Experis, Electro, 그리고 Aculife로써 표기하였다. Experis실린더는 내부가 특수내면 처리(Experis)된 10 L 용량의 알루미늄 실린더(Air products, Belgium)이며, Electro은 전해연마(Electro polishing) 처리된 10 L 용량의 알루미늄 실린더(Luxfer UK, Luxfer, United Kingdom)이다.
  • 안정성이 확인된 내부기준물질 노르말 헥산 성분을 기준으로 2 nmol/mol 모노테르펜 표준가스의 장기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식(1)에 의해 노르말 헥산에 대한 모노테르펜의 ratio로 했으며, 이때의 불확도는 기기드리프트 불확도와 분석 불확도에 대한 최종 불확도는 0.
  • 1 kg이며, 분해능은 1 mg이다. 액체시약 질량 측정은 화학저울(AT201, Mettler-Toledo, Switzerland)을 사용하였다. 화학저울 용량은 205 g이며, 분해능은 0.
  • 모노테르펜 2 nmol/mol 표준가스의 최종 불확도는 중량법 제조불확도, 내부일치성 불확도, 그리고 흡착손실에 의한 단기안정도 불확도 및 장기안정도 불확도를 합성하여 평가하였다. 이로부터 상대확장불확도 4% 미만의 모노테르펜 2 nmol/mol 표준가스를 개발하였다. 향후 개발된 모노테르펜 표준가스는 국가 표준가스로 활용 및 보급될 예정이다.
  • 제조 시 질량을 측정할 때 모든 실린더는 보정 실린더(tare cylinder)와 함께 질량를 측정하여 제조 전후에 온도와 기압의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변화량을 보정하였고, 모든 실린더는 실린더 내 수분 제거 및 진공 작업을 위해, 50~60℃로 가열하면서 터보 펌프로 약 1×10-5 torr까지 24시간 동안 진공 배기하였다.
  • 제조 완료된 2 nmol/mol 모노테르펜 표준가스 성분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린더 내에서 농도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실린더 내 안정성이 확인된 물질인 노르말 헥산을 기준물질로 하여 모노테르펜과 노르말 헥산의 비를 추적하여 Experis, Electro, Aculife 실린더 별 장기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실린더는 단기안정성을 평가한 실린더로 D386582(Experis)을 A로 D417702(Electro)을 B, D249387(Aculife)을 C라 했을 때 A-B-A-C 순으로 분석을 진행했으며, A를 2회 분석을 함으로써 기기 드리프트(drift) 불확도로 활용하였다.
  • Experis 실린더에 모노테르펜 4종을 Electro 실린더에는 노르말 헥산을 각 2개씩 제조하였다. 주입방법 (그림 2)은 미소 액체중량법으로 주입전 실린지와 원료시약의 질량을 화학저울로 측정하고 주입 후 빈실린지 질량을 측정하여 주입된 원료시약 량을 계산하였다. 이송 라인(transfer line)에 원료시약이 주입되면 초고순도질소(99.
  • 분석방법은 제조된 표준가스 중 D254233(A)을 기준으로 나머지 표준가스(D254240(B), D386640(C))와 비교 분석하였다(분석순서: A-B-C-A-B-C-A). 중량법으로 제조된 표준가스는 GC-FID를 사용하여 내부일치성을 확인하였다. 150 nmol/mol 모노테르펜과 2 nmol/mol 모노테르펜의 경우 농도가 낮기 때문에 저온농축장치(7200, Entech, USA)를 사용하여 표준가스를 농축 후 GC-FID에서 분석이 진행되었다.
  • 150 nmol/mol 모노테르펜은 10 μmol/mol 모노테르펜 4종과 노르말 헥산을 바탕가스인 초고순도질소로 희석하여 Experis 실린더에 제조하였다. 진행 방법은 진공 배기된 실린더의 질량을 보정 실린더(tare cylinder)와 함께 측정한 뒤 시료를 주입 후 질량을 측정하고 초고순도질소를 주입하여 질량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150 nmol/mol 모노테르펜을 희석하여 최종 2 nmol/mol 농도의 모노테르펜 표준가스를 제조하였다.
  • 저온농축장치의 농축 트랩은 glass beads trap(Entech, USA)을 사용하였다. 트랩 관리를 위해 1회 분석이 끝날 때마다 230℃로 5분 동안 시스템 베이크아웃(bakeout)을 진행하였다. 모노테르펜의 흡착손실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6회 분석 동안 노르말 헥산을 기준으로 모노테르펜과의 ratio를 추적하였다.

대상 데이터

  • Experis 실린더에 모노테르펜 4종을 Electro 실린더에는 노르말 헥산을 각 2개씩 제조하였다. 주입방법 (그림 2)은 미소 액체중량법으로 주입전 실린지와 원료시약의 질량을 화학저울로 측정하고 주입 후 빈실린지 질량을 측정하여 주입된 원료시약 량을 계산하였다.
  • 그림 1과 같이 이미 안정성이 확인된 내부기준물질 노르말 헥산 (Rhoderick, 2005)과 모노테르펜을 10μmol/mol에서 따로 제조하고 질소가스로 희석하여 150 nmol/mol과 2 nmol/mol의 모노테르펜을 제조하였다.
  • 주입구 온도는 200℃, split patio는 100 : 1로 하고, 오븐 온도는 40℃ (4 min)→7℃/min→240℃ (10 min)으로 설정하였다. 운반가스로 헬륨(He)을 사용하였고, 유량은 1mL/min, 검출기온도는 250℃로 하였다.
  • 표준가스의 제조를 위해 노르말 헥산, α-피넨, 3-카렌, R-리모넨 시약(Aldrich, USA)과 1,8-시네올 시약(Acros, Belgium)을 사용하였고, 바탕가스로는 초고순도질소 99.9999%(덕양가스, Korea)를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그림 6에 성분별 제조일치성 결과를 나타내었다. 2 nmol/mol 모노테르펜 표준가스의 최종 표준가스의 확장불확도를 GUM Workbench Pro을 이용하여 95% 신뢰수준으로 평가하였으며, 그림 6에서 나타낸 ratio는 식 3과 같다.

이론/모형

  • torr까지 24시간 동안 진공 배기하였다. 불확도 평가는 ISO 가이드(ISO, 2008)에 따라 수행하였다. 2 nmol/mol 모노테르펜의 제조불확도는 GUM Workbench Pro (version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오염원에 따라 어떻게 나뉘는가?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은 오염원에 따라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VOCs (Anthropogenic VOCs; AVOCs)와 생물기원의 VOCs (Biogenic VOCs; BVOCs)로 나뉜다. AVOCs의 대표적인 발생원에는 화석연료의 연소 등이 알려져 있고 (Holgate et al.
AVOCs의 대표적인 발생원은 무엇인가?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은 오염원에 따라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VOCs (Anthropogenic VOCs; AVOCs)와 생물기원의 VOCs (Biogenic VOCs; BVOCs)로 나뉜다. AVOCs의 대표적인 발생원에는 화석연료의 연소 등이 알려져 있고 (Holgate et al., 1999), BVOCs의 대표적인 발생원으로는 숲과 식물 등이 알려져 있다 (Kesselmeier and Staudt, 1999).
생물기원의 VOCs의 종류는 어떻게 구별되는가? 따라서 대기질 관리 및 기후변화의 연구를 위한 BVOCs 측정이 중요하다. BVOCs의 종류는 크게 아이소프렌(isoprene)과 모노테르펜(monoterpenes), 기타 VOCs로 구별되며(Guenther et al., 1995), 모노테르펜의 경우 년간 전지구 BVOC 배출량 중 11%를 차지하고 (Kesselmeier and Staudt, 1999), 대기 중 농도는 2~5 nmol/mol 수준으로 보고 되 었다(Peñuelas and Llusia,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o, K.T., J.C. Kim, and J.H. Hong (2006)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biogenic VOC (BVOC) emissions estimates by BEIS and CORINAIR methodolog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2(2), 167-177. 

  2. Fuentes, J.D., M. Lerdau, R. Atkinson, D. Baldocchi, J.W. Bottenheim, P. Ciccioli, B. Lamb, C. Geron, L. Gu, A. Guenther, T.D. Sharkey, and W. Stockwell (2000) Biogenic hydrocarbons i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A Review,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1(7), 1537-1575. 

  3. Guenther, A., C.N. Hewitt, D. Erickson, R. Fall, C. Geron, T. Graedel, P. Harley, L. Klinger, M. Lerdau, W.A. Mckay, T. Pierce, B. Schloes, R. Stenbrecher, R. Tallamraju, J. Taylor, and P. Zimmerman (1995) A global model of natural volatile organic compound emiss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0 (D5), 8873-8892. 

  4. Holgate, S.T., J.N. Samet, H.S. Koren, and R.L. Maynard (1999) Pollution, and Health, ACADEMIC PRESS, p. 121. 

  5.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2008) ISO/IEC Guide 98-3 Uncertainty of measurement,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 2008 (GUM 1995). http://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50461. 

  6.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2015) ISO 6142-1 Gas analysis - Preparation of calibration gas mixtures - Part 1: Gravimetric method for Class I mixtures. http://www.iso.org/iso/home/store/catalogue_tc/catalogue_detail.htm?csnumber59631. 

  7. Kesselmeier, J. and M. Staudt (1999)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An Overview on Emission, Physiology and Ecology, Journal of Atmospheric Chemistry, 33(1), 23-88. 

  8. Penuelas, J. and J. Llusia (2003) BVOCs: plant defense against climate warming?, Trends in Plant Science, 8(3), 105-109. 

  9. Penuelas, J. and M. Staudt (2010) BOVs and global change, Trends in Plant Science, 15(3), 133-144. 

  10. Rhoderick, G.C. (2005) Long-term stability of hydrocarbons in NIST gas standard reference material (SRM) 1800, Analytical and Bioanalytical Chemistry, 383(1), 98-106. 

  11. Rhoderick, G.C. and J. Lin (2013) Stability Assessment of Gas Mixtures Containing Monoterpenes in Varying Cylinder Materials and Treatments, Analytical Chemistry, 85 (9), 4675-4685. 

  12.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GAW Programme (2006) The German Contribution to the GAW Programme, WMO TD No. 1336 http://www.wmo.int/pages/prog/arep/gaw/gaw-reports.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